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정리정돈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 탐구

Title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정리정돈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 탐구
Other Titles
A study on 5-year-olds’recognition of clean-u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uthors
김아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정리정돈에 관한 유아들의 경험과 생각을 이야기 나누는 것을 통해 정리정돈 전반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의 정리정돈에 대한 생각과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들의 정리정돈의 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들이 인식하는 정리정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4. 유아들이 인식하는 정리정돈 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 세 곳의 만 5세반 유아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들의 정리정돈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한 집단 당 3∼4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면담 방법을 사용하였다. 소집단 면담은 2019년 9월 24일부터 10월 2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9집단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특성상 이야기 나누기 형식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한 집단 당 면담 시간은 평균 18.6분이었다. 수집한 자료들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범주화 작업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정리정돈에 대한 생각은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놀이를 중단해야 하고, 정리정돈 자체가 싫기 때문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소수이기는 하지만 긍정적으로 응답한 유아들은 정리정돈이 재미있으며, 좋아한다고 이유를 밝혔다. 정리정돈의 인식이 대체로 부정적인 것에 반해, 거의 대부분의 유아들은 정리정돈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그 이유를 안전, 놀이감 보존, 깨끗한 환경, 효율성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정리정돈의 방법에 있어서는 이를 결정하는 주체, 정리정돈 자리, 정리정돈 빈도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유아들은 정리정돈의 방법을 결정하는 주체는 교사이며, 교사가 정리정돈의 자리와 방법, 규칙 등을 정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정리정돈의 자리에 대해서는 과반수이상의 유아가 자리가 정해진 것을 선호하였는데, 그 이유는 더 깨끗하고, 쉽고 편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노력이나 분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며, 정해진 자리에 정리하는 것이 정리정돈의 방법이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정리정돈 자리가 정해지지 않은 것을 선호하는 유아들은 그 이유를 자유롭고, 쉽고 빠르게 정리할 수 있으며, 놀이감과 영역을 구분하여 정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으로 제시하였다. 정리정돈 빈도의 측면에서는 하루 일과 중 세 번 놀이를 하는 가상의 유치원의 상황 속에서 놀이가 끝날 때 마다 정리정돈 하는 것과 모든 놀이가 끝난 후 정리정돈 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는데, 반 이상의 유아들이 매번 정리정돈 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 이유로는 정리정돈의 필요성과 유사하게 안전, 또래와의 갈등 최소화, 깨끗한 환경, 놀이감 보존,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에 반해, 세 번의 놀이가 모두 끝난 후 정리정돈 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유아들은, 그 이유를 힘들지 않고, 놀이시간 확보에 효율적이며, 놀이가 계속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정리정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타인의 평가, 유아를 둘러싼 환경, 개인의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타인의 평가에 관해서는 교사의 평가, 또래의 평가 및 또래와 함께하기가 정리정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유아를 둘러싼 환경에서는 놀이감의 정리 난이도, 놀이시간의 길고 짧음, 이후 활동에 대한 기대감이, 개인의 특성에서는 정리정돈의 습관화와 유아의 자율성이 유아들의 정리정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넷째, 유아들은 정리정돈 시 교사의 역할을 피아노 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C기관의 유아들은 교사가 피아노 치는 것을 모두 선호하였고, 교사가 피아노를 치면서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다. A, B기관의 유아들은 교사가 정리정돈 시 도움을 주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절반 이상의 유아들은 교사가 정리정돈에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고, 그 이유는 정리정돈을 빨리 끝낼 수 있고, 놀이시간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유아들도 있었는데, 그 이유를 정리정돈은 스스로 해야 하므로, 친구와 함께 하면 재밌기 때문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정리정돈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정서적 지원 전략을 제시함과 더불어, 유아들에게 주도권과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유아들은 자율성을 갖고, 즐거운 마음으로 정리정돈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hildren's perception about clean-u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y group-interviewing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ildren's thinking about clean-up and their perception of need of clean-up? 2. What is the perception of children on how to clean up? 3. What factors influence the clean-up that perceived by young children? 4. What is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clean-up process that children perceive? The study was conducted on 106 5-year-old children in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comprehend the perception of the children’s clean-up, a small group interview consisted of three to four children was used. The group interviews were held from September 24, 2019 to October 22, 2019. A total of 29 groups were interview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story-telling, and the average interview time per group was 18.6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ategorization based on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ideas about clean-up were generally found to be negative. The reasons were that their play should be stopped and they were just reluctant to clean up. The children who responded positively, albeit in a small minority, said that clean-up and organizing things are fun and they like it. While the perception of clean-up was largely negative, almost all children recognized the need for clean-up, suggesting the reasons as safety, protecting toys, clean environment and efficiency. Second, as for the method of clean-up, the children's perception of who determines the method, place and frequency of arrangement were investigated. They were recognized that teachers are the one who decide how and where to clean up, and rules of organizing them. As for the place of arrangement, more than half of the children preferred the fixed settings for the toys, because it would be cleaner, easier and more convenient way to clean up. Also, it would reduce unnecessary efforts or disputes, and it is the right way to clean up in designated place. However, the children who prefer to have a place of arrangement not fixed suggested the reason as being free, easy and quick to organize, and toys no need to be sorted by play area.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clean-up, the children could choose in the context of hypothetical kindergarten where they play three times a day, between clean-up once at the end of the last play and clean-up right after every play. More than half of the children preferred to clean up right after each play. Similar to the need for clean-up, the reasons were safety, minimizing conflicts with peers, clean environment, protecting toys and efficiency. However, the children who responded that they prefer to clean up after all three plays are over suggested the reasons that it is not difficult, it is efficient to secure play time, and play can be continued. Third, the children recogni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lean-up as the evaluation of othe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s for the evaluation of others, it was recognized that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being with peers influenced the clean-up.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difficulty of clean-up the toys, the long or short play time, and the expectation of subsequent activities were recognized, an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e habit of clean-up and the autonomy of the children were recognized to affect the children cleaning up. Fourth, the children recognized the role of teacher as playing the piano when they clean up. The children at C kindergarten all preferred the teacher's playing the piano and recognized that the teacher helped them when they clean up. While the children in A and B kindergarten recognized that the teacher did not help them to clean up, more than half of the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wanted teachers to help them to clean up quickly and save more time to play. Some of them answered that they did not need the help of the teacher, because clean-up is their own job to do, and it is fun to clean up when they are with their friend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ep-by-step support for children to exercise initiative and decision-making rights, as well as to present various environmental and emotional support strategies related to clean-up. With this support, children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clean-up in a pleasant and autonomous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