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에 나타난 바꿔 쓰기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에 나타난 바꿔 쓰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aphrase of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n: Using the Think Aloud Method
Authors
노경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에 나타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바꿔 쓰기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고 구술을 활용하여 인지적 글쓰기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술적 글쓰기에서 요구되는 능력으로는 학술적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맥락에 의거하여 전문적인 글을 기술해 나갈 수 있는 기술이다. 학문 목적 글쓰기는 필자에 의해 주관적인 사고로 수행될 수 없으며 인용이라는 특별한 형식을 통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인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타 연구자의 참고 텍스트를 맥락에 의거하여 이해한 후에 그것을 원텍스트의 맥락을 유지하며 새로운 텍스트로 재산출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간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은 쓰기 과정을 위한 지도보다는 학습자가 산출한 텍스트의 오류 판단과 수정에 집중된 것이 사실이었다.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외국인 유학생들은 간접 인용을 활용해서 작문하는 형식적 측면의 인용 글쓰기를 수행하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작 대학에서 전공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를 대면하면 무슨 내용을 어떻게 채워야 하는지에 관한 고민에 빠지는 것이 현실이다. ‘내용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내용 구성’을 위한 ‘내용 지식’에 관한 활용을 한국어 교사는 학습자로부터 끌어내야 하지만 글쓰기 과정은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인지적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학술적 글쓰기에서도 내용 구성뿐만 아니라 내용 지식의 활용, 그리고 필자의 언어로 재산출해야 하는 복합적인 사고 과정이 요구되는 바꿔 쓰기 과정을 분석하면 인지적 관점에서의 학술적 글쓰기 과정을 조금이라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본 연구는 분석의 도구로써 사고 구술을 활용하였다. 사고 구술은 구두 보고를 통해 피험자의 사고를 분석해 내는 한 방법으로서 글쓰기를 문제를 수행해 나가는 과정으로 보고 이를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사고 구술법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피험자가 제시된 주제에 따라 학술적 글쓰기를 수행하면서 일어나는 생각을 모두 발화하도록 하여 쓰기 전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바꿔 쓰기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를 선행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학술적 글쓰기의 교육은 산출된 텍스트의 형태, 통사론적 쓰임의 오류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바꿔 쓰기의 연구도 개념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많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개념과 사고 구술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학술적 글쓰기의 주요 특징은 인용이며 이 인용을 어떤 측면에서 수행하느냐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간접 인용의 한 종류인 바꿔 쓰기의 유형과 범위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텍스트언어학에서 의미하는 상호텍스트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절차와 연구 도구를 밝혔다. 연구 절차는 먼저 실험 참가자 모집→ 오리엔테이션→ 사고 구술 연습→ 1차 실험→2차 실험→ 2차 실험 후 사후 대담→ 구두 보고 자료와 바꿔 쓰기 텍스트 분석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이 실험은 피험자에게 두 개의 글쓰기를 하도록 하였다. 두 개의 주제가 제시됐는데 한 개의 주제에 총 세 개의 참고 텍스트가 주어졌다. 피험자는 글을 쓸 때 제시된 참고 텍스트를 바꿔 쓰기를 하여 자신의 글에 옮겨쓰는 것이다. 참고 텍스트 이외에 피험자 자신이 직접 자료를 검색하여 찾은 참고 텍스트를 활용해서 글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글을 쓰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모든 생각은 입으로 소리내어 발화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모두 영상으로 녹화가 되었다. 실험이 끝난 뒤에는 피험자와 인터뷰를 하였다. 구두 보고에서 발견된 양상은 텍스트로 전사되어 분석에 활용되었다. Ⅳ장에서는 전사된 텍스트와 녹화된 언어프로토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을 크게 인지 과정과 초인지 과정으로 나누었다. 피험자의 산출된 자료를 통해서 인지 과정에서의 여러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험자는 주로 개념어를 중심으로 참고 텍스트를 파악하려고 했으며 텍스트와 텍스트 간 상호텍스트성이 부족한 텍스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인용의 형식적인 측면은 오류 없이 잘 수행되었는데 이는 인용 쓰기 교육이 형식적인 측면에서 많이 강조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초인지 과정에서는 피험자의 특정할 만한 사고 과정을 발견해낼 수 없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이 학술적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지점으로 ‘내용’에 관한 기술과 구성이었는데 이를 위해서는 인지적 과정뿐만 아니라 초인지적 과정의 정신적 활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쓰기 교육을 위해서 쓰기가 발생되는 쓰기 과정뿐만 아니라 쓰기를 수행하기 위한 인지적 과정과 초인지적 과정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결론을 맺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사고 구술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산출된 텍스트로는 분석할 수 없는 글쓰기의 과정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형태 통사에 기반한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텍스트가 산출하였는가에 관한 물음을 바탕으로 필자의 입장에서 글쓰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초인지 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쓰기 교육은 오롯이 쓰기 교육으로만 해결할 수 없으며 학술적 텍스트의 풍부한 ‘읽기’교육과 연관 지어 수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여 외국인 학술적 글쓰기와 관련된 교육과정 개발에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study on paraphrase of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n and to find out the process how foreign students produce the text during the academic writing. The academic writing needs the technique and skills for authors to comprehend the reference text and produce it to the new text containing original context that meets the rules of citation and exists the Intertextuality in the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writing that include authors express their opinion and expression logically and objectively to refer to the research of professionals i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However, the ones who study it as foreign students in Korean think of themselves that they do not recognize how to compose the contents after being aware of the way of citation on academic writing. The focus on teach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n on the academic writing has been conducted on judgements as well as adjustment how it is well composed without errors and misuses of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syntax and morphology. In the middle of the discussion about which the goal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to foreign students should be transfered from the error checking to the process of writing is getting risen,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capture the moment of the cognitive process while authors write the academic writing. For this research, the one of the methods from the Verbal Reports, Think Aloud is the main tool to analyze the full process of writ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completed by foreign students in Korea who have high level proficiency. Think Aloud is considered as the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interfere the cognitive process of human-being and leads to the feasibility to trace the process of academic writing composed by foreign students in Korean. And conducting the paraphrase during the academic writing means that authors need to have the complexity of thinking. Hence,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s on paraphrase is that the Think Aloud Methods makes it possible to watch the process of paraphrasing and it activates the thoughts during composing. From this, this study aimed at checking the aspect of writing and Intertextuality. ChapterⅠ, it reveal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viewed preceding studies on paraphrase on the academic writing in Republic of Korea. The review showed that the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judging the errors and misuses as well as following the rule of citation. These are mostly examined as the aspect of assessing the produced texts which includes none of Intertextuality in context. Chapter Ⅱ, the overall theories about the paraphrase on the academic writing, the definition of the academic writing, and The Verbal Reports as the Think Aloud are examined. In this chapter, it is closely checked about that the relation between text and Intertextuality in the context. How it is completed is checked by the theory of Verbal Reports, where the Think-Aloud is explained as the main tool for this study. Chapter Ⅲ, the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with the 2 foreign students as a subject. At the phase of the orientation, it is explained closely to two subjects how to conduct the academic writing and coincidently use the verbal reports. And the gesture of getting rid of the concerns about which subject may have to be judged as the one who may think of it wrong is conducted to avoid failures of analysis. Chapter Ⅳ,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the academic writing and verbal reports. In accordance with the tool of Analysis revised from the writing structure model of Flower&Hayes(1981), the produced text is examined few aspects; organizing, monitoring, assessing, contents, Intertextuality that includes generally cognitive process and super cognitive process. The remarkable patterns are observed, and this study accordingly makes it categorized with the analysis. Hereby, this study is the meaningful that it conducted the analysis of cognitive process during academic writing. And the way of conducting this study did not follow to check the result of writing without the context demanded by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but find the process in the middle of composing. This showed the pattern of what foreign students are strong and weak. The subjects who took park in this research knows well about the format of citation and transfer the reference text into their own text. However, when they need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they tend to compose text missing Intertextuality between paraphrased sentences and their own texts. While composing, their super cognitive process was not particularly monitored, and it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s to compose the good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n. I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for teachers how to teach the academic writing for high level foreign students in Korean qualified with the academic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