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윤정-
dc.contributor.author박나래-
dc.creator박나래-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3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3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74-
dc.description.abstractAs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knowledge to solve problems and create new valu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ctive classes and develop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real life. Since the curriculum is materialized through textbooks and is realized through teacher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presented in textbook inquiry activities and what teachers think about it. To this end, first, the forms of materials, statements and capabilities of the textbook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Second, through teacher interviews, problem with the use of textbook inquiry activities in clas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how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its impacted on actual classes.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should be carried out to reflect the problems in the classroom using the teachers' inquiry activities.;단편적인 지식 습득보다는 이제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사회과교육에서는 탐구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의 과정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발전된 탐구학습이론은 한국의 제 3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수용되 었다. 수용 초기의 탐구학습이론의 현장 실천 모습은 지식 중심의 수업에 그쳐 진정한 탐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구성주의 교육관을 반영하여 단편적인 지식 습득보다는 학습자가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여 능동적인 탐구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의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을 교과서에 명시하였고, 이와 함께 내용의 적정화와 평 가 기준 완화를 함께 적용해 수업 현장에서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 수업이 적극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역량의 함양을 위해 학생 활동 수업을 강조하였고, 융합된 지식의 활용을 중요시하는 흐름에 따 라 통합교과로서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신설하였다. 특히 통합사회 과목은 통합적 사고력을 교과 역량으로 유일하게 제시하고 있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성이 반영된 대표적인 교과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 교과서를 분석 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주된 교수 학습 자료이고,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서를 통해 구현되어 왔다. 이에 따라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활동이 확대되면서 교과서 탐구활동에서도 변화가 나타났고, 사회과에서는 이러한 사회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을 통해 교과서 개발의 문제와 제안점을 밝히고 나아가 학생 활동 수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시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의 분석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활동 수업의 강조가 교과서 탐구활동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탐구활동에 제시된 교과 역량의 역할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와 함께 교육과정 실행자로서 교사가 탐구활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먼저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결과 교과서 서술 방식에 따라 교과서별로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주로 글을 중심으로 자료가 제시되고 있고 다른 자료들은 글을 뒷받침하기 위해 함께 제시되고 있었다. 발문 분석을 통해 폐쇄적 발문이 절반 이상 제시되고 있었고, 주로 수렴적 발문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발문의 지시어를 중심으로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드러내는 말하기 활동과 이와 비슷한 쓰기 활동, 자료를 활용하여 발문 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탐색 및 조사 활동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탐구활동에 제시된 교과 역량은 교과서별로 다른 유형의 탐구활동에 제시되고 있어 역량의 수의 차이가 있었다. 각각의 교과 역량은 역량별로 제시 수가 달랐으며 비 판적 사고력 및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및 의사 결정 능력이 제시된 비중을 합하면 전체 제시된 역량 중 절반 이상의 비중으로 제시되고 있어 역량이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탐구활동에서 역량은 형식적으로 제시 되고 있었으며 발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역량 함양을 위해 제시되는 활동 유형간의 연결을 확인할 수 없었고 역량과 맞지 않은 활동 유형이 제시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과서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들은 과반수 이상이 교과서 탐구활동을 활용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활동 수업 구성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수업 사례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동 수업을 구성할 때 교과서 탐구활동을 많이 활용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탐구활동에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료의 경우 최신성이 부족하고 학생과 관련한 흥미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발문의 경우 단순히 찾아 쓰기에 불과한 발문과 발문 의도를 알 수 없는 모호하게 제시된 발문유형을 지적하였다. 또한 활동의 경우 다양한 유형이 제시되는 것은 긍정하지만, 수업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시간과 평가의 딜레마가 문제가 되므로 수업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는 현실적인 활동 유형이 제시되어야 하며 활동 방법이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답했다. 교사들은 탐구활동에 역량이 제시되고 있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역량 개념 자체가 모호하고 탐구활동에서 역량이 단순히 형식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사실상 활동 수업을 구성할 때 교과서에 제시된 역량보다는 교사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을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하게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을 분석한 결과 기존 교육과정의 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의 형태와 비교하여 두드러진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교사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개정 교육과 정에 대한 교사들의 우호적인 태도로 활동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 교과서 탐구활동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지만, 활동 수업 구성에 부담을 느낀 교사들이 교과서를 의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러한 교과서 상의 문제점은 교과서 개발 관점에서 더 나아가 현장과 연계되어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론과 현장이 연계된 연구를 통해 교과서 개발이 교사들의 활용과 수업 현장에의 반영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과서 탐구 활동의 보다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 구성주의 교육관이 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고 학습자가 능동적인 탐구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장 교사들이 느끼는 활동 수업에 대한 부담 경감을 위해 활동 구성을 위한 다 양한 수업 지원이 필요할 것이며 교사 스스로 활동 수업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교사 공동체 등의 연구 활동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A. 사회과교육에서 탐구와 교과서 탐구활동 5 1. 탐구와 탐구학습 5 2. 구성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활동 6 B.2015 개정 교육과정과 통합사회 8 1. 역량 기반 교육과정 8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 9 3. 사회과 교육과정과 통합사회 12 C. 교과서 탐구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 고찰 14 1.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14 2. 교과서 탐구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대상 19 1. 통합사회 교과서 19 2. 통합사회 수업 교사 21 B.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2 1. 교과서 내용 분석 22 2. 심층 면담 23 C. 분석 기준 25 1. 탐구활동 자료 및 발문 분량 25 2. 탐구활동 구성 요소별 유형화 25 3. 교과 역량분량 및 내용분석 30 4. 면담 자료 분석 31 Ⅳ. 연구결과 34 A.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34 1. 탐구활동 자료 및 발문 분량 34 2. 탐구활동 자료,발문, 활동 유형 39 3. 교과 역량에 따른 탐구활동 내용 분석 53 B.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57 1. 교과서 탐구활동의 활용도 57 2. 탐구활동에 제시된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68 Ⅴ.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6 부록(발문 수준 분석 예시) 79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8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및 교사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and on Teachers’ Perception in the Textbook ‘Integrated Society’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Park Narae-
dc.format.pagex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