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보호작업장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Title
보호작업장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of the Disabled in Sheltered Workshops
Authors
이상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courses of change in thos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in sheltered workshops, during the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sociality improvement. Occupation for the disabled is not only a mean of livelihood but also allows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and assume their roles as members of society, as well as to gain happiness in their lives through self-realization (Myung soo Lee, Yeon gu Jeong, 2019). However,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due to disabilities and po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uses difficulties for the disabled to find jobs (So yeon Moon, 2016). Therefore, vocational training for employment as well as sociality training as a process for social integration is necessary for the disabled (Mi jin Jang, 2019).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experiences and the courses of change in thos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by selecting a case of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of the disabled in the sheltered workshops. For the research,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The ca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9, 2020 to August 20, 2020, and a total of 12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with a duration of 60 minutes each, were held once or twice a wee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2 people with brain lesions at the sheltered workshops.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designed to achieve sociality improvement based on self-opening, self-expression, acquisition of social skills, positive interaction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cooperation. For data collection, recording on whole art therapy sessions, image files of the artworks, verbatim records, and clinical journals of the researcher were referr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pplied the method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courses of change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verbatim records and analyzed the meaningful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of participants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ization verif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6 main topics and 12 sub-topics were derived , , , , , .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in the sheltered workshops, during the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opened up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share experiences through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and formed positive relationships by creating mutual interactions that were helpful for each other. Second, the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formed the concept of proper cooperation to the participant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art therapy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roles within the group. Thir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cquired social skills from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learned communication method, and tried not to bring harm to the group. Fourt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expressed the feelings that they could not convey through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and experienced a feeling of accomplishment in cooperation through cooperative artworks. In conclusion, the disabled in sheltered workshops opened up and expressed themselves after cooperative group art therapy for sociality improvement, and directly helped the group by taking responsibilities for their roles. Moreover, in the group process, it was possible to improve sociality by acquiring and directly implementing social skills necessary for decision making or communi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이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있다. 장애인에게 직업은 생계는 물론이고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을 하고 자아실현을 통해 일상에서의 행복을 얻을 수 있게 한다(이명수, 정연구, 2019). 하지만 장애로 인한 자기표현의 어려움과 원활하지 못한 대인관계는 장애인이 직업을 가지는 것에 어려움을 초래한다(문소연, 2016). 따라서 장애인에게 사회 통합을 위한 과정으로서 취업을 위한 직업 훈련 뿐만 아니라 사회성 훈련도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장미진, 2019). 본 연구에서는 보호작업장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를 선정하여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이 그 안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는 2020년 7월 9일부터 2020년 8월 2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1~2회 60분씩, 총 12회기의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보호작업장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 3명과 뇌병변장애인 2명이다. 보호작업장 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는 협동을 통한 자기개방 및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 습득, 긍정적 상호작용 및 관계 형성을 토대로 사회성 향상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전 회기 녹화 파일, 미술작품 결과물 이미지 자료, 축어록,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 회기의 경험과 경험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녹화 파일을 전사한 축어룩을 반복해서 읽으며 참여자들의 유의미한 언어적, 행동적 표현들을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미술표현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을 보임>, <집단과 협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임>, <집단과 협동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고 상호작용이 시작됨>, <활동에 필요한 의견 나눔이 시작됨>,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유연해짐>, <활동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의견을 나누는 것에 적극적인 모습이 나타남>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이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개방하여 표현하였고 서로 도움을 주는 상호작용을 시작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올바른 협동의 개념을 형성하고 집단 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책임감을 가져 적극적으로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에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여 소통의 방식을 터득하고 집단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전하지 못한 감정들을 표현하였고, 협동 작품을 통해 협동에 대한 성취감을 경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보호작업장의 장애인은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 중심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을 개방하여 표현할 수 있었고, 집단 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직접적으로 집단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집단의 과정에서 의사결정이나 의사소통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고 직접 시행해보는 경험을 하여 사회성을 향상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