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Care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최근 우리사회의 각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이슈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과학기술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간의 노동력이 기계로 대체되고 그로 인해 사회구조 역시 변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사회구조가 변화하면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직업의 분류에도 변화가 생기고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직업이 창출되며 동시에 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직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변화가 생기면 새로운 노동 시장에서 자신만의 경쟁력으로 살아남기 위해 무엇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하는 고민은 더욱 중요해진다. 진로란 삶을 유지해주는 생계 수단이자 삶을 이끌어가는 방향성의 발현이며 직업발달의 과정이다. 특히 청소년에게 있어 진로는 가족의 울타리를 벗어나 사회로 내딛는 첫 걸음이자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첫 단추를 꿰는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성취는 ‘우수한 학업성취를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대학입시’로 잘못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학생들은 성적과 등급에 몰두한 나머지 내가 무엇을 잘하고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하며 평생을 살아갈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었다. 그 결과, 정작 대학에 입학한 이후에도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미래의 삶을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갈피를 잡지 못한 채 방황하는가 하면, 취업과정에서 직업 선택의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고, 취업이 된 이후에도 자신의 적성과 일이 맞지 않은 것을 발견하고 그만두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다. 결국 이것은 명확한 진로인식의 부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더욱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하는 것은 어느 날 갑자기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한 개인만의 선택영역이라기보다 가정과 학교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하는 역동적인 사고과정이다. 즉 진로인식은 학업성취 만큼이나 가정과 학교 등의 사회 환경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영향을 받는 과정이며, 진로포부를 형성하고 미래의 직업지위 획득과 성취를 가늠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가 학생의 진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중에서도 특히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가정의 특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문화자본은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자본은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경기종단연구(GEPS) 데이터의 3차년도인 2014년 고등학생 3학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t-검정,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학생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분석 결과, 모형 1에서 자기주도성,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는 모두 진로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가정배경 변인과 가정, 학교의 문화·사회자본을 투입한 다른 모형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반면 예상과 달리 수학과목 학업성취도는 전체 모형에서 비록 영향력의 크기는 작지만 진로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인식 발달 단계에서 높은 학업성취도가 반드시 진로인식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 진로인식이란 높고 낮음의 수준을 갖는 진로포부와는 달리 진로에 대한 이해를 얼마만큼 잘 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짐에 따라 학업성취나 진로포부와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가정배경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부모의 학력,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을 투입한 결과, 변수들 중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버지 직업과 월평균 가구소득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은 선행연구에서 일관되게 나타난 것과 같이 소득수준이 높으면 진로인식도 높다는 결론을 보였지만, 아버지의 직업은 비록 영향력의 크기는 작지만 통계적으로 부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아버지의 직업지위가 갖는 영향력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예측하건데, ‘기러기아빠’로 대변되듯 오늘날의 아버지들이 사회 구조 속에서 직업지위를 통해 자녀의 교육을 위해 경제적 뒷받침을 담당하고는 있지만 정작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세대차이나 문화적 갈등을 겪는 오늘날의 씁쓸한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더불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직업지위는 비록 낮지만 소득 수준이 높은 경우, 아버지의 직업은 자녀의 진로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셋째, 문화자본으로는 학생의 독서활동과 문화활동, 컴퓨터와 스마트폰 소유여부, 학교의 문화시설 및 환경, 동아리 활동 그리고 방과 후 학교 참여여부가 진로인식에 갖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독서활동과 부모와의 문화활동은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는데, 독서활동의 경우, 사회자본이 투입되었을 때도 그 영향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물질적 자본은 고등학생 대부분이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진로인식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런가하면, 부모와 함께 하는 문화활동은 사회자본의 투입 시 유의한 영향력을 상실하였으며, 부적 영향을 나타내던 방과 후 학교 참여여부는 사회자본 투입 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학교에서 형성하는 교사나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이 더해지면, 부모로부터 전수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이 완화돠고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월평균 가구소득의 영향력이 사회자본 투입 시, 그 영향력의 크기가 줄어드는 결과를 통해서도 지지된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와의 관계는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사회자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모와의 애착관계는 부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자녀에 대해 부모가 갖는 양육태도는 진로인식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애착관계는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다는 결과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받는 지나친 믿음과 배려가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여 자녀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거나 부모에 대한 반발심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 친구와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만큼이나 진로인식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청소년기의 아이들에게 또래집단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갖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 폭력이나 왕따와 같은 또래집단의 문제가 개개인의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봄으로써 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논의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본 연구에서 진로인식에 대한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교사와의 관계라는 사회자본 지표를 구성하는 문항들이 진로인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음에 기인하는데, 관련 문항을 개선한다면 진로인식에 미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본 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정의 사회경제적 자본이나 사회경제적 자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화자본이 비록 충분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가정과 학교 환경에서 어떠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가, 그리고 그 속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가 하는 것은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This paper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s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on the care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in this paper, is defined as ‘a synthetic understanding of career itself and of one’s own self’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R. Wise. In today’s society, a career does not mean only‘a job’. Rather it means the way to discover what you are and to define yourself for a whole life. Regarding this, career awareness is the first and foremost procedure in the whole process of making career-related choices. In that sense, career awareness should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part to consider. Despite of its importance, in Korean society, it has been undervalued simply as ‘a means for enter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cerned with this problem,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3rd year high school in 2014 of the 3rd wave and applying the following analytical methodologi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and to the father’occupation , yet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occupation,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mong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SES)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ce of career awarenes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elf-understanding, voluntary initiative in creativity, relationship with friends, nurturing attitude from par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ttachment to parents, reading activ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school, parents’participation at school, cultural activities with parents,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average house income, father’s education,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club activities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that order.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gender, father’s job, mothers’job, possession of a computer and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not correlated with career awareness. Possession of smartphones had a negative impact. Third, with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elf-understanding and voluntary initiative in creativity from individual variables had a strong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At the same time, high achievement in Mathematics had a negative impact. From variable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whilst father’s job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although quite little.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father’s job. Likely, this negative influence is due to fathers today being too busy with work, and so they do not spend enough time with family. Fourth, among cultural capital variables, it showed that reading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parents had powerful impacts on career awareness, especially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ies still lasted consistently when social capital variables were put into Model Ⅳ. When social capital variables were added, cultural activities with parents lost its meaningful effect,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which had negative effect in Model Ⅲ, changed to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warenes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eers formed at school,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transmitted from parents can be alleviated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can be strengthened. This interpretation is also supported by the result that the impact of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on career awareness is decreased when social capital variables were added. Fifth, among the social capital variables, nurturing attitude from parent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Yet attachment to parents had a negative effect. While the nurturing attitude from parents in ordinary life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career awareness, the same cannot be said for attachment to parents. It can be understood that excessive attention or protection from parents can be regarded as mental burden or pressure. Sixth, the fact that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as powerful as parental attitude from parents, this can be a clue to remind how important peer group is to the adolescent. Lastly, this study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influence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However if the questions are modified to be job-ori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may be different.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no plentiful resources from family SES background or cultural capital which is affected by SES, it was found that the kind of relationships formed and how they interact with others not only at home but also at school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