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Using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uthors
최지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Schools are the main living and learning spaces for students, along with their families.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such as quality of education, social relations, and school culture have an effect on school achievement. The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at it affects th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the public education felt by educators. School satisfaction, which can be regarded as a measure of school achievement, is a cognitive and affective assessment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in school (Huebner, Suldo, Valois, Drane, Zullig, 2004). The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that students perceive mean individual differences in school life that students experience (Baker, Dilly, Aupperlee, Patil, 2003). In addition,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school education in that it is a predictor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school life and has an impact on behavior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of students and parents surveyed in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GEPS) surveyed in 2016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Second, which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affect school satisfaction? For this, Difference analysis to examin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the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in all variables except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The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ost of the variables set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ignificance level .001 between the groups such as gender, self esteem, volunteer activity, motivation of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ersonal variable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of family variables and teacher 's passion, learner centered class, understanding of class,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human rights violation, discrimination experience, degre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of school variables. And The variabl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t significance level .01 were academic achievement of individual variables and degree of school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 satisfaction were the gender (male) and motivation of learning of the individual variabl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of family variables. In school variable, teachers’ passion, learner - centered instruc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human rights violation, degre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effect of 9 pm school attendance, and innovation school affect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that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eachers ' passion, learner centered class, and teachers' relationship. The explanatory power of school variables on subordinate variables was higher than the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variables and famil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ey variables for improving school satisfaction were school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se findings. Firs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 Cooperative learning is easi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ty feel than individual learning. The advantage of such cooperative learning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for expanding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 Second, There is a need for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The students who perceived positively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howed high schoo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ften experienced school maladjustment. Teachers are focused on students who experience school maladjust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student has with their parents and to help them grow securely in their families through appropriate linkage to the relevant institutions when an external support system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learner-centered cla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tudents feel higher school satisfaction with using learner-centered class. It is important that the learner-centered class constitut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tudent becomes an active participant in learning. Therefore, professional training for learner-centered classe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of the learner-centered class.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eacher 's professionalism about teacher' s heat and life guid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en the teacher is enthusiastic about the class and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 it positively affects the schoo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directly affects the school satisfaction. So it should suppor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lessons. Teacher is a subject that enables class innovation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school.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o that it can spread and become more professional. Therefore, local school districts should provide educational support and local school-to-school networks needed by teachers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field-oriented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life guidance. Teachers are important social capital of students, and the attitude of teachers to students affects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life guidance, local school districts should provide field-oriented teacher training reflect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life guidance. Fifth, there is a need to support the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school operation of the unit school. As a result of the study, if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 is low and the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school operation is high,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has increased.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means that school members such as administrators, teachers' councils, parent councils, and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through communication. Democratic schooling is significant in allowing students to grow into a member of democracy. In order to improve the democratic school operation, the local education office should support the democratic school operation in the unit school.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various variables influencing the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ggested the efforts of the school based on this.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generalized to students in Gyeonggi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o students in other regions. Al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entire grade of middle school because only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are the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following study will be more meaningful in improving the school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chool satisfaction through the broad and longitudinal sampling of the sampling by region and grad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using the longitudinal study of Gyeonggi education for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generalized to students in Gyeonggido,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o students in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entire grade of junior high school because only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학교는 가정과 더불어 학생들의 주된 생활공간이자 학습공간으로, 학교에서 경험하는 교육의 질, 사회적 관계, 학교 문화와 같은 학교의 구성요소들은 학교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교육의 성과는 교육수요자들이 느끼는 공교육에 대한 만족감과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학교교육의 정의적 성과지표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학교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만족의 인지적, 정의적 평가로(Huebner, Suldo, Valois, Drane, Zullig, 2004), 학생들이 인지하는 학교만족도의 차이는 학생이 경험하는 학교생활에 대한 개인차를 의미한다(Baker, Dilly, Aupperlee, Patil, 2003). 또한 학교만족도는 학생들의 학교생활태도를 예측하는 변인이자, 행동발달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학교교육의 중요한 성과지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6년에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 학생, 학부모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첫째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학교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둘째,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 가정, 학교 변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 별 집단 간 평균차를 살펴보고자 차이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가정, 학교 변인의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가정 변인의 월 평균 가구소득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학교만족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집단 간 평균 차이에 대해 유의수준 .001에서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변인으로는 개인 변인의 성별, 자아존중감, 봉사활동 여부, 학습동기가 있었고, 가정 변인의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학교 변인의 교사 열의, 학습자 중심의 수업, 수업이해도, 교사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인권침해, 차별경험, 학교운영에 학생 참여 정도, 9시 등교제 효과, 혁신학교 여부가 있었다.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 변수는 개인 변인의 학업성취도, 학교 변인의 동아리활동 정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대부분의 변수들에 대해 학교만족도의 차이가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변인에서는 성별(남), 학습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가정 변인에서는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학교만족도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월 평균 가구소득은 종속변인에 부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변인에서는 교사 열의, 학습자 중심의 수업, 교사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학교운영에 학생 참여 정도, 9시 등교제 효과, 혁신학교 여부가 종속변인과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인권침해는 종속변인과 부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수업 내 협동학습 활용의 확대가 필요하다. 협동학습은 개별학습에 비해 학생들이 학업성취감과 공동체감을 경험하기 용이하다. 이와 같은 협동학습의 장점은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에 기여하므로, 수업 내 협동학습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이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모와 부정적인 관계를 맺는 학생들은 학교부적응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는 학교부적응을 경험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이 부모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파악하여 외부의 지원체계가 필요한 경우 유관기관으로의 적절한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가정에서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사용할수록 학생들의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기존 교수자 중심의 수업과 달리 학생이 수업과 학습의 능동적 참여자가 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 구성 원리, 수업전략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가 지원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의 향상 및 생활지도에 관한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의가 높을수록, 학생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에 대한 만족도로 이어지고 있었다. 먼저 수업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단위학교 내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지원하여야 한다. 교사는 단위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한 수업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주체이므로, 지역 교육청은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과 지역 학교 간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연계망을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생활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교사가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는 학생들의 정서발달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교사들이 생활지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반영하여 현장중심적인 교원연수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단위학교의 민주적인 학교운영의 내실화를 지원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인권침해가 적을수록, 학교운영에 학생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민주적인 학교운영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행정가, 교사 협의체, 학부모 협의체, 학생과 같은 학교구성원들이 폭넓게 참여하여 의사소통을 통해 합의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민주주의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민주적인 학교운영을 내실화하기 위해 지역 교육청에서 단위학교에서 민주적 학교운영을 내실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분석을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를 활용함에 따라, 연구 결과가 경기도 내 학생들에게는 일반화가 가능하나,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게 일반화가 어렵다는 것과 중학교 2학년 학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전체 학년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