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이야기그림(Draw-A-Story: DAS)검사 반응특성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이야기그림(Draw-A-Story: DAS)검사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raw-A-Story (DAS) Test Responses According to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uthors
유현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이야기그림(Draw-A-Story: DAS)검사의 반응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야기그림(DAS)검사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측정하는데 보완적 검사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 16일부터 10월 4일까지 인천, 부산, 울산 지역에 소재한 3곳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이야기그림(DAS)검사를 진행하였다. 이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총 172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이야기그림(DAS)검사와 최은희(1996)의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야기그림(DAS)검사 분석은 연구자 외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 소지자 2인과 함께 평정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Win 20.0 Ver. 을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 요인 별 기술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자아탄력성과 이야기그림(DAS)검사의 반응특성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와 하위영역을 변수로 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자아탄력성과 이야기그림(DAS)검사 반응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각의 단순 회귀분석을 진행하고,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자아탄력성, 이야기그림(DAS)검사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탄력성의 수준에 따라 구분된 집단간의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 평가 수준에 따른 이야기그림(DAS)검사 중 정서내용, 자아상에서 반응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이야기그림(DAS)검사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긍정적이고 밝은 그림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이야기그림(DAS)검사의 척도 간의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하위영역에서도 동일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이야기그림(DAS)검사 선택에 따른 정서내용 및 자아상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화산’, ‘공룡’, ‘고양이’를 선택한 응답자는 이야기그림(DAS)검사에서 자아상 항목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면사포를 쓴 여인’, ‘성’,‘병아리’, ‘낙하산’을 선택한 응답자는 이야기그림(DAS)검사의 정서내용과 자아상 항목에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중성적 아이’는 두 집단 모두에게 높은 비율로 선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그림(DAS) 검사와 자아탄력성의 하위척도 및 전체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이야기그림(DAS) 검사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 아탄력성을 반영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투사적 그림검사로 이야기그림(DAS)검사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학교현장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심리상태를 보다 편안한 접근 방식으로 검사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 기를 기대한다.;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raw-A-Story (DAS) Test Responses According to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of responses to the Draw-A-Story (DAS) test according to the ego 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how the DAS tes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test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ego-elasticity of those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survey and DAS test were conducted for 180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Busan, and Ulsan from September 16 to October 4, 2019. Among them, a total of 172 copies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except for 8 copies, which were answered unfaithfully. The DAS test and ego elasticity measu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The DAS tes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one researcher and two other members with a master's degree.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Win 20.0 Ver.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subfactor of the ego-elasticity sca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and DA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otal and subordinate areas of each sca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S test response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ego resilience according to the choice of stimulus pictur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S test respons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between groups divided by the level of self-elasti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DAS test, according to the level of ego resilience of the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in terms of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the more positive and bright the images showing emotions and self-images in the DAS test resul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go resilience and the DAS test scale, and the sam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subdomain. Third,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AS test selection. Respondents who chose Volcano, Dinosaur, and Ca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images on the DAS test. Respondents who chose "women wearing veils," "sex," "chicks," and "parachut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s on the DAS test and their self-images. "Neutral children" were chosen at a high rate for both groups.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S test and the sub- and total areas of ego-resilience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AS test could reflect the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jectional picture test proved the usefulness of the DAS test.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a more relaxed appro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