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실어증 환자의 정적 및 동적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수행력 비교

Title
실어증 환자의 정적 및 동적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수행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verb naming performance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in aphasic patients
Authors
윤혜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ming performance of aphasia patients with normal individuals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aphasia sever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aphasia patients and 16 normal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Verb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ne-place unergative verb, one-place unaccusative verb, two-place verb, three-place verb according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presented as static and dynamic mode. The correct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ccuracy(%). Three-way mixed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aphas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normal group on the naming task by verb argument structure. The accuracy of the verb naming task presented as the dynamic mo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verb naming task presented as the static mode. For the verb naming task by verb argument struct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place verb and the three-place verb, and the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two-place verb.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presentation mode was significant. The aphas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crease in dynamic mode than static mode compared to normal group. Also,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was also significant. The accuracy of two-place verb presented by dynamic mo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presented by static mode. However,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verb argument structure was not significant.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groups, argument structure and presentation modes was significant. The norma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 naming task by verb argument structure and presentation mode, while aphasia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 on one-place unaccusative verb and two-place verb by both presentation mode. Among the variables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aphasia severity were one-place unergative verb and unaccusative verb in static mode which predicted the aphasia severity approximately 57.9%. For the dynamic mode, one-place unaccusative verb wa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for aphasia severity and it predicted aphasia severity 80.9%. This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o induce the response of the aphasia group. In addition, one-place unaccusative verb showed higher percentage of predicting aphasia severity in both static and dynamic mode. Therefore, the use of one-place unaccusative verb in verb naming task must be the right indicator to predict the aphasia severity.;본 연구는 자극유형 및 동사 논항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수행력을 정상 성인과 비교하고, 자극유형과 논항에 따른 이름대기 변인 중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 및 교육년수를 일치시킨 실어증 집단 16명과 정상 집단 16명으로, 대상자는 정적 자극과 동적 자극으로 제시되는 화면을 보고 동사 이름대기를 하도록 지시받았다. 대상자가 정반응한 항목은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극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에서 실어증 집단에 비해 정상 집단의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이름대기 수행에서 정적 자극으로 제시된 동사 이름대기 과제보다 동적 자극으로 제시된 동사 이름대기 과제의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동사 논항에 따른 동사 이름대기 수행에서 2항 동사와 3항 동사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항 동사에서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 집단에 비해 실어증 집단에서 정적 자극에 비해 동적 자극에서 수행력 증가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정적 자극에 비해 동적 자극으로 제시된 2항 동사의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동사 논항 및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정상 집단은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정반응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어증 집단은 정적 자극보다 동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1항 비대격 동사와 2항 동사의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자극유형별 동사 논항에 따른 변인 중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정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1항 비능격 동사 및 1항 비대격 동사가 실어증 중증도를 약 57.9% 예측하였으며, 동적 자극으로 제시된 1항 비대격 동사가 실어증 중증도를 약 80.9%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어증 환자가 정상 성인에 비해 동사 이름대기에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집단은 자극유형 및 논항에 따른 정반응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실어증 집단에서는 자극유형에 따라 1항 비대격 동사와 2항 동사에서 정반응률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실어증 환자는 제시되는 자극유형에 따라 동사 산출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적 자극 및 동적 자극 모두에서 1항 비대격 동사가 실어증 중증도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동사 논항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동사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할 때 1항 비대격 동사를 활용하는 것이 실어증 중증도를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