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연구

Title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erson-in-the-Rain Assessment based on the Level of Job Stress of Caregiver
Authors
선진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erson-in-the-Rain’ (hereafter will be called PITR) drawing test as the tool to diagnose job stress of care-givers, and to examine internal resources used to cope with job stress of them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onses to the PITR drawing tes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onses depending on their working places (in the patient’s home or nursing centers).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tries to solve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job stress and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Seco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depending on the degree of job stress?; Thir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depending on where they work (in the patient’s house or nursing center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220 caregivers who work in 4 senior welfare centers for the in-home elderly and 4 nursing centers for the elderly in 2 cities, Gyeonggi province. What this research used as test tools were the Job Stress Scale for caregivers composed of 12 questions developed by Bi-a Im (2016) and the PITR drawing test.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is research used the SPS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Various statistical test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were appl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us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respon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 middle, and low groups) depending on the degree of job st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were calculated per each grou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on job stress and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were showed that religiousness, subjective economic state,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the number of old persons they care significantly affect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the number of old persons they care creat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resources in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of them.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tress group and low stress group in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total resources,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In the lower domai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person’.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working place of caregivers on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mbiguous role of job stress. Pl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resources in the scores of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tress, total resources,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depending on working places between high stress group and low stress group. In the sub-domain, in-home caregive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all items of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In the lower items for the resources to cope with the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aring umbrella,’ ‘other protective device,’ and ‘the whole person’. In the PITR drawing stress test for caregivers in nursing centers for the elder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re is no rai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Accordingl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are-givers 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response to the PITR drawing test, there were m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s related with resources to cope with the stress. Accordingly,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PITR drawing test is a tool to figure out psychological capabilities of care-givers to cope with job stress which cannot be grasped through self-reporting survey techniqu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possibility to use projective drawing in measuring job stress of caregivers.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can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PITR drawing test can be used as useful source to figure out resources to cope with stress as well as stress, an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serve as the basic sources for such researche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과 근무 위치(재가, 시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살펴보고,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요양보호사 직무 스트레스를 진단하며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내적 자원을 파악하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요양보호사의 근무 위치(재가, 시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 B시에 위치한 재가노인복지시설 4곳과 노인요양시설 4곳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20명이다. 연구 도구로는 총 12문항으로 구성한 임시아(2016)의 연구에서 사용된 요양보호사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내적 합치도(Cronbach's 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상, 중, 하위군으로 분류하기 위해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집단을 구분한 후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 종교의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주 평균 근무시간, 담당 어르신의 수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담당 어르신 수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총 자원과 대처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 상위군과 하위군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스트레스와 총 자원 그리고 대처능력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영역에서는 ‘인물의 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근무위치(재가, 시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 요양보호사의 결과로는 직무 스트레스의 역할 모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점수의 총 자원과 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 위치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상위군과 하위군을 통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에서는 스트레스와 총 자원 그리고 대처능력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재가시설 요양보호사의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스트레스 영역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처자원 하위항목에서는 ‘우산을 들고 있음’, ‘다른 보호 장비’, ‘전체인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비가 없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처자원과 관련한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가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는 자기보고식 설문기법에서 파악할 수 없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심리적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측정에 있어서 투사적 그림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동시에 요양보호사를 위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 스트레스뿐 아니라 대처자원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제공할 가능성을 확인하며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