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김민성-
dc.creator김민성-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30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3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7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7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8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이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의 문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임신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39세 고학력 기혼 여성이다. 사례는 2019년 8월 7일부터 2019년 10월 2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2회씩 60분간 총 1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 감정 탐색 및 표현 과정을 통한 자기 이해, 자기 가치 탐색, 긍정적 자원 발견, 성취감 획득 경험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의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전·사후 면담, 미술치료 전 회기의 녹음 파일과 이에 대한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일지, 작품 사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의 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고, 연구 참여자의 의미 있는 미술치료 경험과 언어적 표현을 정리하였으며, 정리한 자료는 개방 코딩, 범주화, 그리고 범주 확인의 과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의 범주는 <임신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후 껍데기같이 변해버린 나의 삶>, <나 자신을 되찾고 싶어 시작한 미술치료가 쉽지만은 않음>, <규칙적이고 창조적인 미술치료에서 즐거움과 활기를 찾음>, <엄마로서 힘들었던 나를 만나고 위로하게 된 미술치료>, <미술치료를 통해 되찾기 시작한 나의 삶>, <미술치료로 연결된 나와 딸들>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이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경험과 내면을 미술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작품을 창조하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여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과거에 성취하지 못한 경험을 미술로 표현함으로써, 경험을 통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희망하는 미래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은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창조 경험에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인 경험을 통합함으로써 미래상에 대한 목표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 experienced in the art therapy process for a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s self-esteem and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research by apply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 is 39-year-old married woman whose career was interrupted by pregnancy. The case proceeded from August 7, 2019 to October 21, 2019 and eighteen art therapy sessions were performed by twice a week for sixty minutes. The goal of art therapy for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s self-esteem is self-exploration on feelings, self-understanding through art expression process, exploration of self-worth, positive resources discovery and a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 and based on that, the session of art therapy was organized.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pre and post interviews, recorded files of art therapy sessions, word-to-word records, the investigator’s observation journal, and photographs of the artworks. All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rt therapy of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 In detail, the method involved a summary of significant linguistic and art expression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 based on multiple careful readings of the transcription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verification of catego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six parent topics and fifteen subtopics were derived. The six parent topics of art therapy experience for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s self-esteem are as follows: my life changed like a shell after my career was interrupted by pregnancy and childcare, art therapy that I started to get myself back is not easy, finding joy and vitality in regular and creative art therapy, art therapy where I met and comforted myself as a mother, my life started to recover through art therapy, and me and my daughters who were connected by art therap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woman in the art therapy process for self-esteem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 experience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her own experiences and the inner feeling by art. Second, the study participant recovered her confidence by experienc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completing art works. Third, the study participant expressed her experiences that they had not achieved in the past by art, integrating the experiences and establishing a desired future image. In conclusion,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 was able to understand herself through art therapy for self-esteem and increase her confidence in experienc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in creative experience. Furthermore, by integrating her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art, the research participant became available to have a goal for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문헌고찰 7 A.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 7 B. 자아존중감 11 C. 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14 Ⅲ. 연구방법 17 A. 질적 사례 연구 17 B. 연구 참여자 18 C. 미술치료 사례 구성 22 D. 자료 수집 25 E. 자료 분석 26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27 G.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8 Ⅳ. 연구결과 29 A.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 분석 29 B. 미술치료 과정 분석 64 Ⅴ. 논의 및 결론 71 참고문헌 77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83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3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경력단절 고학력 기혼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Highly Educated and Career Interrupted Married Woman’s self-esteem-
dc.creator.othernameKim, Min Sung-
dc.format.pagev,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