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Title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The Action Research for Supporting Emotional Regulation of 2-year-old Class Infants
Authors
박경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아가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 현장의 교사들에게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하는 실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2.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만 2세 우주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우주반 만 2세 영아 14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1일부터 12월 19일까지였으며, 우주반 영아 정서조절 지원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에 대한 어려움 파악, 1차 실행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활동사진, 현장 약기 등을 바탕으로 현장노트를 작성하였으며 일일보육계획안, 일화 기록, 활동사진, 환경구성 사진, 연구자 저널, 교사 협의 자료, 부모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수집과 동시에 영아의 반응, 연구자의 해석, 물리적 환경 및 감각․탐색 활동에 대한 평가, 앞으로 필요한 계획 등을 관찰자 코멘트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해서 읽으며 범주화하고, 예비범주를 조정하며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1차 실행 방안은 물리적 환경 강화하기, 관찰을 통한 개별 영아의 정서적 특성 파악 및 학급 교사 간 지원 방향 협의하기, 영아의 정서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기였다. 2차 실행 방안은 정서조절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 실행하기, 정서조절에 특별한 어려움을 보이는 영아 개별 지원하기였다. 둘째,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실행 방안을 통해 영아는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었으며, 부정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고 해소할 수 능력이 증진되었다. 또한, 또래간의 정서적 교류가 증진되었으며, 타인의 정서에 공감하는 능력이 발달하였다. 교사는 영아의 정서조절에 있어 교사의 역할 및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영아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의 효과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학급 영아의 특성과 관심, 흥미를 반영한 정서조절 지원 활동을 제공·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실행과정을 통해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가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해주는 역할과 태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영아들이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행 방안을 통해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은 학급 내 물리적 환경을 활용해 정서조절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정서조절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에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교사는 만 2세 영아의 효과적인 정서조절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찰과 학급 교사 간의 정보 공유 및 협의가 학급 및 개별 영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영아의 정서조절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 및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하는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implement measures for supporting emotional regulation of 2-year-old infants at a Wooju class and examine their effects on infants and teachers. Henc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infants with regulating their emotion and suggests practical measur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to teachers.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based on such research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measures are there to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at the class for 2-year-old? 2. What effects measures to support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have on infants and teachers at the class for 2-year-ol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4 infants at the age of 2 and 2 teachers at the Wooju class of a workplace child-care center located at Seoul. Research terms ranged from the 1st, July to 19th, Dec. and an action research was done to recognize and improve problems in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t the Wooju class s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Research processes included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in supporting emotional regulation of Wooju class infants, 1st action plan search, 1st action, 1st action evaluation & 2nd action plan search, 2nd action, 2nd action evaluation and the final evaluation. During research terms, a field note was made based on activity photos and field sketches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daily child-care plans, anecdotal records, activity and environment photos, researcher journals, and teacher consultation and parent interview data. During research in addition to data collection, observer comments were made on reactions of infants, interpretations of the researcher, evaluations on a physical environment and sensory/exploratory activities and also on plans necessary. Data collected were categorized through repetitive reading and interpreted through adjusting preliminary categori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the 1st action plan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included enhancing a physical environment, identify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fants through observation, conferring on a direction of supports among class teachers and reacting to infants' emotion effectively. The 2nd action plan contained implementing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and individually supporting infants having a special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Secondly, infants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showed increased abilities to express their emotion adequately and get rid of negative emotion effectively through the action plan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Besides, their emotional exchanges with peers were increased and abilities sympathizing with emotion of others were developed. Teachers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nd attitude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ing the effects of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teachers could provide·operate activiti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est. It means that action plans of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teachers' roles and attitudes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measure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so give aid to their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such action plans, infants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came to regulate their emotion using a physical environment at the class and improve their competency for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for emotional regulation spontaneously and activel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 environment in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by 2-year-old infants, teachers could know that continual and systemic observ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consultation between class teachers are important to grasp and understand the class and individual infants. Also they could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and attitudes as supporter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be helpful for teachers' preparing practical supporting measures for 2-year-old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