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서새희-
dc.creator서새희-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22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2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63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746-
dc.description.abstract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의 결함이나 병변으로 인한 운동과 자세장애로(Blair, 2006), 근육운동뿐만 아니라 말 산출에 주요한 호흡, 발성 및 조음기관 등의 근육운동 조절에 영향을 미쳐서 낮은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를 보이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인다(Platt, 1980). 이에 따라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말 치료는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자음정확도를 향상 시키거나 말명료도를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짧은 호흡, 낮은 강도, 부정확한 조음, 조음 기관 근육의 약화 등이 뇌성마비 환자의 낮은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Zivkovic & Golubovic, 2012). 이에 따라 해당 요인들을 훈련하여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를 증진 시키는 중재 및 실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조음 치료의 경우 대부분 기능적 조음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은 기질적 조음음운장애로 하나의 음소를 집중적으로 치료하며 감각·지각훈련을 기초로 하는 음성적 접근법의 치료가 강조되었으나(석동일, 2009), 음운적 접근법의 치료에 대한 중요성은 많이 인식되지 않았다. 뇌성마비 아동의 말명료도 증진을 위한 음성 강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는데, 그 중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LSVT(Lee Silverman Voice Treatment)의 경우 회기 당 치료시간이 50-60분으로 길기 때문에 치료대상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신희백, 2018), 언어치료사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LSVT를 사용하기 위해서 워크샵을 통해 일정시간 수료 후 수료증을 발급받은 이후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사용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LSVT 프로그램은 주로 파킨슨환자나 음성 강도가 낮은 음성장애 환자들에게 주로 사용되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한편, speech cues는 뇌성마비 아동의 말 특성 중 하나인 낮은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음성 강도를 증진시키고, 전반적인 말명료도를 증진시키는 기법이다. 특히, 조음치료기법 중 음운적 접근법에 해당하는 최소대립쌍 치료법과 비구어적 치료 접근법인 음성 강도 증진법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 아동이 말 산출을 할 때 제공되는‘Big mouth’와 ‘Strong voice’의 두 가지 지시를 의미한다. 이는 speech cues를 이용한 발화와 뇌성마비 아동의 평소 발화를 비교 분석한 실험 연구에서 음성 강도 증진 및 말명료도 증진에 효과를 보이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기법으로 대두되고 있다(Levy, 201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peech cues를 이용한 단어 및 문장 수준에서의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중재 단계에서의 훈련 목록뿐만 아니라 훈련받지 않은 목록에서도 일반화가 되는지, 중재가 모두 종료된 3주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speech cues가 중재 기법으로서 가치가 있는지 살펴보고, 임상에서 좀 더 쉽고 간편한 중재로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 총 3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통해 중재에 따른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은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일반화 단계, 유지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목표 음소인 /ㅃ, ㄸ, ㄲ, ㅅ, ㅆ/가 어두초성, 어중초성 위치에 모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으로 반복훈련하며 그 수행력을 측정하였다. 중재는 LSVT 프로그램의 집중치료를 참고하여 약 한 달간 주 4회, 총 16회기로 진행하였으며, 대상 아동들이 피로하지 않게 한 회기 당 30분으로 진행하였다. 회기 내에서 speech cues의 두 가지 지시인 ‘Big mouth’에서 단어 및 문장의 반복훈련을 실시하고, 이후 ‘Strong voice’에서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 유지 단계에서는 연속된 3회기 동안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가 유지되는지 관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peech cues를 이용하여 단어 및 문장의 반복훈련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아동은 모두 기초선 단계에 비해 중재 단계 및 유지 단계에서 평균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효과크기 분석 결과, 아동A와 아동C는 단어 수준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문장 수준에서 중간 효과가 나타났다. 아동B는 단어와 문장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며 각 아동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말명료도의 경우, 3명의 아동은 모두 기초선 단계에 비해 중재 단계 및 유지 단계에서 평균 말명료도가 향상되었으며, 효과크기 분석 결과, 아동A와 아동C는 단어 수준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문장 수준에서는 매우 높은 효과를 보였다. 아동B의 경우 단어와 문장에서 모두 매우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아동 모두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서 유지 단계에서 기초선 단계에 비해 향상된 수준의 수행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재 효과가 훈련받지 않은 단어 및 문장에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아동 모두 유지단계에서 기초선 단계에 비해 향상된 수준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 분석 결과,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대한 유지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speech cues를 이용한 단어 및 문장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 향상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중재 도구로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erebral palsy is motor and posture disorder caused by immature brain defects or lesions. This shows low percentage correct consonants(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because it affects major breathing, vocalization, and muscle movement control of the articulation organs in speech production as well as muscle exercise. Therefore, speech therapy for cerebral palsy may be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PCC or increasing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in order to redu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Speech cues are a technique for enhancing voice intens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to supplement for low intensity, one of the spee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particular, it is a technique that can apply both the minimal pair contrast therapy and the voice intensity enhancement and the technique means providing two instructions when a child speaks: 'Big mouse' and 'Strong voice.'. This is a new intervention techniqu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wing an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voice intens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experimental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with habitual speech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speech cues. Thus, this study observes the effect of repetitive training at the word and sentence level using speech cues on the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doing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as an intervention technique using speech cues and find its utility with easier and simpler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In this regar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Does an repetitive training using speech cues improve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 Does the generalization effect on untrained word and sentence? (3) Does the maintenance effect of improved the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after intervention? In this study, I observed the change in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thre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r intervention through multi probe design cross subjects. The intervention period was conducted four times a week for about a month, a total of 16 sessions, referring to intensive treatment in the LSVT program, and 30 minutes per session to prevent the children from getting tired. Then, repeated training of words and sentences containing target phonemes was conducted with two instructions of speech cues, 'Big mouse' and 'Strong vo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ree children have improved their average PCC in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But,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analysis, child A and C did not effect at the word level, and there was an middle effect in the sentence. Child B has a high effect on both words and sentences, so the effect is different for each child. three children had improved the average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and as a result of the effect size analysis, child A and C had high effect at the word level, and very high effect in sentence level. Child B had very high effects in both words and sentences. Second, three children kept their improved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stable in the maintenance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It could be seen that the intervention effect was generalized in untrained words and sentences. Third, three children showed improved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maintenance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and the effect size analysis showed very high effects. Therefore, even after the intervention is completed,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PCC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is very high.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word and sentence repetition training using speech cues had a generally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was value using as an intervention techniq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뇌성마비 아동의 말 특성 7 B. 뇌성마비 아동의 말 치료 9 C. Speech cues 11 Ⅲ. 연구 방법 13 A. 연구 대상 13 B. 검사 도구 16 C. 실험 도구 18 D. 실험 기간 22 E. 실험 장소 22 F. 실험 설계 22 G. 실험 절차 23 H. 자료의 측정 및 분석 29 I. 신뢰도 32 J. 중재 충실도 33 K. 사회적 타당도 34 Ⅳ. 연구 결과 35 A. 중재에 따른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 변화 35 B. 중재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의 자극일반화 효과 46 C. 중재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의 유지 효과 52 Ⅴ. 결론 및 논의 55 A. 결론 및 논의 5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67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12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Speech cues를 이용한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Repeated Training Using Speech Cues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c.creator.othernameSeo, Saehee-
dc.format.pagevii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