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의 관계

Title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and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uthors
이정화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또래 괴롭힘은 학교를 포함하여 또래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심각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또래 괴롭힘 현상을 집단에서의 역동적 과정으로 보고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가해동조행동’이 또래괴롭힘 상황을 심각하게 이끄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가해동조행동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부모의 가정적 요인, 또래 집단 사이의 사회적 요인, 개인 내적 인지적 요인을 포함해 다차원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괴롭힘 가해동조의 관계에서 지각된 인기도의 조절효과와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1·2학년 43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측정 도구로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 척도, 인기도 측정을 위한 또래지명법, 도덕적 이탈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측정 변인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기 위해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계수를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남녀 간 평균 차이가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괴롭힘 가해동조행동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인 지각된 인기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조절효과의 구체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또래괴롭힘 가해동조행동, 지각된 인기도는 남여 학생 간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도덕적 이탈에서는 남학생의 도덕적 이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의 관계에서 지각된 인기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왔다. 즉, 지각된 인기도가 평균 이하인 경우에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심할수록 가해동조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의 부분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또래 괴롭힘 가해동조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녀의 도덕적 이탈을 수준을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가해동조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또래 괴롭힘 예방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가해자, 피해자는 물론 주변인까지 포함한 전학교접근(whole-school apporach)방식으로 실시될 것을 강조하며, 가해동조행동 역시 수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는 심리적 통제와 같은 태도는 지양하고 애정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양육태도로 자녀가 올바른 도덕적 규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또래집단 내에서 힘이 없는 친구라고 무시하지 않고,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와 함께 지각된 인기도가 낮은 학생들이 가해자를 추종해 가해동조행동 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데 그 의의가 있다.;Peer bullying is increasing in severity from qualitative aspects as well as being continuously observed in school and among peer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research on viewing peer bullying as an intragroupdynamic process in studying the roles of participants in peer bullying. This study focused on how bullying assistant behavior plays a critical role in exacerbating peer bullying.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emphasize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efforts including the family factor of parents, social factor among peers, and cognitive factor in individuals to prevent and alleviate bullying assistant behavior. To that end,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and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Data collection was made with 430 students in first and second years of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the subjects to validate such research quest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 bullying assistant behavior scale for peer bullying, peer nomination for measuring popularity, and moral disengagement scale were used for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stimated according to gen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Afterward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each gender was significant.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in whi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a moderating effect in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situation. Furthermore,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to specifically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moderating variable (perceived popularity). Lastly, to examine whether moral disengage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regression analysis parameter validation was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to verify the specific patterns of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males and female students i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and perceived popularity. However, higher levels of moral disengagement were observed in moral disengagement.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was observed. Stated otherwise, when perceived popularity is average or lower than average, higher levels of bullying assistant behavior was observed with stronger psychological control. Third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ullying assistant behavior has been verified. In other word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s direct effects on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by intensifying the child’s moral disengagement, which in turn ultimately causes indirect effects on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n peer bullying.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o implement peer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encompassing not only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but those around them in whole-school approach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to raise awareness of how bullying assistant behavior is not acceptable either. Also, parents must refrain from having attitudes such as psychological control and help children form proper moral standards by having positive childcare attitudes based on affection. Lastly, the paper has significance in aiming to prevent bullying assistant behavior through promoting reciprocal respect and increasing perceived popularity in peer groups in which students have different social stat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