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본 국가지질공원 안내판 분석

Title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본 국가지질공원 안내판 분석
Other Titles
Educational Analysis of interpretive signs in National Geopark
Authors
이재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동희
Abstract
The trend of modern society such as change of tourism paradigm, appearance of geotourism, increase of public interest in earth science due to earthquak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how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public education through geotourism. The geopark is the place where such public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erpretive signs provided in the national geoparks can effectively convey the value and information of the geological heritage to the public and support the function of geoparks as the place for informal publ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eld surveys and analysis on 144 geological interpretive signs provided in four national geoparks, Hantangang, Busan, Cheongsong and Gangwon Paleozoic, are conducted. In the preparation stage, a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by classifying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information conveying ability of the interpretive signs into graphic, text, and loca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level of the information on interpretive signs, science terms provided in the textbooks of 2015 national curriculum a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the class level. After field surveys for five times from May 2018 to November 2018, the elements of the interpretive signs at geopar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analysis framewor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the graphic is analyzed by three elements: number of graphics, total area of graphics, and area of individual graphics. The number of graphics ranged from 2.9 in Hantangang to 3.65 in Busan. The mean values of total area of graphics in Gangwon Paleozoic and Busan were bigger than those in other two geoparks, while the mean values of area of individual graphics in Busan and Gangwon Paleozoic were smaller than those in others. The graphic can be effectively used with larger reflection area and the lower number of the graphic, thus, it is better to focus on important graphic by showing larger. Second, the text is subdivided by 12 analysis elements. The average number of typefaces was less than 3 in all national geoparks and satisfied the requirement of previous study suggesting use of less than 3. The average number of typefaces embellishments exceeded 3 in Cheongsong only with value of 3.13. The number of typefaces sizes exceeded 3 in all national geoparks, while Busan and Cheongso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3.88 and 3.87. They use various colors and sizes in titles, subtitles, and terms to emphasize, which may need to be minimized because they can obscure core deliverables. The number of themes and words satisfy the conditions present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gap of results in provision of the theme-delivering title was the largest, the minimum 3% in Hantangang and maximum 83% in Gangwon Paleozoic. The name of geosite is applied as the title in Hantangang and Cheongsong, while theme-delivering title is applied in Busan and Gangwon Paleozoic, attracting visitors and delivering main idea of the panel. The results in connecting the visitor’s life or experiences were 8% to 26%, showing low results in all geoparks. This is the most emphasized element in the interpretation and efforts need to be made to increase the application rate. The average result in relation with overall theme of the geopark is 76% to 94%, and all geoparks provide well linked interpretive signs to the whole theme of the park. Storytelling has the lowest result value in all geoparks ranging from 0% to 7%, and is applied to only five signs of the total, which needs the increase of application rate. The multidisciplinary factor showed the results of the lowest 12% in Busan and the highest 45 % in Hantangang. The academic level of information revealed as much as high school level with 1st and 2nd grade, with an average difficulty score of 2.21 to 2.45.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cientific terms by academic level were similar among all geoparks, that most terms are used at level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followed by terms at level of 2nd grade of high school and outside of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at effective academic level of information on interpretive signs in terms of delivery is below 1st grade in middle school, the level of information needs to be further lowered. Third, the location is analyzed by three elements: accessibility of the vehicle, connectivity to the trail or walkway,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around the interpretive signs. While Busan had the highest result value in all categories, Gangwon Paleozoic had the lowest result value. In terms of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looked as supplementary, it has been shown that 20 interpretations need to be reviewed for accuracy.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ive signs in each national geoparks can be summarized as the Hantangang, with uniformity but balanced results, the Busan with the best accessibility, the splendid and figurative Cheongsong, and the Gangwon Paleozoic with outstanding visual clarity. Whe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terpretive signs in each geoparks are supplemented by design and content composition examples of other national geoparks or this research, they might support the geoparks to improve the academic interest and basic knowledge of the public and to serve as an educational site outside the school. ;관광 패러다임 변화, 지오투어리즘의 등장, 지진과 환경오염 문제로 인한 대중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의 현대 사회의 흐름은 지오투어리즘을 통한 대중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소로서 지질공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지질공원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판들이 지질공원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지질유산의 가치와 정보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지질공원의 비형식 대중교육 기능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탄강, 부산, 청송, 강원고생대 네 곳의 분석 대상 국가지질공원에 설치된 지질 안내판 144개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 및 분석을 실시했다. 사전 준비 단계에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안내판의 정보 전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그래픽, 텍스트, 위치로 구분하여 분석틀을 만들었고, 안내판 정보의 수준 분석을 위해 2015개정 교과서의 과학용어를 학급별로 정리했다. 2018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다섯 차례의 현장 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들과 분석틀을 바탕으로 국가지질공원 별 안내판의 요소들을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그래픽 항목은 그래픽 수, 그래픽 전체 면적, 그래픽 개별 면적 세 가지 요소로 분석했다. 그래픽 수는 한탄강 2.9개부터 부산 3.65까지 나타났다. 그래픽 전체 면적의 평균값은 강원고생대와 부산 국가지질공원이 다른 두 곳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 그래픽 개별 면적 평균 값은 부산과 강원고생대가 다른 두 곳보다 작게 나타났다. 그래픽은 그 반영 면적이 클수록 좋은 반면, 그 수는 적을수록 효과적이므로, 중요한 그림 위주로 크게 보여주는 것이 좋다. 둘째, 텍스트 항목은 12개의 분석 요소로 세분화하여 분석했다. 글자체의 수는 모든 지질공원에서 평균 3 미만으로, 3개 이하의 사용을 제안하는 선행연구의 조건을 만족했다. 글자 꾸밈의 수는 청송만 평균 3.13으로 3을 초과했다. 글자 크기의 수는 모든 국가지질공원에서 3을 초과하고, 부산과 청송이 3.88, 3.87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이들은 제목, 부제목, 강조하려는 용어 등에서 다양한 색과 크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핵심 전달 내용을 흐려지게 할 수 있으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제목 하위 관련 주제의 수와 단어의 수는 모두 선행 연구 조건을 만족했다. 주제가 있는 제목 구성은 한탄강 3%부터 강원고생대 83%까지 값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한탄강과 청송은 대부분 타이틀을 지질 명소의 명칭으로 명기하였고, 부산과 강원고생대는 본문의 주제를 내포하는 제목을 적용함으로 방문객의 흥미를 끌어 주며 안내판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방문객의 삶 또는 경험과의 연관성은 모든 국가지질공원에서 8%~26%의 낮은 값이 나타났다. 이는 해설에서 가장 강조되는 요소로 적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공원 전체 주제와의 연관성은 평균 76%~94%로 모두 개별 안내판을 공원 전체 주제와 비교적 잘 연관시켜 주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0~7% 사이로 분석 요소 가운데 결과값이 가장 낮았고, 전체 중 단 5개소에 적용 되어 있어, 적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 학문적 내용 구성은 부산이 가장 낮은 12%, 한탄강이 가장 높은 45%의 결과값을 보여줬다. 정보의 수준은 평균 난이도 점수 2.16~2.44 범위로 고1~2 수준에서 나타났고 과학 용어들의 수준별 분포 양상도 유사한데, 중1 이하가 가장 많고 고2 수준과 초중고 수준 외의 용어가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 전달에 효과적인 안내판 정보 수준이 중학교 1학년 이하임을 감안하면 정보 수준은 더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위치 항목은 차량의 접근성, 탐방로 혹은 산책로와의 연결성, 안내판 주변 시설물의 수 등의 세 가지 요소로 분석했으며, 부산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낸 반면, 강원고생대는 가장 낮은 결과값을 나타냈다, 부차적으로 살펴본 정보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약 20개의 정보가 정확성 향상을 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질공원 별 안내판의 특징을 종합하면 통일성은 없지만 균형 잡힌 결과를 보이는 한탄강, 최고의 접근성을 지니는 부산, 화려하고 비유적인 청송, 시각적 명료함이 두드러지는 강원고생대로 그 특징을 요약해 볼 수 있다. 각자 안내판의 강점은 살리고 약한 부분은 타 국가지질공원이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자인 및 내용 구성 예시를 참조하여 보완한다면 지질공원이 대중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기본 소양을 향상시켜 주는 학교 밖 교육 현장의 역할을 해 내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