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1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경험

Title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경험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on about Justice and Experiences about Justice in Class
Authors
안예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급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2-1. 유치원 교사가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은 무엇인가? 2-2. 유치원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2-3. 유치원 교사가 학급에서의 공정성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경력 3년 이상의 만 5세 유치원 교사 10명이다. 주된 연구 방법은 심층관찰이며 참여관찰을 부수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2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교사 당 1회의 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이 가능한 교사의 학급을 총 6회 관찰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을 통한 전사로, 관찰 내용은 약기로 이루어졌다. 자료를 분석하며 하위코드를 정리하여 코딩범주를 만들고 예비 범주 구성 후, 예비 범주를 수정하여 최종 범주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공정성을 우리 사회의 기본이어야 하는 것, 그 때 그 때 달라 어려운 것, 모두 동등하지만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공정성이 우리 사회의 기본적 가치이며 공정성이 확보될 때 우리 사회가 발전할 수 있고 구성원들이 행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의 공정성은 유아 학급의 공정성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보아, 학급에서의 공정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공정성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각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유아 학급에서의 공정성은 그 대상이 유아라는 점에서 더 어려운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교사들은 공정성을 똑같은 평등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똑같지 않은 형평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공정성을 동등한 기회와 권리, 법과 규칙의 준수라는 측면에서 평등으로 보았으며, 사회에서의 약자와 소수 배려, 상황에 맞는 존중이라는 측면에서 형평으로 인식하였다. 유아 학급에서도 유아가 동등한 기회를 갖고 교사에게 동등한 사랑을 받는 것이 평등이며,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적으로 배려하고 개인을 존중하는 것을 형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급에서 교사들의 공정성에 대한 경험은 연구 결과, 크게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으로 나누어졌다. 교사가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은 또래갈등 상황, 특별한 기회 부여 상황, 학급 내 의사결정 상황, 대집단 활동으로서의 게임 상황이었다. 교사들은 또래갈등 상황에서 교사가 공정하게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공정성을 판단하였으며, 이야기나누기 시 발표 기회를 주거나 학급에서 특별한 기회를 부여할 때 되도록 모두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판단을 하였다. 또한 학급 내 의사결정 상황에서 공정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집단 활동으로서의 게임 상황에서 공정한 게임이 될 수 있도록 공정성을 판단을 하고 있었다.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 있었는데, 개인적 요인으로는 가치판단의 딜레마와 교사의 선입견이 있었으며 상황적 요인으로는 일과 운영, 상황의 다양성, 학부모의 요구가 있었다. 교사들은 공정성 판단 시 다양한 가치가 충돌하여 어느 것에 중점을 둘지 어려움을 겪거나 교사의 선입견이 작용하여 공정한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일과 운영으로 인해 어떤 사건이나 특정 활동에 오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는 경우, 다양한 입장이 상충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교사의 생각과 부딪히는 학부모의 요구가 있을 경우 공정한 판단이 어렵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학급 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찾기, 학급에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 배려하기, 소수 의견 존중하기, 교사의 권위를 최소화하기, 자기반성하기가 그것이다. 교사들은 학급에서의 평등을 위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으며, 형평을 위해 학급에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우선 배려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의사결정 시 소수 의견이 존중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교사가 유아와 동등한 위치의 학급 구성원이 되기 위해 교사의 권위를 최소화하였으며, 지속적인 자기반성을 통해 자신을 점검하고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자기반성이 중요하다고 보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on about justice in-depth and experiences about justice in class specifically.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justice that kindergarten teachers cognize? 2.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kindergarten teachers have about justice in class? 2-1. What situations do teachers judge justice? 2-2. What are the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2-3. What efforts do teachers do for justice in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5-year-old clas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ith the educational career more than 3 years. Interview was the main method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the secondary method of the research. An interview was executed for each teacher from February 6, 2017 to April 14,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executed in 3 teachers' classrooms for 2 times each. Analysis of interview data followed the process of transfer, observation data followed the short sketch of researcher's. With analyzing research data, preliminary coding categories were made by organizing subcodes. After modifying the coding categories, final coding categories were organ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the basic of the society’, ‘the difficult thing because of its flexibility’, and ‘equal but not equal’. Teachers believed that the justice should be the basic value of the society, and when the justice are ensured the society can be developed, and people can be happy. In addition, teachers consider justice in class important because they believed that justice in class is the starting point of justice in the society. But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a difficult thing because its standard is uncertain and its jud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s. Teachers cognized that judging justice can be more difficult, especially in class of children. Also,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equal but not equal. Teachers cognized justice as equality in an aspect of same opportunity and rights and observing the law and rule, equity in an aspect of consideration for the weak and minority and respecting individual. In the class, teachers cognized equality as the children get same opportunity and be loved equally, and equity as the children in special needs are considered well and respected individually. Second,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consisted of the situations that teachers judge justice, the factors that makes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and the efforts that teachers do for the justice in class. The situations teachers judge justice was peer conflict, giving special opportunity, make a decision in class, and game as large group activity. Teachers judged justice in a peer conflict situation because fair intervention is important, and in situation when giving special opportunity to provide everyone an equal opportunity. Also, to make fair decision and fair game activity, teachers judged justice in class.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Individual factors were dilemma over value judgement and prejudice of teachers. Situational factors were a time table of the class, diversity of situations, and the demand of school parents. Teachers had difficulty in judging justice when various values conflict, and teachers' prejudice comes out. Also, Teachers were difficult to judge justice when they could not spend long time in specific situation because of time table of the class, various aspects conflict, and school parents' demand conflict with teachers' judgement. In spite of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teachers were working hard for the justice in class. Such efforts were finding the way that every child participate equally, considering children in special needs first, respecting a minority opinion, minimizing their own authority, self-reflection. Teachers found the way to make every child participate equally for equality of the class, developed various strategies to consider children in special needs for equity of the class. Also, teachers respected a minority opinion when teachers make a decision with children, and minimized their own authority in class to be in equal position with children. In addition, teachers regarded self-reflection as important thing to make class fair and did self-reflection consta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