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study on case of group art therapy aimed at upgrading self-efficacy
Authors
김선용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들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 6명으로 남자아동 2명, 여자아동 4명이다. 사례는 2020년 8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5회, 회기 당 120분 , 총 10회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표현 및 자기탐색, 타인과의 긍정적 교류 및 상호작용, 참여자간의 지지 및 격려를 통한 올바른 사회적 기술 함양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전 과정에 대한 회기 일지, 작품 사진, 녹취 파일과 축어록, 연구 참여자의 사후 소감문 등을 통해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층적인 탐구를 위해 축어록을 포함한 수집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유의미한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등을 찾아보고 이를 범주화시켜 정리하였다. 수집하여 분석한 자료는 총 5개의 상위 범주와 13개의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상위 범주는 <미술작업은 재미있지만, 나를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움>, <미술치료 안에서 나를 표현하는 법을 알아감>, <자신 없던 내가 스스로 할 수 있다는 능력을 발견함>, <우리를 하나로 이어주는 미술작품>, <미술치료를 통해 발견한 내가 자랑스럽고, 함께한 서로를 응원함>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자유로운 자기표현과 탐색의 시간을 가졌고, 현재의 답답한 상황과 그에 따른 자신의 감정들을 미술로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서로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이를 작품으로 다가가며 긍정적 교류 및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사회적 관계 기술에 대해 경험하였고, 내재되어 있던 자원 및 성취감을 발견하며 서로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긍정적인 집단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초등학교 아동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스스로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안전하게 표출하여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작품을 매개로 다른 참여자들을 이해하고 다가가며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사회적 관계 기술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로써 초등학교 아동들은 미술로 스스로를 표현하고 이해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자원을 발견하고, 지지와 격려를 통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인 작용을 하였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experi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ually get from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self-efficacy and what the significance is.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s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s to delve into the significance of subjects' experiences for in-depth comprehension and search. The subjects consist of 6 children in 3rd and 4th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in A city, comprising 2 boys and 4 girls. Such case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120 minutes at a time from Aug. 3 through Aug. 14 2020. The times such therapy was performed during such period totaled 10. The group art therapy for high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ims to develop self-expression and self-searching ability and improve proper interpersonal skills on the back of positiv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encouragement and support among the subjects, based on which the therapy program was built. The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from daily report on the whole course, photographed artworks, transcript files and verbatim record and post-therapy writings of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volving the use of repetitive comparison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 study delved in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xperiences for group art therapy aimed at improving self-efficacy and what the significance is. For in-depth research, the study repeatedly perused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record of verbatim, and categorized significant linguistic expressions and non-linguistic ones for summarization.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 total of 5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came out. The categories regarding cases of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involved in the study include: ; ; ; ; and . Based on the study on experiences for the group art therapy aimed atboosting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tudy concludes that: First, the subjects were able to enjoy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art activity and vent out emotions and frustration in the form of art. Second, the subjects started to display interest and curiosity towards one another and were able to experience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rough art activity. Third, the subjects experienced interpersonal skills, inner resour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formed support group to support one another. Given this, elementary school children subject to group art therapy for better self-efficacy safely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search themselves and safely unleash and detox their thinking and emotions.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positively communicate with others and upgrade their social skills. The group art therapy motivated elementary schoolchildren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discover their inner resource and form positive relationships on the back of support and encouragement, which contributed to upgrading self-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