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이야기그림(DAS)검사 반응 특성 연구

Title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이야기그림(DAS)검사 반응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
Authors
박서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Draw-A-Story: DAS) 검사의 정서 내용 및 자아상 반응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야기 그림(DAS) 검사가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평가할 수 있는 투사적 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 지역 H군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척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그리고 이야기 그림(DAS) 검사를 실시 후 SPSS Ver 25.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수준별 DAS의 정서 내용 및 자아상 반응 특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척도별로 상·중·하위 집단을 나누고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DAS의 정서 내용 및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DAS 반응 특성 및 DAS 자극 그림 선택에 따른 DAS 반응 특성을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DAS 반응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정서 내용 척도에서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자아상 척도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 따른 DAS 반응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정서 내용과 자아상 척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DAS 반응 특성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 및 여학생 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DAS 자극 그림 다중 선택 빈도분석 결과‘성’과 ‘뱀’을 가장 많이 선택하고, ‘카우보이’와 ‘파이프를 문 남자’를 가장 적게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 카드별 DAS 반응 특성을 분석해봤을 때,‘성, 면사포를 쓴 여인, 낙하산을 탄 사람 중성적인 아이’를 선택한 집단은 비선택 집단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평가가, ‘화산, 공룡, 뱀, 칼, 파이프를 문 남자’를 선택한 대상자들은 DAS 평가에서 비선택 집단보다 유의하게 부정적 평가가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DAS와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는 DAS 정서 내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DAS 정서 내용 및 자아상과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DAS가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진단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DAS의 활용 가능성 확장 및 투사적 그림 도구의 심리 요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데에 의의를 둔다. 다만, DAS 자아상 척도로는 학업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는데 추후 스트레스 요인과 DAS 자아상 간의 후속 연구를 통해 긍정 및 부정의 내용이 혼재되어있는 자아상 척도를 세분화하여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둔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 및 임상현장에서 중학생들의 학업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조기에 파악하고 안타까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DAS 검사가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기대해본다. ; Draw-A-Story(DAS), a drawing test, is a picture examination that is used to evaluate huma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drawing assessment are difficult to calculate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human mentality and the diversity of though, as well as the lack of control of emotion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DAS assessment, especially for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characteristic.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wo hundred sev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research. They competed the DAS assessment and relative survey based on their ow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Additionally, compared affect between th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characteristic (DAS protocols) were defined. A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ependent variabl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within level of groups (Low VS. High). Furthermore, correlations were used to compar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v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characteristics.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25.0 software) was used to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0.05. The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4) in the DAS emo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academic stress level; never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p=.26) in the DAS self-image and academic stress level. Furthermore, the t-tes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the DAS emotional content (p=.002) amd self-image (p=.001). Moreover,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correlative effect among the academic stress VS. DAS emotional contents, academic self-efficacy VS. DAS emotional contents, and academic self-efficacy VS. self-image. In the DAS assessment, most ot students chose ‘castle’ and ‘snake’ pictures, while ‘cowboy’ and ‘pipe-man’ selections were f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S stimulus drawings select, most of the positive thinking group students chose ‘castle’, ‘woman in a veil’, and ‘parachute-man’ pictures. On the other hand, negative thinking group students chose ‘volcano’, ‘dinosaur’, ‘snake’, ‘knife’, and ‘pipe-man’ drawings.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S assessment can be used to diagnos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s provided evidence to suppor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AS test as an extension of availability to find a a psychological factors of projective test tools.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studies refine the accuracy scale of measurement of the results between of the academic stress and DAS self-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