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

Title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Between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 and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
Authors
최은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태섭
Abstract
최근의 학교는 인지적 교육과 함께 학생의 정의적 요소가 포함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중학교에서는 자유학년제에 체육·예술 교육을 강화하였고, 도덕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학급긍정훈육법과 회복적 생활교육을 바탕으로 한 생활지도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과 회복적 생활지도에 핵심이 되는 역량은 사회정서역량이다. 사회정서역량이란 자신의 감정을 바르게 인식하고 잘 통제 할 수 있는 능력과, 타인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하고 그 감정 상태에 적절히 대응하여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을 뜻한다(CASEL, 2011). 즉 사회정서역량은 학교라는 사회에 원활한 적응을 돕고 나아가 개인의 삶을 긍정적인 태도로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이다. 학교는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 학급에는 구성원들의 사회·심리학적 분위기, 즉 학급풍토가 각 학급마다 개성 있게 형성되어 있다. Adler의 개인심리학에 의하면 사람들은 다른 구성원과 협력함으로써 건설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체에 공헌함으로써 스스로의 가치를 찾는다(김문성, 2014). Adler는 사회적 관심에 바탕을 둔 협력과 공헌은 개인의 인간관계와 자존감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김문성, 2014). 이러한 관점을 학교에 적용해보면 학생이 학급이라는 공동체에서 자신의 능력을 잘 발휘하려면 자신을 파악하고 타인과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정서역량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교육의 시대적 흐름으로 볼 때, 사회정서역량은 학생이 보다 전인적 인간으로 자라나는데 중요한 요소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 사회정서역량이 중학생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정서역량이 중학생의 지각된 학급풍토와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역량을 김소영, 김현지, 이상수(2018)와 Coryn, Spybrook, Evergreen, Blinkiewicz(2009)의 연구에 따라 ‘자기인식 및 관리’, ‘사회인식 및 관리’, ‘책임있는 의사결정’의 3요인으로 분류하였다.‘자기인식 및 관리’는 Zins 등(2004)과 CASEL(2011)이 분류한 사회정서역량의 ‘자기인식’과‘자기관리’의 범주를 재구성한 것이며, ‘사회인식 및 관리’는 ‘사회적 인식’ 및 ‘관계기술’을 재구성한 것이다. 사회정서역량을 세가지 범주로 재구성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인식 및 관리의 사회정서역량이 지각된 학급풍토와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타인인식 및 관리의 사회정서역량이 지각된 학급풍토와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책임있는 의사결정의 사회정서역량이 지각된 학급풍토와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1-3학년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 20명을 제외하고 5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은 재학중인 학교, 성별, 학년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다음으로 설문 문항의 하위 구인인 학급풍토, 사회정서역량,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학급풍토와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붓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재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풍토와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소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그리고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급풍토,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은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중학생이 긍정적인 학급풍토를 지각하고 사회정서역량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에 따르면 사회정서역량의 3가지 요인은 학급풍토와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즉 사회정서역량의 요소들이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인 학급풍토와 함께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에 따르면 사회정서역량의 자기인식 및 관리, 타인인식 및 관리, 책임있는 의사결정은 학급풍토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인식 및 관리’와 ‘책임있는 의사결정’의 사회정서역량은 학급풍토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사이를 완전매개하였으며, ‘타인인식 및 관리’의 사회정서역량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사회정서역량은 중학생의 긍정적인 학급풍토 지각과 함께 외현화 문제행동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사회정서역량이 매개할 때 외현화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중학생의 공격성, 비행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서는 학급풍토의 조성과 함께 학생 개인의 사회정서역량의 향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역량이 중학생의 외현화 문제행동 감소에 중요한 역량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중학교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것으로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이 학교에 적응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cent school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ith positive elements as well as cognitive education. As a result, the middle school emphasizes physical education, arts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the free grade year. In middle school, research on life guidance based on PDC (Positive Discipline in the Classroom) and restorative life education is also active. The core competence in this personality education and restorative life discipline is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emotional competence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control own emotions, and to recognize others' emotions accurately and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CASEL, 2011). In other words, social-emotional competence is the personal ability that helps the student to adjust to the school and helps the student to live positively. Schools are made up of classes. The class climate is a social atmosphere created by the members of the class, and each class has its own unique character. According to the personal psychology of Adler, people find their value by working with other members to form constructive relationships and contribute to the community(Kim Mun-sung, 2014). Adler believes that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based on social interests have a significant impact effect on individual 's human relations and self - esteem(Kim Mun-sung, 2014). Adler's point of view is applied to schools, so that students have to have social-emotional competence skill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abilities in the classroom. This is because social-emotional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identify oneself and establish appropriate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urrent trend of education, social emotional 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when a student grows up as a whole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ss climate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I set up research questions in particular, to understand whether social-emotional compet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climat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In this study, I classified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to three factors as 'Self-awareness and 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 – making'. The criteria for categoriz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was the research of Kim, Young, Hyun-Soo(2018) and Coryn, Spybrook, Evergreen, Blinkiewicz(2009). ‘Self awareness and management’ is the reconstructed categories of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classified by Zins(2004) and CASEL(2011).‘Social awareness and management’ is reconstructed 'social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technology'. I reconstructed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to three categories and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I examined whethe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self - awareness and man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lass climate and internalization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I examined whethe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other Social awareness and man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lass climate and internalized /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ird, I examined whethe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responsible decision - mak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lass climate and internalized /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n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which included 61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fter that, I used 590 data except for 20 untrue respondents in the questionnaire. First, I carried out a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object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chool, gender, and grade at school. Following the frequency analysis, I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class climat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Lastly, I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climate and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Finally, I used Bootstrapping to re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l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ll the class climate and component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In looking at all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class climate and component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a positive class climate and the highe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e lower the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thre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classroom climate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positive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self - awareness and 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 – making’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climate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self - awareness and management' and 'responsible decision – making'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other word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positive class clim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ecrease when mediated by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ositive classroom climate and improv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individuals would be helpful for reducing and preventi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uch as aggression and flight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equently, this study confirmed that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s an important competence for reduci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result suggests ways to more effectively manage the problem behaviors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It informed the seriousness of that students with various external problem behaviors can adapt to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