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정윤서-
dc.creator정윤서-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3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3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9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96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토론 수업의 구성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한국 사회 및 한국 학교에서 타인과 의견을 조율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에 처해있다. 그러나 대부분 구체적인 표현 능력이 취약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또한, 한국 언어문화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하여 학업 부적응을 경험한다. 이에 한국어 능력 및 교과 학습 능력을 일정 수준으로 끌어올려 주류 사회 적응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교육 내용 마련이 요구된다. 이것은 학교 교육과정이 ‘토론’을 활용한 교수-학습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기초를 익히되 언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간적 성격을 지녀야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학교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토론 활동을 분석하며 다문화 배경 청소년을 위한 주제중심의 한국어 토론 수업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 성장 배경에 따른 다문화 학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등 학급에 재학 중인 청소년기 학생을 ‘다문화 배경 청소년’으로 한정하며 이들이 갖는 교육적 어려움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토론의 개념, 능력, 기능, 의의 등을 통해 토론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1~3학년 ‘국어’, ‘사회’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토론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교재와 비교적 관점에서 토론 활동의 수정 및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량의 토론 경험을 확보하여 학업적 말하기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단계적인 절차에 따라 통합적으로 토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확인하기, 동의하기, 반박하기 기능 훈련을 위하여 언어 표현을 목록화하여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명시적인 지시문을 통해 토론 활동을 안내해야 한다. 다섯째, 교과 토론 주제를 활용한 필연적인 토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토론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을 ‘한국어 능력을 신장하며 학교 토론 수업의 적응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보며, 수업 구성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수업은 ‘문화존중’ 주제로 다문화 감수성을 제고하며 교과 토론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고, 절차에 따라 핵심 활동과 기능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학교 교과에서 요구하고 있는 ‘토론 전 단계, 토론 단계, 토론 후 단계’에 따라, 토론 전 단계에서는 ‘토론 지식 익히기, 토론 기능 및 표현 학습, 예비 토론’, 토론 단계에서는 ‘내용 학습하기, 입장 정하기, 토론 계획서 작성하기, 토론하기’, 토론 후 단계에서는 ‘토론 평가하기, 확장 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교과 토론 수업과 한국어 토론 수업이 연계성을 가지게 되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상의 연구 과정은 다문화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과 주제를 활용하여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한국어 토론 수업의 구성을 꾀하려고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로 하여금 토론 수업에 관한 논의가 확장되어 다문화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여타 교육의 본보기가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organize Korean language lessons for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ar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co-ordinate or solve problems with others in Korean society and in Korean schools. However, most of them have are not able to fully express themselv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addition, students experience maladjustment due to lack of basic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ulture. Therefore,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subject learning ability to a certain level to help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cope into mainstream society. While the optimal educational system would be around communication and debates about basic subject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be able to strengthen and master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hile they learn their basic subjects through interac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debate activities of school textbooks along with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suggests how to organize Theme-Based debate Courses for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between the two subject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own background. Specificall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 background' were identified as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pursuit for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dialogue through the adolescent's capacity to understanding concepts, abilities, and functions of subjects through debate. In Chapter 3, we extracted elements of debates required from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7th~9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long with our methods of debate-oriented classes, the revisions and improvements of the debate activities that can optimally work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presented as follows: 1. Debate classes surround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help with gaining formal speaking abilities through academic subjects. 2. In accordance with procedures debates activities being integrated into all the curriculums. 3. Expressions such as Clarifying, Agreeing, Refutation to be listed and catalogued for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learn. 4. Instructions explicitly set for debate should guide the discussion. 5. The subject of the debate matter at all times is the center of the debate. In Chapter 4, the ultimate purpose of Korean debate class is to promote the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develop adaptability to school curriculums, and the optimal class composition is presented. The class was planned to enhanc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ies and help the subjects of the debates, as well as in accordance to procedures allowing for the class to arrange main activities and functions surrounding a core subject of the debate. As for the requirements in school curriculums, the study had pre-debate phase, debate phase, and post-debate phase. Under the pre-debate phase Learning debate knowledge, Debate strategies, Korean expressions, Preliminary debate are incorporated. Under the debate phase 'Learning content, Deciding on logic and Preparing for refutation' is incorporated. Lastly, under the post-debate stages 'Evaluating the debates, Expanding on ideas' are incorporated into the classes. Through these activities, curriculums with debates combined and the Korean debate classes have a connectivity to optimally educate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construct a realistic and practical Korean language debate class using multicultural subjec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urther the message about having debate based classes and as an exemplary path for educating the multicultural youth of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4 1. 다문화 배경 학생과 한국어 교육 4 2. 한국어 교육에서의 토론 교육 현황 5 C.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다문화 배경 청소년과 한국어(KSL) 교육과정 9 1.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개념 9 2.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교육 실태 11 B. 다문화 배경 청소년을 위한 토론 교육 16 1. 토론의 개념 및 특징 16 2. 토론 교육의 의의 19 3. 토론 능력과 토론 기능 21 Ⅲ. 한국어 토론 수업 구성을 위한 교육 자료 분석 27 A. 학교 교과서의 토론 활동 양상 27 B. 한국어(KSL) 교재의 토론 활동 양상 34 1. 학습 도구 한국어 교재의 토론 활동 내용 35 2. 학습 도구 한국어 교재의 토론 활동 개선 방향 39 Ⅳ. 한국어 토론 수업 구성 방안 42 A. 한국어 토론 수업 설계 42 1. 한국어 토론 수업의 목표 43 2. 한국어 토론 수업의 실제 44 B. 한국어 토론 수업 지도안 56 Ⅴ. 결론 61 A. 연구 결과의 요약 61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62 C. 다문화 배경 청소년 대상의 한국어 토론 수업에 대한 시사점 63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56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문화 배경 청소년 대상의 한국어 토론 수업 구성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Debate Class Plans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 Students-
dc.creator.othernameJoung, Yunseo-
dc.format.pagev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