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참여 태도

Title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참여 태도
Other Titles
Aspects and Attitudes of Bada Class Children Aged 4 in Outdoor Sand Play
Authors
권영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순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outdoor sand play by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so understand aspects of the play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s the play. Henc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What aspects are there in the outdoor sand play by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2. What attitudes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have when participating in the outdoor sand play?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27 children aged 4 who were attending the Bada Class, a private kindergarten under the educational foundation, which is located at E-Gu, Seoul.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research, the study observed children's sand play with video recording, conducted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collected kindergarten homepage and survey for children at the Bada Class. Interpretations of the cases were done through the categorization on the data colle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utdoor sand play by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had an aspect of sand play which always continu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or play with natural objects. It means that they showe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outdoor sand play enough to enjoy it about every other day, in particular, boys had a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outdoor sand play. Furthermore, it also means play at a sand playground is done with various themes but sometimes a single theme is repeated and intensified. Besides, outdoor sand play by the Bada Class children created a new role when they played with natural objects, leading to more active sand play. Second, as for the attitudes 4-year-old Bada Class children showed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outdoor sand play, they had an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limited or passive attitude, onlooking or non-participatory attitude. In other words, children were planning and selecting their favorite play, never worrying about getting dirty. They played freely and showed an active attitude while taking the initiative in the play. In addition, they showed the limited attitude not going into a sand playground but playing only when they were not stained with sand, on the edge of the sand playground, and showed the passive attitude to play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laymate. Finally, during the outdoor sand play, they showed the onlooking attitude not participating in the play but watching play of their friends while asking a question or giving a suggestion only. They also showed the non-participatory attitude of rarely visiting a sand playgrou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outdoor sand play and reconfirmed its importance via specific case analysis on aspects of the outdoor sand play by the Bada Class children aged 4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본 연구는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를 살펴봄으로써 실외 모래놀 이 양상과 놀이 참여 태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의 양상은 어떠한가? 2.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에 참여하는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 E구에 위치한 학교법인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바다반 유아 27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영상 촬영을 병행하며 유 아의 모래놀이를 관찰하고, 유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치원 홈페이지, 바다반 원아 조사서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범주화 과정을 거쳐 사례를 해석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는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도 계속되는 모래놀이, 자연물과 함께하는 놀이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다반 유아들이 이틀에 한 번 꼴로 실외 모래놀이 를 찾는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특히 남아들의 실외 모래놀이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래놀이터에서의 놀이는 다양한 주제로도 진행이 되지 만, 하나의 주제가 반복 심화되어 나타나기도 함을 의미한다. 또한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는 자연물과 함께 이루어 질 때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내는 등 더욱더 활발한 모래놀이가 가능하였다. 둘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에 참여하는 태도는 적극적인 참여 태도, 제한적이거나 소극적인 참여 태도, 방관자적 참여 및 비참여 태도로 나타났다. 즉, 유아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놀이를 계획하고 선택하며 자신이 더러워지는 것을 신경 쓰지 않고 자유롭고 주도적으로 놀이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모래놀이터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장자리에서만 놀이하거나 자신의 몸이나 옷에 모래가 묻지 않는 선에서만 놀이하는 제한적인 태도와 놀이친구의 선택에 의해 모래놀이를 진행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바깥놀이 시간에 놀이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친구의 놀이를 지켜보거나 질문, 제안만 하는 방관자적인 태도나 모래놀이터를 거의 찾지 않는 비참여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실외 모래놀이에 참여하는 태도에 대해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실외 모래놀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실외 모래놀이가 갖는 중요성을 재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