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20 Download: 0

만 5세 유아의 천을 활용한 놀이 양상

Title
만 5세 유아의 천을 활용한 놀이 양상
Other Titles
Aspects of play using fabrics of 5-year-old children
Authors
윤빛나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가 이루어지는 자유놀이 시간에 비구조적 놀잇감인 천을 활용하여 놀이하는 유아의 놀이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유아의 천을 활용한 놀이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울산에 소재한 다람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한 학급인 별님반 유아 15명과 교사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인 2019년 9월 3일부터 2019년 10월 2일까지 총 20회의 참여관찰이 이루어졌다. 관찰 시간은 오전 자유놀이 시간 동안 약 60분에서 90분가량 실시되었다. 참여 관찰을 위하여 연구자는 복잡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놀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비언어적인 행동과 유아 간 혹은 유아-교사 간의 상호작용, 놀이의 맥락 등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3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놀이상황을 촬영했다. 또한 관찰 상황에 대한 연구자의 현장 메모, 유아의 놀이 상황이 담긴 사진, 유아의 작품 등 물리적 인공물, 관찰 중 유아를 대상으로 한 비구조적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자료화되었으며, 천 놀이와 관련하여 작성한 전사본은 A4규격으로 총 111페이지 분량이었고, 사진은 주요 놀이별로 선택적으로 정리하여 총 80장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별님반 유아들은 천을 활용하여 천 그 자체로 놀이하거나 천을 변형하여 놀이하는 양상을 보였다. 먼저 천 그 자체로 놀이하기는 천의 투과성을 중심으로 놀이하기, 천의 질감을 중심으로 놀이하기, 천의 모양과 색을 중심으로 놀이하기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천 그 자체의 특성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를 놀이로 자연스럽게 발현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천의 투과성을 중심으로 놀이하면서 유아들은 천을 단순하게 덮어쓰고 벗는 활동에서 천 속에 숨는 놀이, 숨고 찾아내는 놀이로 계속 형태를 바꾸며 주도적으로 놀이하였다. 이때 유아들은 자발적으로 또래 간 규칙을 정하고, 놀이의 수준을 높이면서 놀이하였다. 천의 미끄러운 질감을 중심으로 놀이하면서 유아들은 또래와 함께 끌기 놀이를 하였다. 끌기 놀이는 썰매, 기차, 버스, 자동차 등 여러 가지 교통수단으로 불리며 오랜 기간 지속되었고, 놀이 과정에서 상상놀이와 역할극이 나타났으며, 유아들은 스스로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해결해나갔다. 천의 모양과 색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유아들은 새로운 놀이를 시작하고 전개해갔다. 특히 가변성이 뛰어난 천은 어떻게 만지고 움직이느냐에 따라 모양이 바뀌었기 때문에 유아들은 각자의 상상력과 창의력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파도, 바람, 토네이도를 만들며 놀이를 확장해갔다. 또한 유아들은 천의 색에 따라 온도가 다른 파도를 상상하여 만들어내기도 했다. 다음으로 천을 변형해서 놀이하기는 천을 잘라서 놀이하기와 천을 이어서 놀이하기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처음에 천을 잘라서 자신이 원하는 옷을 디자인하여 만드는 과정 자체를 놀이로 즐겼다. 이후 천을 만든 후 생겨난 찢어지고 구멍이 난 천으로 유령놀이, 망토놀이 등 새로운 놀이를 이어갔으며, 놀이 중에 천을 더 작게 잘라서 인형을 만들어 소품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유령처럼 소리를 내고 소품을 만드는 등 행동 및 사물을 가작화하며 놀이를 풍부하게 지속하였다. 천을 이어서 놀이하기에서는 유아들이 천으로 집 짓기, 천 속에 숨기, 줄다리기 등을 진행하였다. 유아들은 원하는 놀이를 하기 위해서, 더 많은 유아들이 함께 놀이하기 위해서 천을 연결해야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교사는 천을 묶거나 꿰매는 등 물리적인 도움을 제공하여 놀이를 지속하도록 지원하였다. 연결한 천으로 만들어진 집이라는 공간과 더 길어진 천을 활용하여 유아들은 상상놀이나 집단놀이에 더욱 재미있게 참여하였다. 비구조적 놀잇감인 천으로 유아들은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놀이를 시작하고 전개하였고, 놀이 과정에서도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다양한 놀이 전략들을 사용하면서 놀이하였다. 무엇보다도 유아들은 천이라는 하나의 놀잇감을 가지고도 각자가 원하는 진짜 재미있는 놀이를 생각해내고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놀이하면서 오랜 기간 동안 즐겁게 놀이에 참여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spects of play using fabrics while 5-year-old children’s free play tim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ow are 5-year-old children’s aspects of play using fabrics? This study’s subjects are 15 children and 1 teacher of Byul-Nim class in Daram elementary school’s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Ulsan. This study followed case study method. For this, participating observation was conducted and it continued from september 3rd to October 2nd on 2019. Also, participant observed the play about 60 minutes to 90 minutes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morning. To catch children’s non-verbal behaviors,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and context of play which is very complex and fastly processing, participant used 3 video cameras. Furthermore, memos, pictures of the play situation, works of children’s play, informer interviews with children were gathered as data collecting and all data was documented. Transcripts of data about play situation using fabric were total 100 pages of paper and 80 phot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5-year-old children who played with fabric showed two play aspects: 'playing with fabric itself' and 'playing while trans-shaping the fabric'. First, for playing with fabric itself, children played making use of fabric's transparency, its texture, and its shape and color. When children were exploring fabric's own characteristics, they played very freely. When children played focusing on fabric's transparency, they first wore the fabric over their body, but after a few days, they played hide and seek. Also, they made their own play rules and adjusted the levels of play. When children played focusing on the soft texture of the fabric, they dragged the fabric to give a ride. They called the fabric with many transportation names such as sleighs, trains, buses and cars. Doing so continued for a long time, and there were imaginative play and role play as well. Also, children solved many problems they confronted while playing. When children played focusing on fabric's shape and color, they came up with various new play themes. Because the fabric was very flexible, each child 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his or her own imagination and creativity. Second, for playing while trans-shaping the fabric, children cut the fabric or joined different pieces together. They enjoyed cutting the fabric as a play. After then, they used the pieces as play materials for a ghost costume or a cape. In addition, they pretended to be a real ghost by imitating its sounds and cut the fabric into smaller pieces to make little dolls. When children joined different fabric pieces together, they made a house or played tug of war. They knew that they had to connect the pieces together to play what they wanted and to play with more friends. In doing so, a teacher helped children to put the pieces together properly. With an imaginary space like a house or with the lengthened fabric, children were able to enjoy imaginative play and group play more. Children started and developed new plays voluntarily using a fabric which is one of the nonstructural toys. While playing, children used different strategies such as making their own rules and solving problems that they faced. Above al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ir plays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coming up with new ideas that satisfied their interests and inventing various themes and methods to play with just one type of toy, which was fabr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