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시청자의 도덕적 이탈이 범죄자 캐릭터의 배우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청자의 도덕적 이탈이 범죄자 캐릭터의 배우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audience's moral disengagement from criminal characters on actors' liking
Authors
ZHANG, JIANGYA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소혜
Abstract
최근 몇 년 사이에 크라임 장르의 영상물들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선악이 모호한 범죄자 캐릭터들도 시청자들의 광범위한 관심과 사랑을 얻고 있다. 실제로 시청자들이 특정 범죄자 캐릭터를 동정하고 그의 도덕적이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도 변명하는 현상들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 기초하여, 시청자들의 범죄자 캐릭터 행위에 대한 귀인이 상황귀인인지 혹은 성향귀인인지, 그리고 범죄자 캐릭터 행위의 결과가 긍정 혹은 부정적인지에 따라 시청자들의 도덕적 이탈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했다. 동시에 이들 관계에 있어 모호함에 대한 관용도가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조커>를 자극물로 선정, 실험물로 편집하고 이 영화를 시청한 경험이 없는 중국의 일반인 120명을 선정해, 2(성향귀인vs 상황귀인)*2(긍정적 결과vs. 부정적 결과) 피험자 간 설계 실험을 진행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실험 결과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과 단계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 번째, 시청자들의 범죄자 캐릭터 행위에 대한 상황귀인과 도덕적 이탈은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반면, 성향귀인은 도덕적 이탈과 부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죄자 캐릭터의 행위의 결과는 도덕적 이탈과 관계가 없었으며, 세 번째, 모호함에 대한 관용도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네 번째, 시청자들의 도덕적 이탈과 배우에 대한 호감도 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미디어의 학술적 배경에서, 크라임 장르와 도덕적으로 모호한 캐릭터에 대한 연구 분야를 확장시켰고, 배우호감도라는 새로운 변인을 추가하여 이와 도덕적 이탈 간의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고는 후속 연구는 물론,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증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 ;TV series and moives relating to crime have become a popular theme in recent years. The images of the characters in these video products sometimes cannot be simply recognized as “good” or “bad”, have also been noticed and loved by a wide range of audience. Under some circumstances, even viewers sometimes sympathize with a criminal role and justify his actions. This study builds on previous research to examine the audience's attribution (whether internal or external) to the offender's character behavior, as well as the outcome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of the offender's character and whether the audience has moral disengagement What kind of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m, and the role of tolerance of ambiguity in regulating their relationship is also explo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ovie "Joker" was selected as the stimulus for testing, which is not officially released in China. 68 ordinary Chinese who did not watch this movie were selected to conduct a 2 * 2 between subjects design experiment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After that, the research conducted Two-way ANOVA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ence's external attribution to the offender's role and the audience ’s moral disengagement. In turn, the internal attribution and moral disengagement are negatively correlated. A person’s character will be justified for unethical behavior when it is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or other people’s stimuli, and when the behavior of such a character is caused by his own character, the moral disengagement did not appear. Second, the consequences of the offender's actions have seen no practical impact on moral disengagement. Third, the regulation effect of tolerance of ambiguity does not play a role. On the last point, there is also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s moral detachment and their affection for the actors. This research is a new attempt and expansion of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 of moral ambiguity, and creatively added the concept of actor favor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ctual and actor entertainmen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provide a new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and have certain reference significance for subsequent related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