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서 학생자치활동의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Title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서 학생자치활동의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uthors
김유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promo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who can achieve democratic values ​​such as engagement, equality and peace by breaking discrimination, conflict and inequality in a diversified society, interest and necessity for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is emerging. This sought to find a plan that could be a place to enable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to understand and internalize democratic values. As the social aspect has been changing rapidly,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can be seen and the conflicts and inequalities are increasing. In response to these circumstances, many countries are promoting citizenship educa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Korean society is also strengthen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schools to foster citizens to sustain this democratic society, emphasizing equality and inclusion. Not only understanding the democratic values, participation as a citizen via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is necessary. By looking at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two research problems are set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limitation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ways to overcome them. First, what are the pattern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ents self-governance activities as par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limitation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student self- governance activities?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one intermediate school in Seoul selected as the Innovative School participated.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at field sites where class meetings as class governance activities take place, which gives every student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agendas that students discussed at class meetings included topics related to student-wide associations and school-wide management, as well as issues related to classes that were set directly by class students through meetings. When discussing a project set by the school, there students tend to rarely understand the theme of the meeting and the related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made it difficult to express one’s opinions. In terms of agendas set by class students, students were given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utonomy and presented their opinion considering the execution stage. However, students were indifferent and acted as bystanders when discussing both of the two types of agendas. Rather than focusing on meetings, they often chatted with friends around them and did not share their thoughts on the agendas of the meeting, and were mostly engaged in activities unrelated to the meet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bout the student's participation aspects and the reasons why students rarely participate in the meeting. First, students were lack of understanding the agendas of the meeting and the relevant decision-making processes. Students have no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school events and small activities that are set and performed in the classroom or led by the student council. However, in terms of the issues related to school management requiring numerous decision making processes, students had little information on the issue itself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leads to low participation rates of students in class meeting and little interest in school management. Second, student participation was at the level of presenting one’s opinions.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the matters given through the class meeting was the only participation allowed to students. Beyo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meeting, there was no opportunity to discuss the opinions that were made in other decision-making process. Participation, which ended in the form of presenting one’s opinions, is insufficient to realize the significance and interest in participation. Finally, students were lack of student rights awareness, and tended to consider the school issues merely others' territories. Considering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is low and the area and form of participation is limited, there is a limitation for students to practice and integrate democratic values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First, there was no agreement on the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No agreement has been reached on democratic citizenship goals and educational methods to achieve them. Second, the role of teachers in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as par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unclear.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it became clear that teachers’ guidance and support are needed in order for students to grow as democratic citizens. Third, there was insufficient coordination between class meetings and actual school management decisions. Discussions made in class meeting were not delivered to the school administration and students were not informed how students’ opinions influenced the final decision-making. Finally, students had very limited areas and ways to participate.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vel of giving opinions on school management that were already planned and established at the school. The above limitations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efforts of all members. Firstly, the goal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consensus on the education method in each school must be derived and shared within all school members and specific methods and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must be linked to school management decisions.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must be able to influence the actual decision-making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and be interested in participation by experiencing the meaning of student participation. Finally, teachers need to be able to support and facilita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 All teachers must develop their capacit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continuously develop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student self-governance activities.;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학생자치활동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한 질적사례연구이다. 다원화된 사회에서 차별, 갈등과 불평등을 끊고 포용, 평등, 평화와 같은 민주적 가치를 실현하는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생자치활동이 민주적 가치를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 변화에 따라 세계 여러 국가에는 다양한 배경의 구성원들이 존재하며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불평등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많은 국가에서 각국의 상황과 정서에 맞는 시민교육을 진행 중이다. 한국 사회에서도 모두의 평등과 포용을 강조하며 민주사회를 이어가기 위한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민주적 가치에 대한 이해로 끝나는 민주시민교육이 아닌 주도적 시민으로서의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민주적 가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학생자치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민주시민교육의 방안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학생자치활동이 갖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한계와 극복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학생자치활동의 한계는 무엇인가? 두 가지 연구문제에 따라 민주시민교육으로 학생자치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형 혁신학교 A 중학교의 학생들 6명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되도록 모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학생자치활동을 보기 위해 학급자치활동의 일환인 학급회의를 관찰하고 회의 진행을 돕는 퍼실리테이터 학생들 6명과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학급회의에서 논의하는 주제는 학생회와 함께 학교에서 정하는 학교 전체 운영과 관련된 주제와 학급에서 학생들이 회의를 통해 직접 정한 학급과 관련한 안건이 있다. 학교에서 정한 안건을 논의하는 경우, 회의 주제와 그와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의견 표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있었으며 학급에서 학생들이 직접 정한 안건을 논의하는 경우, 비교적 많은 자율성을 부여받아 실행 단계까지 고려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두 종류의 안건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실태는 대부분 무관심과 방관에 가까웠다. 회의에 집중하기보다는 주변 친구들과 잡담을 나누며 회의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나누지 않고 회의와 관계없는 활동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학생들에게 학생자치활동은 민주적 가치를 실현해보는 장이기보다는 의미 없이 잡담하는 시간으로 사용되었다. 학급회의에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학생들의 참여 양상과 특징에 대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학생들은 회의 주제와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회의 참여에 어려움을 겪었다. 학생들은 학생회가 주도하는 학교 행사나 학급에서 정하고 실행하는 작은 활동에 대해서는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으나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추후 논의되어야 하는 학교 경영 및 운영과 관련한 주제와 해당 사안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도가 저조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참여는 의견 제시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학급회의를 통해 주어진 안건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 학생들이 하고 있는 참여였으며 학급 회의 후 상위 의사결정과정에서 나온 의견에 대해 추후에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다. 건의 형태로 끝나는 참여는 학생들에게 참여의 의의와 흥미를 깨닫게 하는 데 역부족이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권리의식이 부족하여 학교 운영 사항에 대해 관심을 갖기 보다는 타인의 영역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 운영 사항이나 행사에 대해 무관심하고 건의하고 싶은 의견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그저 방관하는 자세를 보였다.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가 저조하고 참여의 영역과 형태가 제한적인 점을 고려했을 때, 학생자치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민주적 가치를 몸소 실천하고 체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첫째,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와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지 않아 학교 구성원 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생각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민주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체계적으로 잡혀있지 않았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학생자치활동에서 교사들의 역할이 분명하지 않았다.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성장을 위해 교사들의 지도와 지원이 필요하나 그 방법에 있어서 교사들의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자치활동의 일환인 학급회의와 실제 학교 운영 의사결정과의 연계성이 미흡하였다. 학급회의에서 논의된 바가 최종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전달되지 않아 학생들의 관심이 학교 운영까지 미치지 못하고 단순 학생자치활동에서 그치곤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참여 영역과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학생들은 학생자치활동을 통해서 학교에서 이미 정해놓은 학교 운영과 행사 관련 사항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수준의 참여를 하고 있었다. 학생자치활동이 학생들의 민주적 가치 실현을 위한 참여 중심의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들의 노력을 통해 위의 한계점들이 극복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는 단위 학교에서 추구하는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와 이를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한 합의점이 도출되어야 한다. 구성원들과 함께 민주시민교육의 목표를 공유하고 나아갈 방향을 분명히 하여 구체적인 교육 계획을 세워야 한다. 두 번째로는 학생자치활동이 학교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으로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자치활동이 실제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참여가 갖는 의미를 학생들이 경험함으로써 참여의 중요성을 배우고 참여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량과 지원이 필요하다. 모든 교사들이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역량을 함양하여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