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신효현-
dc.creator신효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14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1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1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과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후,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라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에 대한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학급 유아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지조망수용능력 검사는 Flavell, Botkin, Frye, Wright와 Javis(1968)의 그림도구와 Selman(1971)의 평정 기준을 Kurdeck과 Rodgon(1975)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 교수 과제는 선행연구물(Davis-Unger & Carlson, 2008; Strauss, Ziv, & Stein, 2002; Ziv, Solomon, Strauss, & Frye, 2016)을 참고하고 게임 출시 시기, 난이도, 게임 차례에 따른 규칙 유무와 같은 기준을 고려하여‘해적들의 징검다리’과제를 사용하였다. 교수자로서의 인식 도구는 Strauss 등(2002)이 처음 개발하여, Davis-Unger와 Carlson(2008)이 응답 평정 기준을 유목화한 이후, 윤복희(2011)가 번역하여 응답 평정 기준을 세분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댓값과 최솟값, 표준점수(Z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학급 유아는 또래 교수에서 효과적인 교수자로서 역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4세 학급 교수자 유아는 게임설명 단계에서 방향 전략, 게임수행 단계에서 선택 전략, 그리고 유관적 교수행동을 가장 빈번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교수에서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은 교수자로서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조망수용능력이 높은 교수자 유아는 게임설명 단계에서 더 많은 게임 규칙을 설명하고, 선택과 방향 전략 그리고 전체 교수 전략을 더 빈번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수행 단계에서 인지조망수용능력이 높은 교수자 유아는 선택 전략 그리고 전체 교수 전략을 더 빈번하게 수행하며, 더 많은 유관적 교수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 교수에서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은 교수자로서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 교수에서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has three major goals. The first goal 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bility as a teacher, recognition as a teather in peer tutoring. The second goal is to examine difference in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peer tutoring. The third goal i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peer tutor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tendency of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peer teaching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2. What difference is there in ability as a teacher in peer tutoring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ability? 3. What difference is there in recognition as a teacher in peer tutoring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ability? 4. What association is there between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in peer tutoring by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64 children in 4-year-old classes who were enrolled in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In this study, many research instruments were used. Young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was assessed by Flavell, Botkin and Frye(1968)'s drawing task and the standard of rating by Selman(1971)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urdeck and Rodgon(1975). As for peer teaching task, the ‘Steady of Pirates’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criteria such as the time of game launch, difficulty, and the existence of rules according to the game sequence, by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ies(Davis-Unger & Carlson, 2008; Strauss, Ziv, & Stein, 2002; Ziv, Solomon, Strauss, & Frye, 2016). Children’s recognition as a teacher was evaluated by the task first developed by Strauss, Ziv and Stein(2002), and after Davis-Unger and Carlson(2008) classified the response rating standard, translated by Yoon Bok-hee(2011) and subdivided the response rating standard.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eiling and valley values, and Z-score were calculated,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bivariate correlat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in 4-year-old classes were found to be able to play an effective role in peer tutoring. The 4-year-old class children showed the most frequent orientation strategy in the game explanation stage and orientation, selection strategy, contingent teaching in the game performance stage. Second, The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peer tutoring had an effect on the ability as a teacher. Teachers with high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explained more game rules in the game explanation stage, and performed more frequently selection, orientation strategy and overall teaching strategy. In the game performance stage, the teacher who has high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performed more frequently the selection strategy, the whole teaching strategy and more contingent teaching. Third, the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did not affect the recognition as a teacher in 4-year-old classes. Forth,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peer tutor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 6 1. 조망수용능력의 개념 및 정의 6 2. 인지조망수용능력의 개념 및 특징 8 B. 또래 교수 12 1. 또래 교수의 개념 및 특징 12 2. 또래 교수에서의 비계 설정 16 C. 교수자로서의 유아 20 1. 교수자로서의 능력 20 2. 교수자로서의 인식 25 D.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간의 관계 28 Ⅲ. 연구방법 32 A. 연구대상 32 B. 연구도구 33 C. 연구절차 48 D. 자료분석 5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6 A.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경향 56 B.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 59 C.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인식 61 D.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간 관계 62 Ⅴ. 논의 및 결론 65 A. 논의 65 B.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7 부록 88 부록 1: 연구동의서 88 부록 2: 인지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74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 교수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과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bility and Recognition as a Teacher in Peer Tutoring according to th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dc.creator.othernameShin, Hyo Hyun-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