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Title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Other Titles
The Ability of Case-marker Production in Korean Aphasia due to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Authors
박지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문장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산출하기 위해서는 서술어를 중심으로 명사구, 즉 논항 간 의미역 위계를 파악하는 의미역 처리(thematic processing)를 거쳐야 한다. 의미역 정보는 서술어, 즉 동사에 포함되어 있어(Fillmore, 1968) 동사를 중심으로 의미역 명사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동사가 해당 명사와 의미적인 관련성이 높을수록 통사 처리(syntactic rocessing)가 용이하다(Koenig et al., 2003;Willits et al., 2007). 하지만 의미역 처리는 문장 내 명사구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인 과정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 혹은 증가적(incremental)으로 나타나고, 모든 명사구의 정보가 활성화된(activated)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뇌 손상으로 인해 전반적인 언어영역에서 손상을 보이는 실어증 환자들은(McNeil &Pratt, 2001) 의미역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낸다(Friederici & Frazier, 1992; Miyake et al., 1994; Jeong & Sung, 2018). 한국어는 영어 달리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특성이 있어, 명사구에 조사를 결합하여 격을 표지한다(Sohn, 2001; 권재일, 1989). 따라서 한국어와 같은 굴절어(inflectional language)는 조사도 의미역 정보를 주는 데 중요한 언어적 요소이므로(김영진·우정희, 2007) 문장 내에서 의미역을 해석하는 데 조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Sung, 2017). 현재 국내에서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미역연구가 행위자와 대상에 한정되어 있고(Kwag et al., 2014; Jeong & Sung, 2018), 조사 산출과 관련된 연구는 정상 노년과 청년 비교 또는 정상 노년과 경도인지장애환자군 비교에 국한되어 있으며(Sung, 2017; Hyun et al., 2013), 조사를 유형별로 분석한 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미역 명사 유형(도구, 장소, 대상)에 따라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간 조사 산출 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어증 환자의 조사 오류 유형과 반응을 분석하였으며 실어증 환자의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의미역 명사 유형이 무엇인지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상 성인 20명과 실어증 환자 18명이었으며, 의미역 명사 유형(도구, 장소, 대상)에 따라 조사 산출 과제의 정반응률을 분석하였다. 조사 산출 과제는 ‘도구, 대상’의 의미역 명사를 제시하는 문항 20개, ‘장소, 대상’의 의미역 명사를 제시하는 문항 20개,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도구 의미역 명사에 도구격 조사 ‘-(으)로’를, 장소 의미역 명사에 처소격 조사 ‘-에’를, 대상 의미역 명사에 목적격 조사 ‘-을/를’을 적절하게 산출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역 명사 유형(도구, 장소, 대상)에 따라 조사 산출 정반응률을 살펴본 결과, 집단 간 조사 산출 정반응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어증 환자가 정상 성인보다 모든 의미역 명사에서 낮은 정반응률을 나타냈다. 또한 의미역 명사 유형 간 조사 산출 정반응률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구 의미역 명사와 장소 의미역 명사 간, 도구 의미역 명사와 대상 의미역 명사 간 조사 산출 정반응률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의미역 명사 유형과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 의미역 명사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대상 의미역 명사에서의 집단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에서 기인하였다. 둘째, 조사 산출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오류 유형 및 반응을 분석한 결과, 총 38.13%의 오류율을 보였고 대치 오류(80.62%)가 생략 오류(19.3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 의미역 명사에 결합하는 도구격 조사에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33.27%), 도구격 조사는 목적격 조사로 가장 많이 대치되었다(34.07%). 장소 의미역 명사에 결합하는 처소격 조사도 목적격 조사로 대치되는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35.62%), 대상 의미역 명사에 결합하는 목적격 조사는 처소격 조사로의 대치 오류가 가장 많았다(29.13%). 셋째,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의미역 명사 유형(도구, 장소, 대상)을 분석한 결과, 장소 의미역이 실어증 중증도를 40.8%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어증 환자가 의미역 관계를 파악하고 의미역에 적절한 조사를 산출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과제는 실시 시간이 짧고 간편하며, 의미역과 조사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case-marker production due to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in people with aphasia(PWA). Errors of case-marker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and the severity of aphasia was examined. In this study, case-marker production task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by providing two different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and one verb, and the participant produced adequate case-markers. Eighteen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twenty normal adults participated. The results follows: (1)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all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compared to normal adults. Group differences in the instrument noun phras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heme noun phrases. (2) About 38% errors were produced by PWA in this task, which were mostly substitution errors(80%) rather than omission errors(20%). In instrument and location thematic nouns, most of the instrumental(34%) and locative(39%) case-marker was substituted by the objective case-marker. In theme thematic nouns, the objective case-marker was mostly substituted by the locative case-marker(29%). (3) The location noun phrase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of the severity of aphasia by 40.8%. In conclusion, PWA showed difficulty in case-marker production by building the sentence structure with nouns and the verb. This is because thematic processing requires high processing load. Moreover, case-markers in korean have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matic roles; PWA in Korea could not use case-markers to comprehend thematic roles in this task. Since case-markers are important linguistic features in comprehending and producing sentences in Korea, the ability to use accurate case-markers in noun phrases due to thematic role is import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