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김세은-
dc.creator김세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4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40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유치원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학년 초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돕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된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S구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2학급의 만 3세 유아 32명이다. 이 중 한 학급의 유아 1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의 유아 16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9년 3월 25일부터 5월 10일까지 총 7주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총 20개의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를 매일의 바깥놀이 시간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기존의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생활주제에 따라 이루어지는 바깥놀이를 매일 실시하였다.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Jewsuwan과 Luster 그리고 Kostelnik(1993)가 개발한 유치원 적응 검사도구(PAQ: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Gresham과 Eliott(1990)가 개발한 사회적 기술 검사도구(SSRS: Social Skills Rating Scale)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는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인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유능성, 자아강도, 유치원 일과 적응 모두에서도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을 시작하는 만 3세 유아가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에 참여하여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고 또래 및 교사와 잘 어울리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자아를 발달시키고 유치원 일과에 대한 이해를 높여 유치원 적응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는 만 3세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협력성, 주장성, 자아통제 모두에서도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관계의 확장기에 접어든 만 3세 유아가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에 참여하여 협력의 필요성과 기쁨을 느끼고 그 속에서 자신을 적절히 표현하며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법으로 통제하여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는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돕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를 학기 초부터 적극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유아 주도적 놀이 운영 및 참여 중심의 교사교육을 제공하여 그 가치를 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on the kindergarten adjustment and social skills of three-year-old children. It has significance that it not only helps three-year-old children adjust to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with the aid of kindergarten teachers, but also suggests basic data to improve social skills of three-year-old children. In this connection,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effects does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have on the kindergarten adjustment of three-year-old children? 2. What effects does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have on the social skills of three-year-ol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affects the kindergarten adjustment and social skills of three-year-old children. Thirty two children aged three years old of two classes in the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S-gu, Seoul, were selected for study participants; Sixteen children in one clas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sixteen children in another class to a comparative group. Over the span of seven weeks (March 25 to May 10, 2019),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aily given out-door playtime for the total of 20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whereas ones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daily given out-door playtime for matters of daily life, the same as existing curriculum. PAQ(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Jewsuwan, Luster, & Kostelnik(1993) and SSRS(Social Skills Rating Scale; Gresham & Eliott(1990)) were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respectively. Pre- and post-testing toward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using test instrument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via T-test. The study results shows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kindergarten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ll five sub-factors under the Kindergarten Adjustment (i.e. prosocial behavior, positive affect within the preschool setting, peer competence, ego strength,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were more improved by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compared to ones in the comparative group. This means that three-year-old children who start to adjust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kindergarten, not only maintain their positive emotions and get along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by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but also adapt easily to the kindergarten by developing a healthy ego and better understanding the preschool routines. Second,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All three sub-factors under the Social Skills (i.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were more improved by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compared to ones in the comparative group. It means that three-year-old children who head into wider social relationships not only feel the need and joy of cooper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and express themselves properly within that, but also improve social skills by controlling themselves in socially acceptable ways. In conclusion,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elping three-year-old children adjust to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nd improve their social skills. Such study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should actively be utiliz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and that it allows young children to take the lead at playing and teacher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in education, which can add its true value. This indicates that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in the education field is appropriate for three-year-old children to develop, especially helping young children adjust to the kindergarten and build a relationship with peer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 5 B. 사회적 기술 11 C. 전래놀이 17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 대상 26 B. 연구 도구 26 C. 연구 절차 35 D. 자료 분석 3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9 A.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40 B. 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42 Ⅴ. 논의 및 결론 45 A. 논의 45 B.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5 부록 67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67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신체활동 중심의 전래놀이가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centered traditional play on the kindergarten adjustment and social skills of three-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Kim, Se eun-
dc.format.pageiv,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