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최지영-
dc.creator최지영-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2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12 graders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in Beijing, China, by comparing it to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he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ies,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migration age to China and educational background. Students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have multi language skill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y are often trilingual, speaking English and Chinese, while using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L1).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thnic Koreans who speaks Chinese as their L1 or from bilingual Koreans reside within England and America, and there are only few studies done to examine their language skills. Vocabulary ability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reading skill and academic ability,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poor learning problems if there is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Woo Jung-han et al., 2017; Lee Hee-ran, 2017; Cho Young-hee and Ko Hye-jung, 2015; Huh Myung-jin and Park Chan-hee, 2017). Since most of the graduates from Korean International School go on to Korean universities, their Korean vocabulary skill is an important issue that directly relates to academic learning ability.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know Chinese characters with breadth, as the college-level vocabulary are mostly consist of Chinese character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and summarized the research problems. The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original manuscript was done mainly in two parts. First, the study that examined vocabulary ability of bilingual compatriots was revised focusing on the ethnic Koreans living aboard. And the discussion of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and evaluation methods for bilingual users was reviewed. Second, the analysis was done on study that discuss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multi-language users and the resulting cross-lingual impact.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study on variables involved in vocabulary acquisition of bilingual us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largely established in three ways: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breadth and depth of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and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2) Do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orrelate with their Korean and Chinese skills? (3) Does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hapter II outl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sociated with the discussion of original manuscript.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concept of vocabulary ability was first inquired by dividing it by breadth and depth of the vocabulary. Second, the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vocabulary ability were checked, and as well as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Then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2, the issues associated to acquisition of multi-languages was observed, along with cross-lingual impacts that may arise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Research was done particularly to identify lexic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by study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ntical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nd different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Finally, the variables related to vocabulary ability was reviewed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s 3, focusing on migration age and length residence.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s were revealed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introduced previously to the full-scale study. It also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nd the evaluation vocabulary list and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Finally, it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urvey and data analyzation techniques. Chapter IV describ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English, Chinese 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vocabulary skills. Vocabulary skill measure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breadth measurement and depth measurement. A vocabulary breath measurement evaluates how broadly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and a depth measurement evaluates ow specific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In this study,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breadth was written by the researchers using a Korean adaptation of the ‘Vocabulary Level Test: VLT’ schemed by Nation (199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each belonging to Level 3, Level 4, and Level 5. The vocabulary level was decided based on Kim Kwang-hae (2003) by referring to Shin Myung-sun (2004), “Vocabulary list for learning Korean,” and “TOPIK vocabulary list”. While the vocabulary level required at high school for college entrance was Level 4, the tests were as well conducted on Level 3 and 5 because the breadth of the subjects’ vocabulary knowledge could possibly fall short or exceed Level 4.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depth was written by researchers changing Korean adaptation of ‘Word Associate Test: WAT’ schemed by Read (200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in Level 4. Vocabulary ability tests showed th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Sino-Korean word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breadth, but they lacked in terms of depth. Next, the research focuses on whether Sino-Korean ability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y. The study showed that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in Sino-Korean ability were both placed in a quantitatively linear relationship with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vocabulary depth was more correlated than the vocabulary breadth. Chinese ability was related to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but not depth, and could not found relativity with Korean or English ability. More studies were done to see whether similarities in pronunciation, form, and meaning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ffect the vocabulary test scores. A second test was conducted with Chinese character written in prior vocabulary breadth test to clearly show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nd form. As a result, the score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test of written Chinese character, and pronunciation and similarity in Chinese form between two languages helpe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words. Besides, it turned out that more similarity they have, the better the subjects were at grasping the primary meaning of the word. The following research checked on whether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history in China affecte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knowledge. Students who move to China at an early age were expected to lack knowledge of Sino-Korean due to relatively low exposure to Korean, yet no correlation was show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Chinese vocabulary knowledge of subjects with Chinese ability affecting their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Lastly, decision making tree was portrayed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depending on the history of education. Subjects with high vocabulary score in decision making tree were exposed to Korean and Chinese during their elementary period in ei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r Chinese School, and they received domestic education or attended English-speaking international schools in middle school. Whereas subjects with low vocabulary score only studied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throughout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Not only does this suggests that receiving Chinese education during elementary period gives positive effect on Sino-Korean vocabulary knowledge development, but receiving education only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can rather limit the development of Sino-Korean knowledge.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study results, identif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n describe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the primary study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ina. Study has confirmed that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International School relates to their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their Chinese ability can affect the acquisi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conducted on their Korean ability,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and most of them entering Korean universities after graduation. The hope for this study is that, as a primary study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s in the future.;본 연구는 중국 베이징 소재 한국국제학교 12학년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 지식을 크기와 깊이의 측면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 중국 이주 연령 및 학습 이력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언어 능력과 학습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를 제1 언어(L1)로 사용하면서 영어와 중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삼중언어자(trilingual)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중국어를 L1으로 사용하는 조선족이나 영미권에 거주하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의 언어 능력을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다. 어휘력은 일반적으로 읽기 능력과 관련되고 학업 능력에도 영향을 미쳐 어휘력이 부족할 경우 학습 부진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우정한 외, 2017; 이희란, 2017; 조영희·고혜정, 2015; 허명진·박찬희, 2017). 한국국제학교 졸업생들은 대부분 한국 대학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이들의 한국어 어휘력은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대학 수준의 고급 어휘가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자어를 얼마나 폭넓게 잘 알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본고의 논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는 이중언어자의 어휘력 연구와 어휘력의 관련 변인 연구로 나뉜다. 먼저 이중언어자의 어휘력을 살핀 연구를 재중 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중언어 어휘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과 관련하여 다중언어 어휘 습득에서 나타나는 교차 언어적 영향(cross-linguistic influence)을 논의한 연구를 살펴보고, 어휘 습득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살핀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1)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이 가진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국내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자 변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논의와 관련되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로 어휘력의 개념을 어휘의 크기와 깊이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어휘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어휘 측정 도구들을 살펴보고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로 다중언어 어휘 습득과 관련한 쟁점을 고찰하고 한국어의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교차 언어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 사이의 동형 및 이형 관계를 살펴 두 언어 사이의 어휘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관련되는 변인을 이주 연령 및 거주 기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실시한 두 차례의 예비 조사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의 특성과 연구에 사용된 평가 어휘 목록 및 한자어 어휘 측정 도구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내용과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을 측정하였다. 어휘력 측정은 어휘 지식의 크기 측정과 깊이 측정으로 구분된다. 어휘 크기 측정은 얼마나 많은 단어의 의미를 폭넓게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깊이 측정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어휘 크기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Nation(1990)이 고안한 ‘어휘 수준 테스트(Vocabulary Level Test: VL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이었고, 테스트 어휘는 3급, 4급, 5급에 속하는 한자어 각 30개였다. 어휘 등급은 김광해(2003), 신명선(2004)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 ‘TOPIK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아야 하는 어휘는 4급 어휘지만, 피험자가 가진 어휘 지식의 크기가 4급에 미치지 못하거나 4급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3급과 5급에 대한 테스트를 함께 실시하였다. 어휘 깊이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Read(2000)가 고안한 ‘단어 연상 테스트(Word Associate Test: WA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으로 테스트 어휘는 4급 한자어 30개였다. 어휘력 측정 결과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은 크기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과 차이가 없었지만 깊이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 및 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한국국제학교 학생이 가진 다중언어 능력이 L1의 어휘력과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모두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양적 선형관계에 놓여 있었고 어휘 크기보다 어휘 깊이와의 상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어 능력은 어휘 지식의 크기와는 상관성이 있었지만 깊이와는 관련이 없었고, 국어 능력과의 상관관계도 찾을 수 없었다. 중국어 능력과 한자어 어휘 크기 사이에서 상관성이 나타났으므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의 교차 언어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발음·형태·의미 유사성이 어휘 크기 테스트 점수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발음 및 형태 유사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도록 기존의 테스트에 한자를 병기하여 2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자를 병기한 테스트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상승했고 두 언어 사이의 발음이나 한자 형태 유사성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사성이 클수록 단어의 1차적인 의미를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중국 이주 연령과 학습 이력이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지식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어린 나이에 중국으로 이주한 학생이 늦게 이주한 학생에 비해 어휘 지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주 연령에 따른 그룹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주 연령에 따라 구분된 각 그룹과 국내 고등학생의 어휘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착 연령 효과가 발견되었다. 어휘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12세를 기준으로 초등 과정을 이수하기 전에 이주한 학생들은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어휘 깊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 과정을 이수한 후 이주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다. 어휘 크기에서 이주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모든 피험자가 일정 기간 한국국제학교에서 한국어로 공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어린 나이에 이주한 피험자의 중국어 어휘 지식이 한자어 어휘 크기에 영향을 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 나이에 이주한 경우에도 가정에서 빈번하게 한국어를 사용하고 지역 사회에서도 한국어를 쉽게 접하는 등 한국어 습득에 긍정적인 요인이 많다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이력에 따라 한자어 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의사결정나무에서 어휘 크기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나 중국 공립학교를 다닌 학생이었다. 어휘 깊이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 학교나 영어 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이었다. 반면 어휘 크기와 깊이에서 어휘 점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험자는 초·중·고 과정을 모두 한국국제학교에서만 이수한 학생들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 시기에 일정 기간 국내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한자어 어휘 지식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초·중등 시기에 적극적으로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모국어 어휘 지식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힌 다음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거주 한국인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을 고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크기 면에서는 국내 학생과 차이가 없지만 깊이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은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중국어 능력이 한자어 어휘 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중언어 습득이 전반적인 언어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중국 거주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 연구로서 더 나아간 후속 논의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1. 이중언어자의 어휘력 연구 5 2. 이중언어자의 어휘력 관련 변인 연구 15 C. 연구 문제 25 Ⅱ. 이론적 배경 31 A. 어휘력의 개념 31 1. 어휘 지식의 크기 35 2. 어휘 지식의 깊이 40 B. 어휘력의 평가 41 1. 어휘 크기의 평가 43 2. 어휘 깊이의 평가 49 C. 다중언어 능력과 어휘력 53 D. 해외 이주 연령과 어휘력 60 Ⅲ.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 66 A. 연구 절차 66 1. 예비 조사 67 2. 본 조사 71 B. 실험 참여자 특성 71 C. 연구 도구 78 1. 한자어 어휘 크기 측정 도구 78 2. 한자어 어휘 깊이 측정 도구 87 3. 언어 능력 및 언어 습득 환경 조사를 위한 설문지 90 D. 자료 분석 방법 91 Ⅳ. 연구 결과 93 A.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 93 1. 한자어 어휘 지식의 크기 94 2. 한자어 어휘 지식의 깊이 96 B.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과 다중언어 능력 100 1. 한자어 어휘력과 국어 능력 101 2. 한자어 어휘력과 중국어 능력 108 가. 한자 병기 유무에 따른 차이 111 나. 발음형태의미 유사성에 따른 차이 115 C.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과 환경적 변인 128 1. 한자어 어휘력과 이주 연령 129 2. 한자어 어휘력과 학습 이력 139 Ⅴ. 결론 및 논의 149 A. 연구 결과 요약 15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53 참고문헌 155 부록1.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용 설문지 181 부록2.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언어 능력 187 부록3.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학습 이력 190 부록4. 국내 고등학생용 설문지 193 부록5. 국내 고등학생의 언어 능력 195 부록6. KVLT 평가 어휘 목록 197 부록7. KWAT 평가 어휘 목록 205 부록8. 한자어 어휘 크기 테스트(KVLT) 208 부록9. 한자어 어휘 깊이 테스트(KWAT) 214 부록10. 한자 병기 한국어 어휘 크기 테스트 221 부록11.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KVLT 227 부록12. 국내 고등학생의 KVLT 230 부록13.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KWAT 233 부록14. 국내 고등학생의 KWAT 234 부록15.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 병기 KVLT 235 ABSTRACT 2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42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ino-Korean Knowledge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s Korean International School-
dc.format.pagex, 2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