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Recovery Resilience of Adult Women Subject to Cancer Therapy
Authors
조영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A시 B대학 요양병원에서 암 재활치료를 받는 36세~65세 이하의 여성이다. 사례는 2020년 7월 2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주 2회, 90분간 진행되었으며 총 8회기로 실시하였다.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암 치료과정에서의 디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탐색 및 자기 이해, 공감을 통한 연대감과 사회적 지지 관계 경험, 긍정적 자아개념을 기반으로 한 희망 고취 및 삶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집단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전 회기 과정 축어록, 사전 사후 심층 면담, 의료사회복지와의 심층 면담 녹음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자료, 미술작품 사진촬영 이미지 자료, 연구자의 임상일지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지를 종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암 치료를 받는 여성들의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와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면밀히 검토하고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절차를 거쳐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집단미술치료 사례에서 경험의 의미 범주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앞에서 마주한 미술 활동이 무의미하게 느껴짐>, <미술 활동을 통해 암 진단에 대한 두려움을 홀로 감당하기 버거웠던 것을 알게 됨>, <미술 작업을 통해 내면에 꽉 차 있던 감정을 알아차리고 수용하게 됨>, <함께 하는 창조적 여정에서 삶의 활력과 지지자원을 되찾게 됨>, <미술치료 안에서 밝고 자신 있는 내 모습을 되찾게 되어 기쁨>, <현재를 수용하고 앞으로의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다지게 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암 치료과정의 디스트레스를 미술로 표현하고 해소하며 감정의 정화를 이루었고, 자신을 이해하는 경험을 통해 부정적 감정들을 탐색하고 안전하게 표현하며 자기조절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에서 다른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고 재발견하며 외적 지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에서의 미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현재를 수용하고 앞으로의 삶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갖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암 치료를 받는 여성들은 집단미술치료 안에서 디스트레스를 안전하게 표출하며 해소하였고 자기감정의 이해를 통해 자기조절력을 획득하였으며, 참여자들과의 공감과 연대감을 통해 사회적 지지자원을 강화하였고, 긍정 자아개념을 바탕으로 남은 암 치료과정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힘과 앞으로의 삶에 대한 의지와 희망을 품게 되었다.;The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experiences adult women subject to cancer therapy usually get from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recovery resilience and what the significance is.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s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s to delve into the significance of subjects' experiences for in-depth comprehension and search. The subjects consist of women aged between 36 abd 65 who are under cancer rehabilitation therapy in nursing hospital at B University in A city. Such case involves women subject to therapy which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at a time from July 2 through 31st 2020. The times they took such therapy during such period totaled 8. The group art therapy, designed to boost recovery resilience of adult women under cancer therapy, aims to search negative emotions caused by destress in the course of cancer therapy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promote sense of common bonds and social support induced by sympathy, encourage hopeful thinking based on positive concept of self and elicit strong willingness to survive. Such objective served as motivation behind group art therapy programs. Relevant data were comprehensively collected from verbatim record regarding the whole course of group art therapy, prior and post-therapy in-depth interview, record file concerning in-depth interview with medical welfare workers and transcripts, photographed images of artworks, clinical data of researchers and observation report of assistant therapists. The data analysis aims to search and find out experiences for group art therapy of adult women under cancer therapy and the significance by involving repetitive comparison analysis method. To this end, the study repeatedly checked collected data and transcripts for examination and performed comparison analysis by going through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came out. The significant categories regarding experiences from the group art therapy cases include: , , , , , and . Based on the study on experiences for the group art therapy aimed at boosting recovery resilience of adult women under art therapy, the study concludes that: First, the subjects detoxed emotions by expressing and venting out destress caused by cancer therapy in the form of art, searched negative emotions based on self-comprehending experiences, safely expressed such emotions and upgraded their capacity for controling themselves. Second, the subjects experienced and re-found social support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were able to build support network in outside world. Third, the subject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from art activities in the course of group art therapy, found their strengths, accepted the present and acquired hope and willingness to build a new life. Conclusively, the adult women under cancer therapy were able to safely express and detox their destress in the course of group art therapy, acquir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o boost self-controlling capacity, consolidate social support resource by experiencing sympathy and common bonds with other subjects and get strength, will and hope to get over the remaining cancer therapy on the back of positive concept of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