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8 Download: 0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A relationship between Minority Stress and Well-being of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in Korea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and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Authors
황단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이성애 중심의 사회에서 한국 성소수자(LGB)들이 경험하는 소수자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보호 요인을 찾고 변인 간의 관계를 밝혀 성소수자(LGB) 대상의 교육과 상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한국 성소수자(LGB)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16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 v.3.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뒤, 성적 지향에 따른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시행하고,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후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수자 스트레스,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수자 스트레스는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 정신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은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 정신적 웰빙과 정적 상관을,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은 정신적 웰빙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소수자 스트레스,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공동체 의식, 정신적 웰빙이 연구대상자들의 성적 지향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는데,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없었다. 셋째,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이 매개모형을 검증 결과,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소수자 스트레스가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을 매개로 정신적 웰빙으로 가는 간접효과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이 조절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 수준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수자 스트레스는 성소수자(LGB)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저하해 정신적 웰빙을 감소시키지만 이러한 영향은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지지해 주는 공동체는 성소수자(LGB)들에게 좋은 보호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소수자 스트레스로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성소수자(LGB)들에게 이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성소수자 공동체 참여를 유도해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한다면 성소수자의 정신적 웰빙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ity stress and well-being of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in Korea,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and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ho self-identified as lesbian, gay, or bisexual aged 18 or over. The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hrough online lesbian and gay communities and social networking platforms. A total of 164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mediated effects of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in relation to minority stress and well-be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ll-being,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and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were in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one-another, and well-being was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and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Second,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prove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ity stress and well-being.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minority stress mediated by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towards well-being turned out to be moderated by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minority stress also feel less well-being as their LGB positive identity level decrease. Als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LGB positive identity and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was significant when psychological sense of LGBT community was above ave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ies that support their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serve as good protectors for sexual minorities(LGB). Therefore, it will help increase the well-being of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in Korea if they are encouraged to establish a LGB positive identity by encouraging sexual minorities(LGB), which has a negative self-image due to minority stress, to participate in the sexual minority community that can support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