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박진아-
dc.creator박진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4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5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여,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이 유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세종시에 위치한 공립 은빛유치원의 만5세 16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점검하였고, 월간·주간교육계획안에서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1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이며 문제점 인식 및 1차 실행 방안 모색과 실행 및 평가, 2차 실행 방안 모색과 실행 및 평가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보호자의 동의하에 자료를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이를 전사하여 현장노트로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교육계획안, 연구자 저널, 학부모 면담 일지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다. 이에 교육주제 선정에 대한 참여 지원하기, 적절한 환경제공 및 교육활동에서의 참여를 지원하기, 놀이공간에 대한 참여 지원하기와 같은 1차 실행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 결과, 유아들은 소극적인 참여에서 점차 적극적인 참여경로를 보였으며 놀이주제에 대한 흥미와 몰입이 점점 높아졌다. 또한 그 과정에서 공간에 대한 참여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유아가 공간을 재구성하는 과정 속에서 유아들 간에 생기는 문제 상황을 스스로 해결해 가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1차 실행에서 유아의 반응을 관찰하고 흥미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활동을 즉흥적으로 계획·진행하다 보니 일부 영역에 편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신체표현 활동의 비중이 높았고 예술표현에 대한 참여 지원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누리과정 5개 영역에서의 고른 참여를 지원해 줄 필요를 느꼈다. 이를 바탕으로 수립한 2차 실행방안은 유아의 참여가 지속될 수 있도록 표현활동에 비중을 두어 교육활동을 지원했으며 참여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학급과 나눌 공유 공간을 꾸미고 다른 학급 친구들과 함께 주제를 나누며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학급간 참여를 지원하였다. 실행 결과, 유아들이 교육활동 운영에 의사결정을 하며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교사중심의 획일적인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유아의 참여를 지원한 본 연구의 실행방안이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유아들은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능력이 신장되었고 유아주도의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교육활동 및 환경구성의 주체자가 되어 교육활동 운영에 참여했다. 이는 함께 의견을 나누고 조정하는 등 의사결정 과정을 공유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 및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한편 연구자인 교사는 경청을 통해 유아를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유아와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의 참여로 실행된 교육활동을 통해 변화된 유아의 모습을 학부모와 공유하며 교사와 학부모, 유아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증진하였다.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동료교사와 협의과정을 거쳐 교육활동 운영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유아들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교육활동의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실행하고,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활동 운영을 고민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aims to not only seek and execute operation measures to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also examine the resultant reaction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operation measures are available to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2. What effects do operation measure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wards sixteen children aged five years old at Eunbit Kindergarten, a public educational institute in Sejong-si. The researcher checked for the curriculum to establish operation measures to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also looked for operation measure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further detail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the weekly/monthly education plan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 to June 7, 2019, in order of problem recognition, search for first execution measures and execution and assessment, and search for second execution measures and execution and assessment. With consent of young children’s parents, data were recorded and videotaped, followed by field jotting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ducational plan, researcher’s journal, parents’ interview journal, and more, and such data collected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First, operation measure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ought and executed. Accordingly, the first execution measures (i.e.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in selecting the educational theme, provid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playground) were planned and executed. As a result of the first execution, young children gradually became active participants, getting more interested and being immersed in the play theme. Also, in the process, young children seemed to allow an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for space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while rearranging the space. However, as during the first execution we whimsically planned and proceeded activities which we could observe young children’s reactions and continue their interest, it turned out that the activities executed were too much on certain areas. In other words, a proportion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as high and the support of participation in artistic expression was inadequate. Therefore, it was recognized that the support of equal participation in fiv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was necessary. In the second execution measures which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first execution, more weight was put to expression activities which enable to las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a space which can be shared with other classes was decorated to create a participatory culture, and young children in different classes were encouraged to decorate the space for talking about various themes with children from other classes. As a result of execution, young children made a decision o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actively took part in it, which proved that the execution measures of this research which supported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s an alternative for the problems of teacher-centered monolithic operation was appropriate. Second,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based on the operation measure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examined. Communic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got improved as an active agent, and the same went for child-initiated problem-solving skills. They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operation as an agent of educational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mposition, shared a decision-making process including exchanging and adjusting opinions, and promoted a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ty as a member of society. Meanwhile, the teacher(researcher) could understand young children through respectful attention, which resulted in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Also, she was delighted to discover potential of young children and was able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hich helps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in the process of sharing all the details of the activities performed with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he teacher enabled to have teaching efficacy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ereby promoting the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parents, and young children. In this research,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the researcher not only sought the improvement based on the problem recogni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currently in progress and executed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could suppor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but also examined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We hope this research would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teachers with worries over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be instrumental in helping them manage it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4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의 참여 7 Ⅲ. 연구 방법 14 A. 실행연구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절차 17 D. 자료수집 및 분석 23 Ⅳ. 연구결과 25 A.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 25 B. 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운영방안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반응 60 Ⅴ. 논의 및 결론 77 A. 논의 77 B.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3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16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to support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Park, Jin A-
dc.format.pagev,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