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조승원-
dc.creator조승원-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3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3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법교육을 둘러싼 쟁점과 갈등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수법적 내용지식(PCK)의 틀로 분석하여 법교육 교사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지식 영역을 구체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에서 법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과 분과, 생활법 중심 교육, 교사전문성에 대한 쟁점별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각 쟁점별에 대하여 그들의 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지식, 상황지식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용지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용지식이 충분하다고 인식할수록 교수-학습방법지식에서도 강점을 보이는 반면 다양한 수업모형을 적용하는 것에 소극적인 교사들은 내용지식에서도 자신감 부족한 태도를 보였다.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수와 더불어 내용지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연수가 지원되어야 한다. 둘째, 생활법 중심 교육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교수법적 내용지식(PCK)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 되고 있었다. 교육과정에서 목표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보다 구체화된 수업 모델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통합 교과로 운영되고 있는 사회과에서 전공자와 비전공자 교사 모두 법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로서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교사전문성 측면에서 전공에 대한 강한 신념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는 교사양성과정체제에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통합교과로 운영되는 사회과 내에서 법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내용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연수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직접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 학습공동체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업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만큼 교수법적 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법교육과 관련한 교수법적 내용지식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가 법교육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영역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지원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law-related education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Law-related education improves the quality of responding to social change and controversy and respecting the opinions of others. However, it is said that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law-related education. In this study, I choos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in law-related education. And in order to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achers in charge of law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se results. First, content knowledge in law-related education affects ‘integrated’social studies. Also pedagogical knowledge is affected by content knowledg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ntent knowledge must be satisfied first. Second,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education based on living law was desirable. However, they interpreted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all of the teachers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are trying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ey said that various training programs were neede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ey think that cooperation among teach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they are active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need what is necessary for successful law-related education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First,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cquire content knowledge. Second, the training for teachers to experience new learning methods should be expanded. Third,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activa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class expert became important. Therefore, more studies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hould be mad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nfirming the PCK required for law education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7 A. 법영역 교수법적 내용지식 7 1. 교수법적 내용지식 (PCK) 7 2. 법영역 교수법적 내용지식 11 B. 법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쟁점 16 1. 내용체계 : 통합과 분과 16 2. 교수-학습방법 : 지식중심 법교육과 생활법 중심 법교육 21 3. 교사전문성 : 누가 가르칠 것인가 23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대상 26 1. 연구대상자 범주 및 모집방법 26 2. 연구대상자 28 B. 연구절차 28 C. 자료 분석 방법 31 Ⅳ. 연구 결과 34 A. 내용체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법적 내용지식(PCK)의 관계 34 1. 내용지식과 내용체계에 대한 인식 34 2. 교수-학습방법지식과 내용체계에 대한 인식 38 3. 상황지식과 내용체계에 대한 인식 42 B.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 분석 46 1. 지식중심 법교육에 대한 인식 46 2. 생활법 중심 법교육에 대한 인식 47 C. 교사전문성에 대한 인식 분석 53 1. 내용지식측면 53 2. 교수-학습방법지식측면 58 3. 상황지식측면 60 Ⅴ. 결론 65 A. 요약 65 B. 결론 및 논의 67 참고문헌 69 부록1. 면담 가이드 72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7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통합 교과 내에서의 법교육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수법적 내용지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of Law-Related Education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 Focusing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c.creator.othernameCho, Seungwon-
dc.format.pagev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