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for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Authors
권수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arch for and implement an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and examine reactions to it from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class? 2. What is the reaction of children and teacher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plan of block play for children from four-year-olds clas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four-year-old class at Eowoolim Kindergarten, an independent public kindergarten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include 22 young children in the Daon Class and their homeroom teacher. Trying to make an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the researher reviewed the curriculum for a four-year-old class in 2018, observation journals of young children's play, and photos and videos of free selective activities to check an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the Daon Class in addition to literature study. Stages 1 and 2 of the research took place on February 11~June 30, 2019. Stage 3 of the research lasted from September 14 to November 15 after the second semester began. The research procedure followed the order of recognizing problems with the old management plans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and searching for their solutions, the 1st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1st implementation and searching for 2nd implementation plans, the 2nd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2nd implementation and searching for 3rd implementation plans, and assessing the 3rd implementation. The outcom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llection of photos, videos, and brief sketches in the fields. After gathering education plans, observation records of young children, and the researcher journals, the researher categorized and coded them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specific operation plan was made and implemented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During the 1st implementation, the researher provided sufficient kinds and amounts of block play materials and added nonstructural play materials for supplementation to facilitate block play among young children. Enough space was prepared for free block play, and limits were lifted for the allowance and movement of play materials among the different areas of interest for the integration of the areas. The study assessed the 1st implementation plans and found that an issue emerged with the repetition of only certain play topics despite the high quality environment for block play, raising a need to find its solutions. During the 2nd implementation, supports were provided in connection to life topics to connect certain play topics to the curriculum. The scope of play topics proposed by young children was expanded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for various block play experiences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rates. The study evaluated the 2nd implementation plans and found that conflicts emerged again over certain play topics, raising a need for rules about permissive play materials and utilization of space. The 3rd implementation set a group of rules by reflecting the needs of young children and reorganized the space of block play so that they could continue and expand their play. Secondly, the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reactions to the operation plans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and found that they became more active to make use of play materials and spaces, increased their dramatic play with components, obtained better chances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participation in play, and improve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play. The researcher as a teacher increased her professionalism regarding the operation of block play to facilitate young children's play and enhanced her supports and interactive abilities for young children's block play. The present study raised a need to search for an operation plan for block play for four-year-olds and proposed a variety of operation plans to support their block pla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provide specific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ers in the field for the implementation of block play and contribute to their effective operation.;본 연구에서는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화성 시에 위치한 공립단설유치원인 어울림유치원 만 4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다온반 유아 22명과 연구자인 담임교사 1명이었다. 만 4세 학급유아를 위한 쌓기놀이의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자 2018학년도 만 4세 학급의 학급 교육과정과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한 일지 및 자유선택활동 사진 및 동영상을 보면서 다온반의 쌓기놀이 운영 방안을 점검하고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도 2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 1, 2차가 이루어졌으며, 3차 실행은 2학기가 시작된 이후 9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절차는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대한 문제점인식 및 이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실행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3차 실행방안 모색, 3차 실행 평가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현장약기로 기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육계획안, 유아관찰기록, 연구자 저널을 수집한 후 이를 범주화 및 부호화 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쌓기놀이를 촉진할 수 있도록 쌓기 놀잇감의 종류와 양을 충분히 제공하고 비구조적인 놀잇감을 추가하여 보충하였다. 또한 자유로운 쌓기놀이를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고 흥미영역 간 놀잇감 사용의 허용 및 이동의 제한을 없애 영역 간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1차 실행방안을 평가한 결과 양질의 쌓기놀이 환경이 조성되었음에도 특정 놀이주제만 반복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2차 실행에서는 특정 놀이주제를 교육과정과 연계하기 위해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지원하였다. 또한 유아가 제안한 놀이주제를 확장하여 다양한 쌓기놀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참여를 높이고자 하였다. 2차 실행방안을 평가한 결과 특정 놀이주제로 인한 갈등이 다시 발생하고, 허용적인 놀잇감과 공간 사용에 대한 규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ᄄᆞ라 3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요구를 반영한 규칙을 만들고 쌓기놀이 공간을 재구성하여 놀이의 지속 및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실시하였다. 둘째,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면 놀잇감과 공간 활용의 적극성 신장, 구성물을 활용한 극놀이의 증가, 유아의 주도적인 놀이참여 기회 향상, 놀이를 통한 문제해결력이 신장 되었다. 연구자인 교사에게는 유아의 놀이를 촉진하는 쌓기놀이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유아의 쌓기놀이에 대한 지원 및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만 4세 학급 유아를 위한 쌓기놀이 운영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쌓기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쌓기놀이를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