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

Title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Moderated by Mindfulness
Authors
안연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반추의 매개효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인애착의 독립적인 2개의 축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각각에 대해 연구모형을 따로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들에게 성인애착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대부터 40대의 성인남녀 28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14건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73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검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 PROCESS v3.3, IBM AMOS 26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대상의 사회 인구학적인 배경을 알아보았고, 변인의 특성과 자료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4가지 측정 도구(성인애착, 반추, 대인관계 유능성, 마음챙김)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내적합치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 모형에서 나타난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순차적으로 검증하는 2단계 접근법에 따라 연구 모형을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조절회귀분석과 PROCESS의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연구모형에서 애착불안이 반추에 미치는 정적 영향과 반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 모두 유의하였다. 다만, 애착불안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애착회피 연구모형에서는 애착회피가 반추에 미치는 정적 영향, 그리고 반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모두 유의하였고, 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미치는 부적 영향도 유의하였다. 둘째, 애착불안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이 반추를 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 때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반추를 통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떨어뜨리는 매개효과가 완화됨으로써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성인 애착이 반추를 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떨어뜨릴 때, 마음챙김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이 반추를 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성인애착의 2가지 독립적인 축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그 경로가 다름을 확인하고 규명하였다. 둘째, 성인애착이 반추를 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는 반추가 높은 사람이라도 하더라도, 마음챙김의 수준을 올릴 수 있다면, 대인관계 유능성의 감소폭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라는 서로 다른 성인애착 유형에서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전략을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애착불안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완전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애착불안이 높은 사람의 경우 반추를 낮추고 마음챙김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된다. 반면 애착회피의 경우, 애착회피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직접효과보다는 그 영향도가 작았다. 따라서 애착회피의 경우, 반추를 통한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Two independent research models have been setup for each of the two orthogonal dimensions of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his study also aims to help adults who exper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oubles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ty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self-report online survey for adults , and final 273 data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has been analyzed by IBM SPSS 25, PROCESS v3.3 and AMOS 26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social demographic background. Norma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check each variable satisfies the normality as well. Secon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research, Cronbach's α was verified on the adult attachment, rumin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indfulnes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s method.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ootstrapping was also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in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of PROCESS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mindfulnes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ttachment anxiety study model, both the positiv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ruminant and the negative effect of ruminan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 However, attachment anxiety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study of attachment avoidance, the positive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on ruminant and the negative effect of ruminan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 and the negative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directl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 Second, in the process of attachment anxiety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ruminant was verified, and in the process of attachment avoidance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uminant was verified. Third,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rumination, the mediated effect of mindfulness appeared. When the level of mindfulness is hig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re alleviated, which mediates the interfering effect of lowering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adult attachment lowers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rumination,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mindful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rumina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wo independent axes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ok different path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the mediated effects of mindfulnes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rumination. This means that even people with high rumination can reduce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y if they can raise their mindfulness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ypes of adult attachment. In the process of attachment anxiety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ruminant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were shown. Therefore, people with high attachment anxiety are expecte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by lowering their rumination and increasing their level of mindful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uminan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its effect was smaller than the direct effect. Therefore,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it is suggest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improvement through rumination may be relatively limi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