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구문 사용에 나타난 통사 점화 효과

Title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구문 사용에 나타난 통사 점화 효과
Other Titles
Syntactic priming in particle alternation shown in Korean movement verb constructions
Authors
심은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사용기반 접근과 구문문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 산출에 나타난 L1, L2 통사 점화 효과와 동사 입력 분포에 따른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통사 점화라는 처치 자극을 통한 구문 학습이 언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그림 묘사 과제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목적은 언어 사용자들이 문장 구조를 결정하고 문법 지식을 습득하는 기제를 확인하는 것이고, 교육적 목적은 조사 교체와 같이 고급 숙달도 학습자도 습득이 어려운 문법 항목을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L1, L2 통사 점화, 이동동사 구문에 나타난 조사 교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제기했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화자의 한국어 이동동사 조사 교체 구문 산출에서 L1 통사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지, 동사 입력 분포 방식에 따라 L1 통사 점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 2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동동사 조사 교체 구문 산출에서 L2 통사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지, 동사 입력 분포 방식에 따라 L2 통사 점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통사 점화 효과의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는 구문문법을 동사논항구문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통사 점화의 개념과 효과, 연구 방법을 개괄했다. 본 연구는 특히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에 나타난 조사 교체 사용에 주목하고 있으므로, 한국어 이동동사 구문에서 발생하는 조사 교체를 유형별로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이동동사 구문을 정리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L2 통사 점화 효과에 L1 전이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Ⅲ장은 통사 점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고가 사용한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동사 입력 분포 방식에 따른 통사 점화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통사 점화의 단기적, 장기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처치 전, 처치 직후, 지연 사후 의 3단계로 실험을 구성하였다. 또한 점화 효과가 동사 입력 분포의 영향을 받는지를 살피기 위해서 피험자를 편중 분포 집단, 균형 분포 집단, 통제 집단으로 구분했다. 모든 단계의 실험에는 그림 묘사하기 과제를 사용했다. 점화 처치를 위해 서 피험자에게 이동 사건을 나타내는 그림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설명하는 한국어 문장을 듣고, 소리 내서 읽도록 지시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실시한 실험의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문제 1, 2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 L1 통사 점화 효과와 L2 통사 점화 효과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 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에서 한국어 모어화자는 편중 분포 집단의 ‘에를’ 조건에서만 단기적 점화 효과가 나타났고 ‘에서-를’ 조건에서는 단기적, 장기적 점화 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입력 분포 방식에 따른 점화 효과의 차이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는 모든 조사 교체 조건과 모든 입력 분포 방식에서 단기적, 장기적 통사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편중 분포 방식보다 균형 분포 방식으로 처치한 경우에 더 큰 점화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조사 교체 구문 유형에 따라 점화 효과 차이가 나타난 점을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교육적 함의를 기술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L2 학습 측면에서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통사 점화는 중국인 학습자의 L2 구문 산출에 단기적, 장기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통사 점화 처치가 언어 산출을 위한 암시적 교수·학습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사 입력 분포 방식에 따른 ‘를’ 구문 산출 차이도 존재했는데, 중국인 학습자는 편중 분포 방식보다 균형 분포 방식에서 큰 점화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언어 산출에 있어 화자는 입력된 언어 자료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교체와 같이 목표 항목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는 문법 현상은 구문으로 구성하여 집중적으로 제시하면 언어 산출에 효과적이라는 것과 교실 현장에서 교수자의 입력 자료 조작이 학습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is study examined the short-term and long-term syntactic priming effects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movement verb construction. It also examined the learning effects of verb input distribution type, based on the usage-based approach and the construction of grammar. To explore the effect of construction learning, stimulated by syntactic priming on language production, a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us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language users acquire grammatical knowledge and determine sentence structure. Pedagogically, it is to find an effective way to teach complicated grammar items such as particle alternation. In chapter 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ed and prior studies on L1, L2 syntactic priming, and acquisition of movement verb construction are outlined.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taking into account the issues drawn from previous studies. Research question one aims to find out how short-term and long term production of L1 Korean movement verb construction is affected by verb input distribution. Research question two examines the same effect as research question one but focuses on L2. This study tries to check the effect of verb input distribution on production and acceptability of movement verb construction by Korean L1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Chapter II outlines construction grammar, the theoretical basis of syntactic priming, focusing on the verb argument. The concept and effect of syntactic priming and its research methodology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s summarized.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particle alternation in Korean movement verb constructions, so the type of particle alternation emerging in Korean movement construction was first considered. Next, how the L1 factor of experiment participants, Chinese and Korean, can affect Korean syntactic priming was investigated.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methodology used to verify the syntactic priming effect. This study divided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skewed distribution group, balanced distribution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analyze syntactic priming effect according to verb input distribution. In order to measure th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delayed post-treatment. A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used in the experiments during all steps which determined language production.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showing instances of movement and were instructed to listen and read the Korean sentence aloud that was shown on the scree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mprised 81 Korean L1 speakers and 82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 having TOPIK level 5 or higher. In chapter IV, the experiment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syntactic prim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 on the production of movement verb construction of the Chinese learner group.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lul” construction were also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verb input distribution. Korean L1 speakers, however, showed a priming effect on construction of “ey-lul” during the production task but input distribution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production. Thus, input distribution type seems to affect language produ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language users’ L1 and construction type. Finally, in chapter V,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How priming effect differed per construction type and how the results differed in production tasks wer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lso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erms of L2 acquisition is as follows. Syntactic priming had a significant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 on the Chines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movement verb construction. This shows that syntactic priming can be used for implicit learning.Differences in producing “lul” construction according to verb input distribution were also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Chinese learners showing greater priming effects in the balanced distribution type than in the skewed distribution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ifficult grammatical items can be taught effectively in language production, if presented in depth. It also shows that guidance through an instructors’ input material in the classroom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