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7 Download: 0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Sexual Permissiveness, and Self-esteem on Gender Sensibility
Authors
권희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Gender sensitivity is a key factor in recognizing and addressing gender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and is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correct values to cope with it. Gender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who acquire most gender information through the media can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xual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accurately analyze and evaluate gender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the media. In addition, sexual permissiveness and self-esteem can influence gender sensitivity by increasing adolescents’ practice of gender health promotion and equality percep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sexual permissiveness , and self-esteem on gender sensitivit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will promote the right gender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f 250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m etropolitan area between May 15 and May 25, 2019 through descriptive research. Gender sensi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gender consciousn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Korea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 (2006) and the abbreviation of the Korean gender equality awareness scale developed by Ahn Sang Soo (2016). Sexual media literacy was measured as described by Pinkleton et al. (2008) using modified by Lee, Gyu-young(2015) and supplemented tools. In addition, sexual permissiveness was measured using Reiss(1969)’s reconstructive tools of Sprecher, McKinney, Walsh and Anderson(1988) using Jeoung et al.’s(1995) modified. self-esteem were measured as described by Pope(1988) using a tool modified by Song(2009).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25.0program.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us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sexual media literacy, sexual permissiveness, self-esteem, and gender sensitiv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Scheffe’s test were used for posttest. To analyze the effects of sexual media literacy, sexu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on gender sensitiv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With respect to the general and sex-related characteristics, 59.6%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s, happiness was 58.8%, normal 32.8%, and 85.6% had no Rational friends. In addition, 30.4% participants acquired their sexual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27.6% through friends and seniors, and 22.4% through teachings in school. Of all participants, 82.8% and 71.2% of the participants had smoking and drinking experiences in the past 12 months, respectively. 2.The following were the scores of the variables: sexual media literacy, 2.39±0.32 on the score of 3, sexual permissiveness, 2.54±0.76 on the score of 4, self-esteem, 2.28±0.37 on the score of 3, and gender sensitivity, 3.88±0.61 on the score of 5. 3.Sexual media literacy was analyzed based on gender (t = 5.25, p = .001), grade (gender, age , F= 3.68, p = .013), and gender know ledge acquisition path (F = 3.93, p = .002). Sexual permissiveness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gender (t = 3.32, p = .001), sexual knowledge acquisition path (F = 3.66, p = .003), and drinking experiences (t = 9.53, p = .002). In addition,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der (F = −5.47, p = .001)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F=13.51,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F = 31.45, p = .001). Furthermore, gender sensitivity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gender (t = −6.54, p = .001). 4.The study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sensi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media literacy(r = .36, p < .001),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r = .22, p < .001) and sexual media liter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 (r = −.39, p < .001). 5.The variables affecting the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were sexual depiction scene on media literacy (β = .33, p < .001) and sexual permissiveness (β = −0.15, p = .026). Furthermor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15.5%. In the present study, the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scored 3.88 out of 5 points, and gender sensitivity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Higher sexual media literacy and lower sexual permissiveness are correlated with higher gender sensitivity. In addition,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influenced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Thus, to increase adolescents’ gender sensitivity, differentiated education considering gender is necessary. Furthermore, teaching methods should enhance media literacy for sexual depiction scenes and promote safe and healthy sexual permissiveness .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required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will improve adolescents’ gender sensitivity.;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성인지감수성은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적 상황을 인지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총칭하는 용어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성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미디어를 통해 많은 양의 성정보를 얻고 있다. 이를 통해 형성되는 성인지감수성은 자신이 미디어를 통해 접하게 되는 성정보를 정확하게 분석,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인 성미디어리터러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성허용성과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성건강 증진 행위의 실천과 성평등 인식수준을 높여 성인지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성인지감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9년 5월 15일부터 5월 2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시되었다. 성인지감수성은 한국성폭력상담소(2006)에서 개발한 젠더의식 측정도구와 안상수(2016)가 개발한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척도의 축약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성미디어리터러시는 Pinkleton 등(2008)이 개발하여 이규영 등(201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성허용성은 Reiss (1969)의 혼전 성 허용성 도구를 Sprecher, Mckinney, Walsh와 Anderson(1988)이 재구성한 것을 Jeoung 등(1995)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Pope 등(1988)이 개발한 척도를 Song (2009)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 관련 특성,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였으며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및 성 관련 특성 중 성별은 남성이 59.6%였으며, 행복수준은 행복이 59.2%, 보통이 32.2%, 이성 친구 여부는 없음이 85.6%였다. 성지식 습득경로는 인터넷 30.4%, 친구나 선배 27.6%, 학교 22.4% 순이었다. 최근 12개월 간 흡연 경험과 음주 경험은 각각 없음이 82.8%, 71.2%였다. 2. 대상자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미디어리터러시는 3점 만점에 2.39±0.32점, 성허용성은 4점 만점에 2.54±0.76점, 자아존중감은 3점 만점에 2.28±0.37점, 성인지감수성은 5점 만점에 3.88±0.61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미디어리터러시는 성별(t=5.25, p=.001), 학년(F=3.68, p=.013), 성지식 습득경로(F=3.93, p=.002) 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허용성은 성별(t=3.32, p=.001), 성지식 습득경로(F=3.66, p=.003), 음주경험(t=9.5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성별(F=-5.47, p=.001)과 주관적 경제상태(F=13.51, p=.001), 주관적 학업성취수준(F=9.80, p=.001), 행복수준(F=31.4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인지감수성은 성별(t=-6.5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 자아존중감, 성인지감수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인지감수성은 성미디어리터러시(r=.36,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허용성(r=-.29, 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미디어리터러시는 성허용성(r=-.39, p<.001)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성인지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적 묘사장면에 대한 미디어리터러시(β=.33, p<.001), 성허용성(β=-.15, p=.026)으로 나타났으며, 변수의 총 설명력은 15.5%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성인지감수성은 5점 만점에 3.88점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미디어리터러시가 높고 성허용성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인지감수성은 성적 묘사장면에 대한 미디어리터러시와 성 허용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고, 성적 묘사장면에 대한 미디어리터러시를 높이고 좀 더 안전하고 건강한 성허용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성인지감수성 향상을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