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집단간 차이

Title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집단간 차이
Other Titles
Age related differences on production of atypical syntactic structure based on the length and location of noun phrase modifier
Authors
윤정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Korean word order is relatively free. Nevertheless, the speaker's preferred word order is called the typical word order, and the area of influence of word order formation in language processing is wider than expected. In other words, the speaker or listener feels a greater burden in processing atypical sentences than in a typical word order, which results in a slower processing speed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rror sentences(Sung, 2015; Yoo, 2018). Nevertheless, in some situations, atypical syntactic structures are produced, and the speaker or listener uses a kind of domain minimization strategy to process the sentences(Yamashita & Chang, 2001). However, in most previous studies, only the younger adults who have relatively incomplete memory have been studied, and there is a regret that they did not consider the elderly who have reduced language processing ability due to ag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he sentences are produced when the burden of working memory is felt in two groups divided by age by adjusting the length of sentence components through 'noun phrase length and location'. The sentence production task in this study was used in the experiment after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so that it could be applied to both older and younger groups by referring to the project of Yamashita & Chang (200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Korean,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and 50 youth and 50 elderly people without neurological and linguistic deficienci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positive response rate according to group and the length and location of noun phrase modifi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n the sentence production task, older group showed lower positive response rates than younger group and lower positive response rates in terms of with- modifier than in conditions without modifi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rate of atypical syntactic structure according to group and noun phrases length and location. In other words, older group showed higher rates of atypical syntactic structure than younger group, and the condition of ‘long-object’ showed higher rates of atypical syntactic structure than others. In addition, the secondary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and the noun phrase length and lo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s the result of the order group showing a higher ratio of atypical syntax than the younger’s in terms of the ‘long-object’ and ‘no modifier’. Thirdly, we found out which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years and cognitive functions could predict an atypical syntax production rate for groups, modifiers types of sentences that have changed to location. As a result,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atypical syntax production rate under the "long-object" conditions of older people were the total score of the work memory task and the score of Delay task, a sub-examination of SVLT.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skil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ing of sentences in real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put together the older group's ability to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is reduced due to aging, which reduces the ability to process sentences and thus reduces their ability to process the language quickly. Thus, if the composition of the sentence is long due to the phrase of the modifier, the ability to properly processing the sentence is reduced and thus the correct response rate is low. In this study, older group with reduced working memory due to aging and increased burden for processing sentences produced an atypical syntax structure at a higher rate. On the other hand, it is believed that young group, whose working memory is relatively strong, have produced the atypical syntax structure at a lower rat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a basi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groups from linguistic pathologies due to neurological defects, as well as for identifying normal aging and changes in language processing. ;화자와 청자가 말을 주고받는 것을 우리는 흔히 의사소통이라 지칭한다.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화자는 문장을 만들어 산출하고 청자는 그 문장을 듣고 이해하여 그에 적절한 문장을 만들어 다시 산출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일련의 의사소통 과정의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언어 처리를 위해 필요한 부담감도 증가하게 된다. 한국 사회는 고령사회에 가까워지고 있다(통계청, 2017). 이로 인해 사람들은 점차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노년층 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노년층의 건강 및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늘어가고 있다. 노화로 인해 문장 산출능력은 쇠퇴한다. 그런데 문장 산출능력은 복잡한 처리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노화로 인한 변화를 알아보는데 민감한 지표가 될 수 있다(Ferreira & Cokal, 2015). 한국어의 어순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화자들이 선호하는 어순을 전형적 어순이라고 부르며, 언어처리에 있어서 어순 전형성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이 생각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형적인 어순의 문장을 처리하는 상황보다 비전형적 문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화자나 청자가 느끼는 부담은 크며, 이로 인해 비전형적 어순의 문장을 처리할 때 처리 속도가 느려지거나 오류문장 산출 횟수가 늘 수 있다(Sung, 2015; Yoo, 2018; 오세진 외, 2016).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는 비전형적 구문구조가 산출되기도 하는데, 화자 또는 청자는 문장을 처리하기 위한 일종의 영역 최소화 전략을 사용한다(Yamashita & Chang, 2001). 그런데, 대부분 선행 연구에서는 기억력이 상대적으로 온전한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만 진행되었으며, 노화로 인해 언어 처리 능력이 저하된 노년층을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를 통해 문장 성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연령에 따라 나눈 두 집단의 화자들이 작업 기억 용량에 부담을 느낄 때 어떤 방식으로 문장을 산출하는지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문장 산출과제는 Yamashita & Chang(2001)의 과제를 참고하여 노년층과 청년층 두 집단에게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피험자들은 화면에 흩어진 문장 성분들을 보고 ‘의미를 생각하면서 기억을 해주세요.’라는 실험자의 안내와 함께 충분한 시간동안 문장 구성 및 문장 기억 과정을 걸쳤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피험자들은 본인의 전략으로 전에 보았던 문상 구성성분들로 문장을 만들어 산출하였다. 본 과제에서 측정하고자 한 바는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라 집단간 정반응률 및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이다.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의 경우, 수식어 구 유무 및 위치로 나뉜 문장 유형별로 화자가 산출한 비전형적 구문구조의 문장 수를 헤아린 후 유형별 전체 문항수로 나눈 수를 백분율로 구한 값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00명으로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신경학적, 언어적 결함이 없는 정상 청년층 50명과 노년층 50명을 대상으로 한다. 실험자는 피험자에게 실험과정에 대한 안내를 하여 피험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하면 선별검사로 몇 가지 언어검사를 진행하였다. 교육년수와 인지기능 관련변수는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라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의 집단간 차이를 예측해줄 수 있는 변수로써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이원 혼합 분산 분석(two-way mixed ANOVA)과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이뤄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및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문장 산출과제에서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으며, 수식언이 없는 조건 보다 수식언이 있는 조건에서 정반응률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및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높은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을 보였고, 수식언의 목적어 수식 조건에서의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명사구 수식언 유무 및 위치에 따른 집단 간 이차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노년층이 명사구 수식언의 목적어 수식조건과 수식언이 없는 조건에서 청년층보다 높은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을 보인 결과이다. 셋째, 교육년수와 인지기능 관련 변수 중에 집단과 수식언 유무 및 위치로 달라진 문장 유형에 따른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식언의 목적어수식’ 조건에서의 노년층의 비전형적 구문구조 산출율을 예측해주는 변수는 작업기억 과제의 총점과 서울언어학습 검사의 하위 검사인 지연회상 과제의 점수였다. 즉, 실시간으로 문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작업기억 능력 및 장기기억 능력이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년층은 노화로 인해 작업기억 및 장기기억 능력이 저하되고 이에 문장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언어처리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수식어 구로 인해 문장 구성성분이 길어지게 되면 문장을 적절하게 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낮은 정반응률을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노년층은 수식언의 목적어수식 조건에서 청년층보다 높은 비전형적 구문구조를 보였다. 이는 조금 더 효율적으로 문장을 처리하기 위해 문장의 핵심 구성성분끼리 응집하는 전략을 사용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것은 정상 노화가 진행중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기억력이 비교적 유지가 잘 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로 인해 작업 기억능력이 저하되고 문장 처리를 위한 부담감이 증가한 노년층은 더 높은 비율로 비전형적 구문구조를 산출하였고, 이와 달리 비교적 작업 기억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 청년층은 더 낮은 비율로 비전형적 구문구조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노화와 언어 처리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로써, 신경학적 결함으로 인한 언어학적 병리군과 비한다면 두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으로 참고할 만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