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무용교과 신설을 위한 학교무용교육 국제비교연구

Title
무용교과 신설을 위한 학교무용교육 국제비교연구
Other Titl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ublic School Dance Educ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Dance Subject in Korea
Authors
전하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가질 수 없는 능력에 주목하며 인간의 창의력, 상상력, 감성적 지능을 기르는 예술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이미 예술교육의 힘을 간파하고 학교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개정 교육과정과 여러 가지 교육 정책을 통해 학교예술교육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학교무용교육 확대 및 내실화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교과 교육과정 내 무용교과를 신설하려는 시도가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비슷한 시기에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그 노력의 결실을 맺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교과를 신설한 미국과 호주의 학교무용교육 체계를 우리나라와 비교하고, 한국의 무용교과 신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한국의 학교무용교육이 공식화되고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무용교육 체계를 비교하기 위해 국가공통교육과정 유무, 교과 편성, 필수·선택 구분, 시간 배당, 고등학교 졸업 요건, 대학 입시제도와의 관련성, 교육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평가를 준거로 살펴보았다. 비교를 통해 국가 간 무용교육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한국 학교무용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미국, 호주에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있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에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미국과 호주에서는 자치주가 교육과정의 채택 및 운영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둘째, 한국은 무용이 즐거운 생활과 체육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반면, 미국과 호주에서는 무용이 예술 교과군 내 독립 교과로 존재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무용이 교과로 인식되지 못한 채 체육과 예술 사이의 모호한 지점에서 교육되고 있다. 셋째, 무용교과의 시간 배당이 큰 폭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미국과 호주와 달리 한국은 무용 학습 시간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넷째, 한국과 달리 미국과 호주에는 고등학교 졸업 요건이 있고, 졸업에 필요한 학점으로 무용을 포함한 예술교과의 학점을 인정하였다. 또한, 학교무용교육이 대학 입시제도와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점은 세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 국가의 학교무용교육 목표는 내용, 주안점, 진술 방식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미국과 호주에 비해 한국의 교육 목표는 무용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역량 중 일부 역량만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학생이 목표를 성취하였는지 측정하기 어려운 내용을 목표로 진술하고 있었다. 여섯째, 한국, 미국, 호주는 각기 다른 내용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미국과 호주에 비해 한국은 교육 내용이 단계적으로 심화되기 보다는 반복되며, 교육과정 문서에 교육 내용에 관한 설명이 부족하여 교사의 교수 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일곱째, 세 국가는 성취기준에 대한 정의가 유사하고, 성취기준에 지식과 기능이 내재되어 있는 점이 공통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성취기준은 미국과 호주와 달리 학년군별 성취기준 간의 연관성이 부족하고, 지식과 기능을 단순히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여덟째, 한국, 미국, 호주는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평가하는 점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호주는 평가에 관한 구체적, 실제적인 지침 및 자료를 제공하여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를 연결하고, 교사의 평가 활동을 지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한국 교육 평가의 부족한 점이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무용은 교과로서의 위상이 없어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한국의 학교무용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무용교과가 신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무용교과 신설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무용교과를 신설하고, 이를 법제화한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3조 1항에 무용교과를 추가하거나 교육부장관이 무용교과를 필요한 교과로 인정해야 한다. 둘째, 예술 교과군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 예술 교과군에 무용, 음악, 미술, 연극 교과를 모두 포함하고, 이 교과들이 동등한 가치와 공평한 기회를 갖고 운영될 수 있도록 국가 수준의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무용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무용교육의 목적과 가치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무용교육의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평가 면에서 구체성과 계열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무용교사를 양성해야 한다. 신규 교사 양성 교육과정이 무용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무용교사를 양성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선발하고 임용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현재 중등학교 무용교사만 양성되고 있는데 초등 무용교사도 양성돼야 할 것이다. 현직 교사 양성의 경우 표시과목을 체육에서 무용으로 전환하거나 무용 부전공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와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또, 무용 분야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 및 전문가를 재교육하여 임용할 수도 있다. 다섯째, 무용교과를 운영하기 위한 지원 체제를 확보해야 한다. 국가 수준의 무용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제작하고, 무용 실기 수업을 위한 무용실을 갖추어야 한다. 나아가 교사가 교과에 관한 정보를 얻고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교수-학습 자료 플랫폼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위의 방안에 따라 무용교과가 신설되고 제반사항들이 마련된다면 더 많은 학생들이 무용을 경험하고 무용교육의 유익을 누리게 될 것이다. 이는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예술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 오늘날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에서 더욱 다양하고 많은 예술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무용교과 신설은 우리나라 학교예술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창의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ts education has gained prominence due to its enhancement of human creativity, imagin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lready seeing the power of arts education and expanding arts programs in schools. Korea is striving to revitalize school arts education through revised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ies; however, these efforts have not incorporated dance, even though dance education at the K-12 level has grown with overall arts education in many other areas globally.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ublic school da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hich have established dance as an independent subject, with Korea and to find ways to incorporate dance education into the Korean system. We used the following criteria for comparison: existence of a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organization,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 classifications, time allocation, requirements for high school graduation, relevance to college admission,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Through our comparison, we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ance education among countries and drew suggestions for Korean dance education. First, Kore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ll had national-level curricula. In Korea, however, the curriculum is applied uniformly to unit schools, and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individual districts decide whether to adopt the curricula. Second, in Korea, dance is subordinate to physical education, taught as an ambiguous activity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rts, while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dance exists as an independent subject within the arts category. Third,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here the time allocated for dance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stages, Korea mandates a certain level of dance learning time. Fourth, unlike Korea, where there are no requirements for high school graduatio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llow dance credits to apply towards graduation requirements. However, dance courses do not affect college admissions in any of the countries. Fif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differ across all three countries in content, main points, and the method of statements.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Korea's educational objectives are restrictive and hard to measure. Sixth, the three countries have different educational content.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Korean lessons are simply repeated rather than intensified in stages, and the curriculum guides lack descrip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Korean teachers to plan and practice teaching activities. Seventh, the three countries share similar defini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which include knowledge and ability.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owever, Korea's achievement standards lack a link between each school year and merely demand that students demonstrate knowledge and ability. Eighth, the three countries evaluated both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learning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provide specific and practical guidance for these assessments, linking the assessment to active learning and supporting teachers’ evaluation activities. This is lacking in Korean assessments. Ou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ferior status of dance education in Korea leads to subpar dance instruction. To address this problem and improve Korean public school dance education, dance should be established as a subject in schools. Measures to establish a dance subject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dance should be add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r the Minister of Education should recognize dance as a necessary subject. Second, danc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ine arts, along with music, visual art, and theater. State-level guidelin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all arts subjects have equal value and equal opportunities. Third, a danc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education, incorporating specificity and sequence in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Fourth, focused and intentional curricula and policies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can enhance d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dance, and there should be a direct path for train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dance teachers to gain employment in schools. In the case of re-educating current teacher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reate training programs that will allow teachers to transition from physical education to dance or to obtain a qualification for a minor in dance.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reach out to artists and experts in the dance field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dance education programs. Finally, materials and facilities must be created or updated. All schools should be provided with textbooks updated with a national-level dance curriculum as well as dance facilities. There is also a need to establish an online dance education platform for teacher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If dance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subject in K-12 education, more students will experience and enjoy the benefits of dance education, which will aid in the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school arts education. To nurture creative talent, schools should provide more diverse opportunities for artistic experiences. The cultivation of dance education will open new horizons in the nation's school arts education and contribute to cultivating creative tal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