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태섭-
dc.contributor.author류수민-
dc.creator류수민-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36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밝히고, 고정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교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를 이루게 하는 기저 변인을 찾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혀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대해 국어, 영어, 수학 교과별로 나누어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의 소득층위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대상과 목적에 부합하는 「경기교육종단연구 (GEPS) 2012」5차년도(2016) 조사의 중학교 2학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총 데이터 중 유효자료 5,241개를 가구 소득에 따라 분류하여 저소득층 474명, 비저소득층 4,767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한 뒤,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 상관관계분석, 저소득층 여부에 따른 변인들 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고정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간의관계에서 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저소득층 여부가 조절하는지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고정 마인드셋이 교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 교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정 마인드셋과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있어 국어, 영어, 수학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는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학 과목은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저소득층 여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정 마인드셋에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경로와 수학 자기효능감에서 수학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에서 저소득층 여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고정 마인드셋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교과 자기효능감이 그 과정을 설명하는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적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특정 교과의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기대와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각 교과의 학업 성취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학습상황에서 자신의 믿음 체계를 스스로가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수학 과목에서 저소득층 여부가 고정 마인드셋과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비저소득층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고정 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고 수학 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고정 마인드셋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저소득층 집단에서 더 큰 부적 효과가 나타났고 수학 자기효능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비저소득층 집단에서 더 큰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집단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 증진을 위해서는 마인드셋과 수학 자기효능감에서의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과 자기효능감이 고정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를 통해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과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검증해냈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고정 마인드셋이 국어, 영어, 수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각 과목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탐색하여, 수학 과목에서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여부에 따라 수학 과목에서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찾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필요한 기저 변인들에 탐색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S status. Particula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by the SES status across three subject-matters: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2” (2016). A total of 474 low-income and 4,767 non-low-income people’s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mediated effect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in relation to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Final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fixed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ffect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all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xed mindse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hird, there was no mediated moderation effects depending on low-income class in Korean Language and English. However,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found in mathematics. In particular, low-income families showed different paths from fixed mindsets to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cademic self-efficacy to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y summing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ubject-matters was a variable that could explain the process in the way that fixed mindse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e fact that the potential for intellectual growt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lief in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a particular subject-matter and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shows how important it is to recognize one's own belief system in the learning situation. In addition, a slightly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s, mathematic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as found in the low-income students. In both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the higher the fixed mind-set, the lower the results were in math scholastic achievement, while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mathematics, the higher the results were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effect of fixed mindset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greater in low-income groups, and the effect of mathematics academic self-efficacy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greater in non-low-income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low-income students need supports in promoting mindsets and mathematics academic self-efficacy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ubject-matt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t also showed that belief in change in intelligence and judgment of one's ow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mindset's influence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low-income status.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in the discu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9 A. 마인드셋 9 B. 교과 자기효능감 12 C. 학업성취도와 저소득층 14 D.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저소득층 여부 간의 관계 17 1. 마인드셋과 교과 자기효능감 17 2. 교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19 3.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21 4.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저소득층 여부 간의 관계 23 Ⅲ. 연구방법 26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6 B. 측정도구 27 1. 마인드셋 27 2. 교과 자기효능감 28 3. 학업성취도 29 4. 저소득층 여부 31 C. 분석 방법 31 Ⅳ. 연구결과 33 A. 자료의 일반적 특성 33 1. 기술 통계 33 2. 상관분석 36 B. 고정 마인드셋,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0 1. 고정 마인드셋과 국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국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0 2. 고정 마인드셋과 영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영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4 3. 고정 마인드셋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수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7 C.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50 1. 고정 마인드셋, 국어 자기효능감, 국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50 2. 고정 마인드셋, 영어 자기효능감, 영어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52 3. 고정 마인드셋, 수학 자기효능감,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53 Ⅴ. 결론 및 제언 59 A. 요약 및 논의 59 1.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59 2. 마인드셋,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61 3. 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62 B.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68 1. 연구의 시사점 68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0 참고문헌 71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1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의 고정 마인드셋, 교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저소득층 여부의 매개된 조절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Low-income Families or Not-
dc.creator.othernameRyu, Su Min-
dc.format.pagevi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