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애니메이션 미술치료에 담긴 트랜스젠더의 이상과 현실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애니메이션 미술치료에 담긴 트랜스젠더의 이상과 현실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f Transgender Ideals and Reality Through Art Therapy Using Animation
Authors
김유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활동을 통해 트랜스젠더 여성의 삶을 탐구하고, 애니메이션 작업이 지니는 치유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트랜스젠더 여성의 삶의 경험과, 그를 바탕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이 담고 있는 이야기의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 내터티브 탐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와 연구자는 신뢰로운 관계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이라는 틀 안에서 참여자 개인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지 과거부터 현재까지 심층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트랜스젠더로 스스로를 정체화 한 35살의 개인이다. 트렌스젠더는 생물학적 성과 정신적인 성이 일치하지 않아 수술과 치료를 통하여 생물학적 성이 아닌 정신적인 성으로 삶을 지향하며 살아간다. 참여자의 경우, 유아기부터 정신과 신체의 불일치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을 호소하고 사춘기부터 자신 스스로를 여성으로 정체화 한 이후 트랜스젠더로 살고 있었다. 참여자는 성전환 수술을 앞둔 상태에서,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데에 흥미를 느껴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미술치료는 2019년 10월 21일부터 시작하여 2020년 02월 2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평균 주 2회씩 120분간 총 1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참여자의 삶을 심층 탐구하기 위해 미술치료의 사전 인터뷰 및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사후 완성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감상과 인터뷰 시간을 가졌다. 연구자료 분석은 연구자의 일지, 참여자 메모, 미술치료 작품 과정 사진과 참여자와의 미술치료 현장 축어록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연구텍스트는 모든 자료를 반복하여 읽고 큰 흐름을 파악한 후 분류와 재구성의 과정을 거쳐 구성되었다. 그 결과, 트랜스젠더 여성의 삶에 대한 경험은 <어른들은 여자를 싫어해>, <부러운 걸까? 좋은 걸까?>, <본격적으로 살기 시작하였다>, <평범한 나로 살아보자>, <사랑의 페르소나>, 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미술치료에서 애니메이션을 통해 <눈은 마음의 창이다>, <목소리를 통해 감정을 담다>, <나는 설 곳이 없다>, <주위엔 아무도 없었다>, <도덕과 비도덕 사이의 경계를 걷다>, <소박한 미래를 희망하다>로 다시 이야기 되었다. 탐구를 마치며,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뿐만 아닌 성소수자로서 트랜스젠더의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트렌스젠더를 포함한 성소수자를 대함에 있어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가 무엇을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었으며, 특히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징적인 매체가 가진 치유적인 측면에 대해 탐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애니메이션은 참여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상징적으로 담는 중요한 치유적 매체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창조와 상상이 가미되어 참여자 무의식을 표현하고 의식화 하는데 보다 용이 하였고(민서희, 2013)참여자 제작 감상을 통한 정서적 통찰을 얻었다. 본 연구는 트랜스젠더에 대한 질적인 연구가 미흡한 국내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미술치료적 접근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사례를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국내 트랜스젠더의 삶의 대한 이야기를 보다 진솔하고 편견없이 나누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를 바란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a transgender woman through the activities of producing animation and to investigate its therapeutic effect. Using a method of narrative inquiry, a transgender woman’s life experiences expressed in a form of animation were stud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rust relationship, the participant an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reorganized the participant’s life chronologically in the framework of animation.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is a 35 year-old individual, who identifies herself as a transgender. The term transgender describes those who identify with a gender that's different from the sex assigned at birth and pursue life of their identified sex by going through surgery and/or treat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has been complaining psychological discomfort from the inconsistency between her identified sex and biological sex since she first identified herself as a transgender in adolescence. She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fore undergoing the transgender surgery, because the idea of making animation and looking back on her life through art therapy seemed intriguing. A total of 16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1, 2019 to February 26, 2020, for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To better understand the participant’s life, interview and counseling were conducted prior to art therapy sessions and the completed animation was discussed after the therapy sessions, as well. The researcher's journal, participant’s notes, photographs of the art therapy work process, and verbal record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used for analysis. The text for research was then composed by recapping all collected data, identifying the key topics, and categorizing and reconstructing them in narrative form. The key ideas from the interviews identified by the research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 , , , and . After the art therapy, those ideas were recounted as being , , , , , and . After the therapy,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stand not only the life of the subject of the study but also the life of sexual minority, including transgenders, in more depth. In particular, the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role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 when counselling transgenders and people of sexual minority. Furthermore, it provided a chance to explore the therapeutic aspects of the medium of animation. In this study, anim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as a therapeutic medium that symbolically narrated the story of the participant’s life, but it also added space for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made the transition from the participant’s unconsciousness to conscious reality more smooth. Lastly, the participant’s (Min Seo-hee, 2013) feedback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provided an insight to her emo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attempted a narrative inquiry of a transgender person in Korea, where there is a lack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 Furthermore, studying the actual case as an alternative to the art therapy approach was meaningfu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share and reflect on the lives of transgenders in Korea more openly and without prejud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