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덩이짓기(chunking) 능력 비교

Title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덩이짓기(chunking) 능력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Chunking Skills in Bilingual Children and Mono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Authors
조윤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덩이짓기 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22명, 한국어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아동 16명,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26명, 총 64명이 참여하였다. 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어목록회상을 사용하였으며,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대칭-비대칭 매트릭스를 사용하였다. 결과: 한국어 단어목록회상과 대칭-비대칭 매트릭스에서 집단, 자극조건, 기억폭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영어 단어목록회상의 자극조건과 기억폭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이 또한 유의하였다. 단일언어 일반아동은 단어목록회상이 어휘력과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발달지연아동은 대칭-비대칭 매트릭스가 상관이 있었다. 반면, 이중언어 일반아동은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발달지연아동은 두 일반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언어적, 비언어적 덩이짓기 과제 모두에서 덩이짓기 능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언어처리시스템을 통합하는 일화적 완충기 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이들의 어휘력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중언어와 단일언어 일반아동 집단 간 수행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정상발달아동의 덩이짓기 능력이 언어 기저의 처리과정을 반영하기 때문에 이중언어 사용유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hunking skills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Method: A total of 64 children between 4 to 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2 Korean monolingual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Mono TD), 16 Korean mono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Mono LI), and 26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BI TD) participated. Linguistic chunking skills were assessed by wordlist recall task. Nonlinguistic chunking skills were assessed by symmetric-asymmetric matrix task.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group, condition type, and span in both symmetric-asymmetric matrix task and Korean word list recall task. Also,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word order, and span in English word list recall task. Among the tasks, word order conditions in wordlist recall task were correlated with vocabulary skills of Mono TD, whereas Mono LI showed correlation between conditions in symmetric-asymmetric matrix task and their vocabulary skills. BI TD showed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chunking skills compared to Mono TD. Conclusion: LI had difficulty in utilizing the chunking ability efficiently compared to Mono TD and BI TD in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hunking tasks. That is episodic buffer to integrate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and language processing systems appears to be lower in LI.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no TD and BI TD. Since episodic buffer reflects the language-based processing ability, TD groups’ chunking skills were not affected by the bilingual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