View : 1255 Download: 0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연구

Title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the Online Art Market Platform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문화예술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이 발전되면서 등장한 온라인 플랫폼은 기존 오프라인 시장이 지닌 시간적·공간적·경제적 한계를 극복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조금씩 오프라인 시장을 대체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전달가능해지면서,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졌고, 이는 사회 각 영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미술시장도 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최근의 미술시장 역시 온라인 미술시장의 규모가 점차 커지는 추세였고, 특히 코로나19의 여파로 규모의 확장성은 더욱 가속화되어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 되었지만 국내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국내 미술시장의 온라인 플랫폼 현황을 고찰하고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 현존하는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들을 분류하고 이를 주요 서비스별로 분석하여,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들이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미술시장의 선순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플랫폼들의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해보았다. 기존의 미술시장 구조를 바탕으로 하되, 최근 미술시장에서 나타나는 구매형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이를 수정하여 미술시장 구조를 재구성하였으며, 최근 관찰되는 미술시장의 온라인 플랫폼을 분류해보았다. 기존 선행연구에 의하면 미술시장은 크게 창작, 유통, 소비 3단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는 타 산업의 시장과 달리 국가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미술시장의 특성과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을 통한 ‘미술품 공동구매’와 같은 방식의 구매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미술시장의 구조에 새로운 형태로 등장한 ‘아트테크’와 미술시장을 지원하는 ‘기관’을 추가하여 기존 미술시장 구조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이어 본 연구는 온라인 자료검색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기존 온라인 플랫폼 분류방식은 미술시장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분류방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보았다.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을 크게 1) 개인이나 기업 혹은 단체가 수익모델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민간주도 플랫폼’ 과 2) 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가 지원사업을 목적으로 관련기관에서 운영되는 ‘지원사업기반 플랫폼’로 구분해보았고, 현행 미술시장의 온라인 플랫폼들을 이러한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플랫폼에 대한 대표 사례들을 도출한 뒤 이들이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별로 이를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사업기반 플랫폼’으로 분류되는 플랫폼들이 정부기관의 지원사업을 받아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주도 플랫폼에 비해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지 않고, 관련 내용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지원사업기반 플랫폼’은 민간주도 플랫폼과 달리 기존 연구들에서 크게 논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원사업기반 플랫폼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원사업기반 플랫폼 가운데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3개의 온라인 플랫폼인 ‘한국 미술시장 정보시스템(K-ARTMAERKET)’, ‘미술공유서비스(K-artsharing)’, ‘더아트로(THE ARTRO)’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에 더해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진행한 패널 토론회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미술시장 전문가들이 현행 지원사업기반 플랫폼들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와 개선해야할 부분은 무엇인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플랫폼은 ‘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두 번째로 ‘양질의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나아가 이들은 지리적 경계가 모호해지고 전 세계 미술시장의 대형브랜드와 소비자들이 유입되고 있지만 국내의 자체적인 경쟁력은 그에 비해 너무 부족하고 국내 미술시장에 대한 지원은 다양하나 질적인 확장보다는 양적인 확장이 많아 질적인 성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양질의 콘텐츠를 보유하여도 해당 플랫폼이 이용자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이용하지 않는다면 플랫폼의 존재이유는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한국 플랫폼 자체에 대한 홍보와 함께 국내 미술시장의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선사항과 타 산업분야에서 성공한 온라인 플랫폼들의 주요기능을 온라인 미술시장에 적용시켜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현 시점에 이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그 현황을 파악해보았으며, 현행 지원사업기반 플랫폼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물어봄으로써, 그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한정된 수의 미술시장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별인터뷰를 중심으로 플랫폼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플랫폼에 대한 다채로운 의견을 취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며, 향후 연구 대상을 넓혀 일반 국민들이나 해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에 대한 인식 및 이용경험을 조사한다면 보다 나은 온라인 미술시장 플랫폼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As technology advanced over time, online platforms emerged and overcame the limitation of time, space, and economy of existing offline markets and slowly began to replace offline markets. With these online platforms capable of rapidly delivering diverse data, its importance has gradually increased and influenced not only in various sectors of society but also in the art market. The contemporary art market has also been growing in the online art market scene, especially in the aftermath of COVID-19, which has accelerated the online art market's expansion and created a market that cannot be ignored. However, research on domestic online art market platforms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until now. With this in mind,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platforms in the domestic art market and propose improvements and solutions for revitalization. This thesis will focus on classifying existing online art market platforms in Korea and analyzing them by primary services to infer improvements on how they operate to produce quality data and serve as a virtuous cycle of the art market. Based on the existing art market structure, this thesis will take a closer look into the contemporary art market structure reconstructed to reflect the recent purchase method in the art market and categorize the recently observed art market's online platforms. According to prior research, the art market consists of three stages of cre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however, the limitation still lies in its support from the country, unlike other industries. It's also challenging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art market and the consumption in such a way as ‘Joint purchase of art' through the newly emerged online art market. In response, this research suggests adding ‘ArtTech' that arose as a new form and an ‘agency' supporting the current art market to the existing art market structure. This research then will attempt to classify online art market platforms based on online data search and prior research. Since existing online platform classification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the art market, this thesis proposes the following new classification methods for online art market platforms. The online art market platform can be divided into 1)‘Private platforms' operated by individuals, companies, or organizations based on profit models and 2) ‘Government-support business based platforms' managed by related agencies for government-support projects. Representative cases for each platform were derived by classifying online platforms in the current art market and then analyzing them by significant services. Based on these online platforms' analysis, it confirmed that although platforms classified as ‘government-support business based platforms' are operated with support from the government, data is not up to date and related content is less active than ‘private platforms.' Since these  ‘government-support business based platforms' have not been discussed much in existing research, unlike ‘Private platform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derive ways to improve the support-based platforms. In addition to interviews with art market experts in ‘K-ARTMAERKET,' ‘K-artsharing,' and ‘THE ARTRO,' the analysis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discussion held at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se collected data, art market experts have identified how they perceive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on the current Government-support based platform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platforms should be improved to address ‘Market polarization' and, secondly, to form ‘Quality data.' Furthermore, although the geographical boundaries are becoming more ambiguous and large brands and consumers in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are in flowing, Korea's competitiveness is low. Due to profound support in the domestic art market, the phenomenon showed quantitative expansion; however, the main focus should be on qualitative improvements rather than quantitative increases. Finally, experts stated that if users do not recognize the platform, even if it has high-quality content, the reason for the platform's existence will disappear, so it should promote the Korean platform itself and raise awareness of the domestic art market. This thesis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online art market platform by applying these improvements and the main functions of successful online platforms in other industries to the online art marke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ducted an overall analysis and identified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re is currently alack of discussion on the domestic art market's online platform. Besides, it's significance is presented by suggesting improvements by analyzing experts' opinions about the current government-support based platform and its future advancement. However,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 platform with a limited number of art market-related experts resulted in the limitation of lacking diverse opinions. It is believed that expanding the scope of future research will help create a better online art market platform for the general public and international crow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