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와 음주 및 약물사용의 관계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와 음주 및 약물사용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lcohol and Substance Use: The Mediating Effect of Controlled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and Boredom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controlled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boredom, and alcohol/ substance use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ged between 18 and 29. Self-reported data from 408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a high level of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rolled motivation and boredom. However, the path from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to autonomous motivation, and the that from autonomous motivation and alcohol/ substance use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lcohol/ substance use. As a result of an analysis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a high level of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redom, which leads to alcohol/ substance use. Also, the dual medication effect of controlled motivation and boredom was significant for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lcohol/ substance use. Based on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given. Also,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lcohol/ substance use were suggested.;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와 음주 및 약물사용의 관계에서 통제적 동기, 자율적 동기, 권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및 경상도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 408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음주 및 약물사용 양상을 확인하고 각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와 음주 및 약물사용의 직접경로는 부적으로 유의하여, 이론적 근거를 통해 예측한 바와 반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가 권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이는 음주 및 약물사용의 증가를 설명하였다. 또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가 통제적 동기와 권태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주 및 약물사용 수준의 증가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자율적 동기를 거치는 매개 경로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와 음주 및 약물사용의 관계에서 통제적 동기와 권태가 주요한 매개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통제적 동기와 권태에 중점을 둔 개입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