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린이 신문 활용 연어 교육 방안

Title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린이 신문 활용 연어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Method of Teaching Collocation Using Newspaper for Kids for Korean Learners
Authors
연미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어린이 신문을 활용하여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휘를 안다는 것은 어휘의 의미와 형태 정보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대화 상황에서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개별 어휘는 사용 환경에서 어떤 형태로 어떤 단어와 어울려 쓰였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가 될 수도 있다. 중고급 학습자들이 숙달도에 비해 유창성이 늘지 않는 이유도 어휘의 사용 환경에 대한 직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휘의 사용 방법, 즉 연어에 대한 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교육은 실제 의사소통 수행에 목적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에서 연어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진 연어 교육의 방안과 신문 활용의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연어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본고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어휘적 연어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다. 또한, 신문 활용 교육의 특징을 살피고 신문을 활용한 연어 교육의 방향에 대해 짚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어 교수 학습 설계를 위해 현재 발행하는 어린이 신문 3종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어린이동아를 교육 자료 도구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정한 연어 교육용 신문 기사 선정 기준에 따라 연어 교육 텍스트와 연어를 선정하였다. 연어 교육 모형은 PPP(제시-연습-사용) 교수 모형을 토대로 ‘도입-인식-이해-사용-마무리’의 5단계로 재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교육 설계를 토대로 5단계의 연어 교육 실제를 제시하였다.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 주제를 확인하고 동기 유발 및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해 시각 자료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인식-이해-사용의 단계는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을 이루었다. 인식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연어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도록 ‘인식하기’ 활동을 배치하였다. 이해 단계는 의미를 이해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문맥에서 의미 추론하기’, ‘이미지를 통한 연어 의미 연상하기’, ‘사전과 인터넷을 활용한 연어 확장’, ‘연어의 형태 바꿔보기’ 활동을 마련하였다. 사용 단계에서는 실제 언어 사용 환경에서 연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사 주제에 따라 ‘짧은 글쓰기’, ‘토론하기’, ‘토의하기’ 등의 쓰기, 말하기, 듣기 활동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선행 연구가 부족한 어린이 신문의 교육적 의의를 찾고 이를 활용하여 연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이 연구 방안은 실제 수업을 통해 효율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학습 자료를 매개로 한 연어 교육의 방안이 나오길기대하며 본 연구가 어린이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에서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collocation using newspaper for kids to help Korean learners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Knowing vocabulary includes not only knowing the meaning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words, but also using it correctly in real conversations. Each vocabulary word can have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form and word used together in the context. The reason why the speaking skill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re not as fluent as their proficiency is because they lack intuition about the context of vocabul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each how to use vocabulary, i.e. collocation, and th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purpose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in real life. To this end, Chapter I clarifi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collocation education in Korean learning and reviews the educational value of collocation and newspaper use, which was revealed in preceding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In chapter Ⅱ, vocabulary collocation is established as the research scop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o help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type of collo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based education are explored, and the direction for collocation education using newspapers is examined. In chapter Ⅲ, the three types of currently available newspapers for kid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o design a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collocation, and Kids DongA, which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lect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text for teaching collocation and collocation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newspaper articles for collocation education, which are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collocation education model is reconstructed in five stages of “Introduction-Recognition-Understand-Use-Finish” based on the teaching model of PPP (Presentation, Practice, Production). Based on the education design in chapter Ⅲ, chapter Ⅳ presents five stages of collocation education. In the Introduction stage, a method of using visual data is suggested to identify learning topics, motivate learners, and 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the class is designed with the stages of Recognition-Understanding-Use where proactive activities are performed. In the Recognition stage, the activity of “recognizing” is provided for learners to infer the meaning of collocation on their own. In the Understand stage, activities such as “inferring meaning in the context,” “associating images with the meaning of collocation,” “expanding collocation using dictionary and the Internet,” and “changing the form of collocation” are conducted to help understand and expand meaning. In the Use stage,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are linked with “writing short stories,” “discussing,” and “debating” for each topic of articles to help utilize collocation in their actual convers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the educational value of newspaper for kids, which has not been studied enough in Korean education, and designed a collocation education method using newspaper for ki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failing to prove the efficiency on the ground. It is expected that measures for collocation education us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will be developed following this study and that it will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in Korean collocation education using newspaper for ki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