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4 Download: 0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회복탄력성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회복탄력성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함은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회복탄력성, 조직사회화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 및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공공의료기관 간호사가 긍정적인 조직사회화를 이룰 수 있도록 조직사회화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4일부터 4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일개 공공의료기관 종합병원의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에 현재 근무하는 간호사로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박미미(2015)가 개발한 회복탄력성 측정도구, 손인순 등(2008)에 의해 개발된 조직사회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각의 기술통계, t-test,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 test를 사용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 회복탄력성, 조직사회화의 상관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판적 사고성향, 회복탄력성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 95.5%, 남자 4.5%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평균 연령은 28.405.23세였으며 결혼상태는 미혼 79.1%, 기혼 20.9%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학사학위를 소지한 대상자의 비율이 70.9%였다. 직무 관련 특성으로는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보통에 응답한 대상자가 55.2%로 가장 많았고, 평균 만족도는 3.040.70점으로 나타났다. 평균 근무경력은 4.844.31년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현 근무부서는 병동 67.2%, 중환자실 9.7%, 수술실 11.9%, 응급실 11.2%이었고, 3교대 근무를 하는 대상자가 94.0%로 가장 많았다. 직위의 경우 일반간호사가 95.5%였으며, 부서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52.2%, 이직에 대한 생각은 ‘조금 있다’가 52.2%, ‘매우 크다’가 15.7%이었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3.330.35점, 회복탄력성은 3.600.43점, 조직사회화는 3.010.36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F=6.512, p=.002), 결혼상태(t=3.959, p=.049), 최종학력(F=6.498,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3.302, p=.022), 근무경력(F=4.511,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연령(F=4.249, p=.016)과 결혼상태(t=3.234, p=.014), 최종학력(F=7.249,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11.507, p<.001), 근무경력(F=4.081, p=.008), 현 직위(t=5.979, p=.016), 부서에 대한 만족도(F=4.704, p=.001), 이직에 대한 생각(F=4.905,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조직사회화는 연령(F=4.147, p=.018), 결혼상태(t=10.335, p=.002),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17.911, p<.001), 근무형태(F=3.620, p=.030), 현 직위(t=5.293, p=.023), 부서에 대한 만족도(F=13.144, p<.001), 이직에 대한 생각(F=19.76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직사회화는 비판적 사고성향(r=.482, p<.001), 회복탄력성(r=.57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비판적 사고성향(r=.724, p<.001)간에도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 주간근무, 2교대근무, 책임간호사, 부서에 대한 만족도, 이직에 대한 생각을 변수로 투입한 Model 1에서는 이직에 대한 생각(=-.300, p=.002),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282, p=.006)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6.3%이었다. 이는 이직에 대한 생각이 적을수록,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조직사회화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Model 2에는 Model 1에 투입한 변수 외에 비판적 사고성향과 회복탄력성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직에 대한 생각(=-.285, p=.001), 회복탄력성(=.228, p=.021), 비판적 사고성향(=.219, p=.017)이었고 Model 2의 설명력은 50.6%로 Model 1보다 14.3% 증가하였다. 이는 이직에 대한 생각이 적을수록, 회복탄력성이 증가할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조직사회화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본 연구결과,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회복탄력성이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회복탄력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조직사회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관련 특성 변수 중에 이직에 대한 생각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현장에서는 간호사의 이직에 대한 생각을 줄이고,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이를 통해 성공적인 조직사회화를 이루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quired in designing 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gram so that nurses in public medical centers can participate in positi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exploring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s well as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s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34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wards, intensive care units, emergency rooms, and operating rooms of public medical centers. This study also use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developed by Kwon et al. (2006), the Resilience Scale by Park (2015),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strument by Son et al. (2008).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95.5% of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28.40 ± 5.23, 79.1% were unmarried, and 70.9% had received a bachelor’s degree. As regards their career status,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ale was 3.04 ± 0.70, with an average career duration of 4.84 ± 4.31 years. Moreover, 67.2% of the participants worked in the general ward, and 94% worked in three shifts. Regarding the position, 95.5% of them were general duty nurses and 52.2% responded to their department satisfaction as being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In addition, 52.2%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thought turnover intention about“sometimes,”whereas 15.7% responded“frequently”to the same. 2. The scor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3.33 ± 0.35, 3.60 ± 0.43, and 3.01 ± 0.36, respectively. 3.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ge,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shift pattern, present positi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onsideration of turnover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 = .482, p < .001) and resilience (r = .578, p < .001)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esilience (r = .724, p < .001)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5. Factors affecting the nurses’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consideration of turnover intention (= -.285, p = .001), resilience (= .228, p = .02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219, p = .017). The study foun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consideration of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resilience impact thei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oreover, among the work-related factors, consideration of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worked as effective variables.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to enhance the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resilience as well as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in nurses to achieve a successful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