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에서의 의미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이 취학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Title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에서의 의미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이 취학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reatment(Real word, Nonword) in the Shared Storybook Reading Interven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uthors
백경랑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말소리는 인간이 자신의 의사를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리로, 언어적 표현은 말소리가 다른 소리와 합쳐져서 형성된 단어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김수진, 신지영, 2015). 말소리장애는 말소리와 관련된 어려움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취학전기 아동들 중 높은 출현율로 나타난다. 말소리장애는 말의 어려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읽기·쓰기와 같은 학업기술 및 대화기술, 사회적 관계에서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말소리장애와 관련된 중재는 지난 100년동안 다양한 이론적 배경에 따라 수많은 중재 방법들이 연구되고 사용되었다. 전통적인 중재 방법 분류는 크게 음성적 접근과 음운적 접근으로 나누고 있으며, 여기에 의사소통적 치료접근법을 추가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기준으로 치료방법을 범주화하고 있는데, Wren et al.(2018)은 말 산출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 따라 중재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ren et al.(2018)의 말소리장애 중재방법의 다섯 가지 분류 중 환경적 접근에 초점을 두어 중재를 개발하였다. 환경적 접근은 아동의 말소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인위적인 활동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중재하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일상생활 환경 내에서 책을 읽으며 상호작용을 하는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는 이러한 환경적 접근의 맥락에 포함되는 것으로, 성인과 아동이 함께 책을 읽으며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조음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바탕으로 하여 의미 자극어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을 사용하여 두 훈련방법 중 아동의 조음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은 실생활에서 취학전기 아동들이 뜻을 이해하고 친숙하게 사용하는 단어 중, 목표음소를 포함하는 단어를 훈련단어로 선정하여 이야기 안에서 반복적으로 산출하도록 한다.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은 목표음소를 포함하는 무의미 자극어를 만들어서 이야기의 체언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산출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과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을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 안에서 실시하며, 두 훈련방법의 자음정확도 향상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 중재 시, 단어 어휘성에 따른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과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을 취학전기 말소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할 때, (1) 두 훈련방법 중 목표음소 자음정확도, 전체음소 자음정확도에 더 효과적인 훈련방법, (2) 두 훈련방법 중 비훈련단어로의 일반화 및 언어학적 단위(문장)로의 일반화에 더 효과적인 훈련방법, (3) 두 훈련방법 중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데 더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중재 효과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아동은 표준화된 말소리검사 결과, 또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백분위가 1% 이하로 나타난 취학전기 말소리장애 아동 4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설계는 두 훈련방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TD)를 이용하였다. 교대중재설계에서는 비교하고자 하는 중재들을 빠른 간격으로 교대하여 적용하기 때문에(이소현, 박은혜, 김영태, 2000), 본 연구에서는 두 훈련방법을 하루 중 시간 간격을 두어 1회기씩 번갈아가며 진행하였다. 또한 순서 효과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매 회기 두 훈련방법이 교대로 먼저 시작하도록 하였다. 각 회기는 훈련단어 및 일반화 평가 10분,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가 20분 동안 진행되었다. 중재 단계는 의미 자극어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을 모두 실시하는 것을 한 세트(set)로 하여 최대 20회기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며, 연속해서 3회기 동안 목표음소 자음정확도가 8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중재 종결 준거를 충족한 것으로 보고 중재 단계를 종결지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 중재에서의 의미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을 실시한 결과, 모든 대상아동이 두 훈련방법 중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에서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의 일반화 효과 비교는 비훈련단어로의 일반화와 언어학적 단위로의 일반화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비훈련단어로의 일반화에서는 네 명의 대상아동 모두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이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보다 더 큰 중재 효과크기(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Parker, Vannest, & Brown, 2009)를 나타내었으며, 언어학적 단위로의 일반화에서는 세 명의 대상아동은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에서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보다 더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대상아동 4는 중재 단계에서는 중재 IRD가 두 훈련방법에서 모두 우연 수준(chance-level) 이하로 나타나서 언어학적 단위로의 일반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지 단계에서는 두 훈련방법 모두 효과크기가 0.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지 단계에서의 중재 방법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세 명의 대상아동은 두 가지 훈련방법 모두 같은 크기의 효과를 나타내어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상아동 2는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이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보다 중재 효과의 유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에서의 의미 자극어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의 효과성을 비교하였을 때, 중재 효과, 일반화, 유지에서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이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재 효과 및 유지 측면에서는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도 효과적인 훈련방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은 다양한 대상자 및 목표음소에 따라 쉽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특성 및 필요에 따라 적합한 중재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의미 자극어 훈련방법은 무의미 자극어 훈련방법보다 비교적 효과 크기가 작게 나타나긴 했지만, 아동이 실생활에서 친숙하게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조음 훈련을 하므로 실생활에서 반복해서 접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는 기존에 행하여지던 일반적인 조음 중재 방법보다 치료의 중심을 아동에게 둔 중재 방법으로, 아동이 흥미를 갖는 이야기책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를 한다면 아동이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Speech sound disorder means that there is a difficulty with speech sounds, and it appears at a high prevelance among preschool children. Speech sound disorder does not only end with the difficulty of language, but can also lead to dififficulties in academic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relationships, which can have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personal life. Intervention of speech sound disorder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in a number of ways over the past 100 years, depending on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study, treatments were developed with a focus on environmental approach which is based on five intervention model in Wren et al.(2018) study. Shared Storybook Reading(SSR) is include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approach, and aims to improve a child’s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PCC) in the circumstance of interaction between adults and children while reading books together. In addition, real word and nonword treatments are applied based on SSR, Therefore,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which of the two treatment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s PCC. This study used an adapted alternating treatment design(ATD) compares: (1) the effects of real word and nonword on SSR intervention on articul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2) generalization effect into untreated words and linguistic unit(sentence), and (3) its maintenance effect. In this study, ATD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interven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5;0-6;0). Every session conduct 10 minute test, 20 minute training by SSR. Subjects took tests about treated words and untreated words and sentences(for generalization)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hases. In the intervention phase, each Subject was trained twice a week for 20 sessions, and if a Subject achieved 80% or higher target phoneme PCC ending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intervention program has been completed. also, a follow-up survey was carried out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leted by evaluating the treated and untreated words and sentences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to assess the maintenanc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Subject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improvement in the articulation ability in nonword treatment than real word treatment. compar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as measured by the target phoneme PCC and total PCC. Second, the comparison of generalization effect of intervention was examined separately by generalization as a untreated word and generalization as a linguistic unit(sentence). in the generalization of untreated words, all four Subjects indicated an intervention IRD(Improvement Rate Difference) in which the nonword treatment was better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in the generalization as a linguistic unit, three Subjects showed greater effect size in the nonword treatment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Subject 4 was found to have no generalization as liguistic unit in intervention phase, with both treatment showing IRD below the chance-level(.05). Third, maintenance phase starte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hase. In maintenance phase, Comparing the effect of treatments in maintenance phase, both Subjects(1, 3, 4) were found to have same effect, with both treatment showing an effect size of 1.00. and the participant 2 indicated that the nonword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intervention effect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Overall, In the SSR program, when the effectiveness of real word and nonword treatment was compared, in intervention effect,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the nonword treatment indicated greater effect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the real word treatment was effective intervention in terms of intervention effectiveness and mainten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