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윤라임-
dc.creator윤라임-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5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5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53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37-
dc.description.abstract자폐 범주성 장애는 사회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결함을 핵심 특성으로 보이는 신경 발달 장애이다.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사회 의사소통 능력의 결함으로 인해 언어 이해와 처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므로 의사소통을 시작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아동의 부모는 아동의 반응이 지체되기 때문에 고도의 지시적인 상호작용 방식과 같은 성인 주도의 제한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아동은 의사소통을 시작할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되어 아동의 의사소통 시작하기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발달적 사회 화용론적(Developmental Social Pragmatic; DSP) 중재 모델은 아동의 관심 영역과 동기를 따르고, 아동의 현재 의사소통 레퍼토리를 형성하고, 아동의 사회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지원하는 요소로 좀 더 자연적인 활동과 사건을 사용하면서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시작행동과 자발성을 강조한다. DSP 중재는 SCERTS라고 불리는 종합적인 중재 모델로 발전하였다. SCERTS 모델은 교류지원(예: 대인관계 지원, 학습지원)의 실행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사회 의사소통(예: 공동관심, 상징 사용)과 정서 조절(예: 상호조절, 자기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 중심 진단 및 중재 접근이다. SCERTS 모델의 사회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으로 하여금 의사소통과 사회적 능력을 지원하는 공동관심(joint attention) 및 상징 사용(symbol use)의 기본적인 능력을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사회 의사소통 장애는 아동과 파트너가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속성상 교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파트너는 자기 반성적이어야 하고 아동의 사회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자신의 상호작용 방식을 수정하거나 조정하는 방법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매일 가정의 일과 활동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를 실행하는 것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중재는 어머니 교육 및 SCERTS 모델의 사회 의사소통 진단과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어머니 교육은 6회기를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자폐 범주성 장애, SCERTS 모델,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 실행 전략이 포함되었다. 어머니 교육과 동시에 SCERTS 모델의 사회 의사소통 진단이 실행되었는데, 진단은 유아의 상대적인 강점, 요구 및 우선순위의 개괄적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장단기 교수목표 선정과 교육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의 진보 정도를 점검하기 위해 SCERTS 모델의 진단 절차 단계에 따라 순서대로 실시되었다. 그런 다음 어머니의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 실행에 대해 14~16회기의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가정 활동 기록지 검토, 어머니의 자기 평가, 지난 회기 중재 전략 실행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 중재 계획 논의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낮은 만 3~5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 3쌍이었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의 모든 회기에서 유아와 어머니가 가정에서 함께 자유롭게 놀이하는 동안 촬영한 동영상을 활용하여 놀이가 시작되고 3분경과 후부터 10분 동안의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서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행동과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을 8초 관찰, 2초 기록의 10초 부분 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지는 중재 종료 4주 후에 연속 3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세 쌍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 모두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를 통하여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행동은 기초선 기간 보다 현저히 감소하였고,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은 기초선 기간 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세 쌍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 모두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를 통하여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서 감소된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행동은 중재 후반과 유사한 수준에서, 증가된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은 중재 후반과 유사하거나 중재 후반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머니가 가정에서 실행한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서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및 유아 시작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증거 기반의 실제이지만 국내에서는 연구 설계가 반영된 연구가 부족한 SCERTS 모델에 대한 경험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실행의 전 과정에 부모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유아와 어머니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가족 중심 접근의 개별화된 중재 실행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에 대한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을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과 유아 시작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특성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Autism Spectrum Disorder(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persistent deficits in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Children with ASD are often unable to initiate communication due to a number of challenges, which may include difficulties in 1) word retrieval, 2) processing of verbal and nonverbal cues, and 3) understanding social-communicative conventions. To compound these difficulties, children are often not provided with the opportunities to initiate communication due to highly adult-directed verbal styles of interaction, such as a high frequency of questions and directives and excessive premature verbal or physical prompting. The SCERTS model is a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educational approach that aims to enhance the social communication(SC) and emotional regulation(ER) of children with AS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ransactional support(TS). The goal of the Social Communication domain of the model is to enable children to develop the foundational abilities in joint attention and symbol use that support communicative and social competence. Social-communicative disabilities are transactional in nature in that the child and their partner in communication affect each other. Therefore, the partner should be self-reflective and they must learn how to accommodate and modify their interactive style to facilitate the child’s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at home. In this study, intervention consisted of mother education, SCERTS assessment process(SAP) and feedback. Mother education was conducted for 6 sessions, which involved information on the ASD, SCERTS model,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an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SCERTS Model. The SCERTS Assessment Process(SAP) was conducted on the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procedure steps in order to identify aspects of the child's relative strengths, needs and priorities. By identifying these aspects, the SAP results could be useful in providing information for prioritizing short- and long-term teaching objective and designing a SCERTS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hild and in monitoring their further progress. Feedback was provided for 14-16 sessions in order to support mothers to implement intervention strategies. The feedback was given in the following order: 1) reviewing the home activity reports, 2) self-evaluation, 3) video feedback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4) discussions on planning of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re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between three and five years old who were having difficulties with social initiations.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There were three periods throughout this research, nam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 Observation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conducted for every 10 seconds through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maintenance effects were assess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erio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at home resulted in substantial increases in young child-initiated interaction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mother-initiated interaction within mother-young child interactions across all participants. Second, 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at home were maintain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In summary, this study proved that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the SCERTS model at home increases young child-initiated interactions and decreases mother-initiated interactions within th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Also,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SCERTS model, which lacks research in Korea that reflects research design. In addition, family-center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as this study allowed par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of the intervention working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s. Moreover, individualized mother education, feedback,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er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inally, by dividing the interaction behavior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into mother-initiated and young child-initiated interaction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with ASD and their mothers were closely observed,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according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발달 8 B. 부모 실행 중재 10 C.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 12 1. 발달적 사회 화용론적 중재 12 2. SCERTS 모델에 대한 개관 14 3. SCERTS 모델의 사회 의사소통 16 4.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의 실행 전략 19 5. SCERTS 모델에 관한 선행 연구 26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참여자 29 1. 선정 기준 29 2. 선정 절차 30 3. 연구 참여자 기본 정보 및 특성 30 B. 실험 기간 36 C. 실험 환경 36 D. 실험 설계 및 조건 37 1. 실험 설계 37 2. 실험 조건 및 절차 38 E. 관찰 및 측정 49 1. 관찰 행동의 조작적 정의 49 2. 자료의 수집 및 측정 51 F. 관찰자 간 신뢰도 51 G. 중재 충실도 52 1. 연구자 중재 충실도 52 2. 어머니 중재 충실도 53 H. 사회적 타당도 57 Ⅳ. 연구 결과 60 A.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0 B.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지에 미치는 영향 68 Ⅴ. 논의 및 제언 70 A. 논의 70 B. 제한점 78 C. 제언 78 참고문헌 80 부록 96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66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Based on SCERTS Model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 Home-
dc.creator.othernameYun, Raim-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