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Title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Authors
이미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ABSTRACT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Lee, Mi young Major in Art Therap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is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effective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empathic abilities? Second, is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effective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 in Incheon. Two classe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two classes as control groups out of four 2nd graders classes. Group art therapy for the experimental groups was performed twice a week during four weeks and one session lasted eighty minutes. During the same period, for the control group, activities related to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by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carried out.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empathic competence of the national-level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alled Eo-ul-lim.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students to share empathic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lower graders, thereby to improve their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This study used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 group art therap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both groups, Levene's Homogeneity of variance test was applied. Pre-test was conducted on the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for both groups. Thereby it was confirmed that the equal variance assum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et. This study has also tested the homogeneity of the both groups for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through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fter the completion of group art therapy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 post-tes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SPSS for Windows 26.0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 of post-tests for empathic abilities and the peer relationships quality was analyzed and verified through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Welch-Aspin test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s on empathic abilities and the peer relationships qua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eight session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empathic abilities. The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 i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empathic abilities and sub-areas of empathy in terms of viewing, imagining, empathic attention, and empathic awakening.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value of the overall empathic abilities.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mean valu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sub-areas of empathy in terms of viewing, empathic attention, and empathic awakening. In one of the sub-areas, imagination, the mean value increased,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ecause a P value greater than 0.05 means that no effect was observed. Seco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peer relationships quality. Moreo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in the sub-areas with positive factor improvement and negative factor decreas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and post results of the positive factors of the both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effect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s quality, such as friendship, mutual intimacy,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and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 In terms of popularity 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value was high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all sub factors of the contro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pre- and post-tests on negative factors regarding the peer relationships quality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overall negative factors, such a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unilateral initiatives, withdrawal and isolation facto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rol group.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effect on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While preforming group art activities, students communicated and shared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with peers and developed positive peer relationship. In consequence, it was observed that lower graders’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improved that helps students respond flexibly to school violence situations. All in all, as mentioned abo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is study proved the positive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conducted by the homeroom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ystem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statistic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an empirical study that proves the necess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class unit.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A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다. 2학년 4개 학급을 선정하여 2학급을 실험집단, 2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집단미술치료 시간은 학년교육과정 중 교과별 담임재량으로 배정된 시간을 이용하여 주당 2회, 매 회기 2차시씩 16차시에 걸쳐 총 8회기로 실시되었다. 같은 기간 통제집단에서는 교과별 담임재량 수업으로 교과와 연계한 활동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집단미술치료의 요소를 포함하여 국가 수준 학교폭력 예방 어울림 프로그램의 공감역량 부분을 수정·보완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또래와 공감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나누는 경험을 통해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를 독립 변인으로,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 사전검사와 또래관계의 질 사전검사에 대한 Levene의 등분산 검정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등분산 가정이 충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두 독립표본 t 검정으로 공감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 종료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한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s 26.0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공감능력 사후검사와 또래관계의 질 사후검사를 두 독립표본 t 검정과 Welch-Aspin 검정으로 분석하여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 실시 이후 나타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별 공감능력 사전·사후검사, 또래관계의 질 사전·사후검사 평균 점수를 두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여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전체 공감능력 및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공감적 각성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과 사후를 비교한 전체 공감능력 평균값에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조망취하기, 공감적 관심, 공감적 각성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평균값이 상승한 상상하기의 경우에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영역인 긍정적 요인 향상과 부정적 요인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긍정적 요인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또래관계의 질 하위 요인인 우의, 상호친밀·공감대, 정서적·사회적 지지, 갈등의 해결, 또래관계 만족 요인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인기요인은 실험집단의 평균이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각 집단별 또래관계의 질 긍정적 요인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의 모든 하위 요인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의 모든 하위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집단별 또래관계의 질 부정적 요인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의 전체 부정적 요인, 갈등과 대립, 일방적 주도, 철회·고립 요인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통제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집단미술 활동을 할 때 또래와 함께 인지적, 정서적 공감 반응을 나누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행동과 말을 하며 학교폭력 상황에 유연히 대처할 수 있는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이 향상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교육체제 내에서 학급 담임 교사 주도로 시행되는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효과를 통계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학급 단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입증한 경험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