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핵심 개념 형성을 위한 핵심 질문 중심의 초등 국어과 교과서 단원 개발

Title
핵심 개념 형성을 위한 핵심 질문 중심의 초등 국어과 교과서 단원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unit focused on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unit focused on : Based on the ‘Hangeul’ section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ether the reform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designed to form a core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textbook section by applying a essential question-oriented design method to reflect the core concept-orient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Korean language and textbooks were analyzed by selecting the members related to the creation of Hangeul, a content eleme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field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ystematic in terms of providing knowledge. On the new knowledg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of Hangeul, students can select and load data that can be well understood, and identify and apply problems through related learning activities. Second, hierarchy of content elements by grade group is not clearly se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what was learned in elementary textbooks is repeated in the middle course without a distinct hierarchical system, and that the core concepts related to content elements are not deepened and expanded in one core concept. On the invention of Hangeul, the level of knowledge to be dealt with in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curriculum, textbooks or teachers' instruction manual. Third, while emphasizing inquiry, no process is provided for inquiry. Inquiry should be a process in which a student asks, knows, and searches deeply for what he or she is currently learning. However, current textbooks often conclude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summarize the contents presented, and even if they present the questions, there is no process of thinking at a new level or setting the direction of inquiry through in-depth data retrieval. Fourth, a design is needed to connect and view knowledge at a different level. To this end, we need to be able to learn in a large structure of knowledge related to Hangeul. Also, various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achievements of the invention principle of Hangeul are presented at the appropriate level in the grade, so th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angeul is needed. Work was required to structure knowledge about Hangeu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work was carried out through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Hangeul. The structure of Hangeul knowledge can be explored in three aspects: the Hangeul system, Hangul history, and Hangeul culture. The Hangeul system can be explored in three aspects; the Hangeul system can be used to learn about the history of Hangeul and the story of Hangeul-related charac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and the future of Hangeul. In this process, content elements were stratified by considering accident functions by grade and linkage to other subject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derived that the contents of Hangeul creation should be adjusted from the current 3rd to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How was Hangul developed based on the essential question of ‘How can we recognize the value of Hangul’ through core concepts? How did Hangul change? How does Hangul evolve?, Which is a critical question. The new Hangul unit consisted of four frameworks: thinking, exploring, connecting, and magnetizing using a essential question inquiry model. The question creation activity based on the essential question enables the learner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exploring knowledge on his own, expanding knowledge, and creating new questions. In the future, textbooks should be revised and reorganized into inquiry based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curriculum goals. In order to do this, discussions about core concept and inquiry centered textbook system should be more a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편된 국어 교과서가 핵심 개념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검토하고, 핵심 개념 중심의 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기 위하여 핵심 질문 중심의 설계 방식을 적용하여 교과서 단원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문법 영역의 내용 요소인 한글 창제 관련 단원을 선정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군별 내용 요소의 위계화가 명확하게 설계되어 있지 않다. 초등과 중등의 성취기준이 유사하고, 내용 요소가 심화, 확장되는 양상을 찾아보기 어렵다. 둘째, 교육과정 체계표 내의 동일한 내용 요소가 학년군별로 서로 다른 핵심 개념에서 파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글 창제에 관한 내용 요소가 초등은 ‘국어에 대한 태도’라는 핵심 개념과 연결되어 있고, 중등은‘국어 규범과 국어 생활’이라는 핵심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 한글 단원과 관련된 초·중등 국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제공 측면에서 체계적이다. 한글 창제에 대하여 새롭게 형성시켜야 할 지식에 대하여 학생들이 잘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선정하여 싣고, 관련된 학습 활동을 통해 문제를 확인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체계화되어 있다. 둘째, 학년군별 내용 요소의 위계화가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 않다. 분석 결과 초등 교과서에 배웠던 내용이 중등 과정에서 뚜렷한 위계화 없이 반복되며, 내용 요소와 관련된 핵심 개념이 하나의 핵심 개념에서 심화, 확장되지 못하고 있다. 한글 창제에 대해 초등과 중등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지식의 수준이 뚜렷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셋째, 탐구를 강조하지만, 탐구를 위한 프로세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초등과 중등 교과서 모두 탐구 활동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자료나 탐구 과정에 대한 안내가 상당할 정도로 생략되어 있다. 넷째, 배운 지식을 다른 영역의 지식과 연결하는 활동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를 위해 한글과 관련된 커다란 지식의 구조 속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한글 창제 원리가 가진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성과들을 학년에 알맞은 수준으로 제시하여, 한글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내가 필요하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한글에 관한 지식을 구조화 하는 작업이 요구되었으며, 한글 관련 연구 자료를 통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글 지식을 구조화는 한글 체계, 한글 역사, 한글 문화의 세 가지 측면으로 탐구할 수 있으며, 한글 체계는 제자 원리와 창제 배경을, 한글 역사는 한글 변천사와 한글 관련 인물 이야기를, 한글 문화는 세계 문자 문화와 한글의 특징, 한글의 미래에 관하여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년별 사고 기능과 타 교과 연계를 고려하여 내용 요소를 위계화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 창제에 관한 내용은 현재 초등 3~4학년군에서 초등 5~6학년군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도출하였다. 핵심 개념을 통해 ‘한글의 가치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라는 총체적 핵심 질문을 기반으로 ‘한글은 어떻게 창제되었을까?’, ‘한글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한글은 어떻게 발전할까?’ 라는 한정적 핵심 질문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한글 단원은 핵심 질문 탐구 모형을 활용하여 생각 열기, 탐구하기, 연결하기, 자기화하기의 네 가지 체제로 구성하였다. 핵심 질문을 근간으로 하는 질문 생성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지식을 확장하며, 새로운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교과서는 교육과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탐구 중심의 교과서로 수정되고 개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핵심 개념 중심, 탐구 중심의 교과서 체제에 관한 논의들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