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민수-
dc.contributor.author이미소-
dc.creator이미소-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71-
dc.description.abstract시대가 변하면서 교육방식에도 새로운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 그 새로운 변화 중 하나가 최근 활동 중심 수업의 유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비주얼 씽킹’이다.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에 대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비주얼 씽킹’이 역사교육에서 가지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해 보고, 최종적으로는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의 활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교육 실습 기간에 강의식 수업과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 중심 수업을 모두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강의식 수업에서는 수동적으로 교수자의 강의에 응하던 학생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활동식 수업을 할 때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한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생중심 지식구성 수업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가능하게 도와줄 수 있는 수업모형이 ‘비주얼 씽킹’이라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을 확인함으로써 역사 수업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의 교육적 활용 단계와 교육적인 면에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정리하였다. 둘째,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의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본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을 포함한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에게 설문조사 방 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설문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셋째, 비주얼 씽킹 수업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교수법이지만 설문을 통해 살펴본 결과, 예비 교사들은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창의적이고 의미가 있는 효 과적인 수업으로 받아들였으며 전반적으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중등 역사교육에서 비주얼 씽킹 수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실험연구를 시행한 것이 다른 교과에 비해 미흡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역사 과목에서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의 사례와 학생 활동 레이아웃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 전공 예비 교사가 차후 현직에 나아갔을때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증진과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르는 학생 활 동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비주얼 씽킹 수업의 한계와 개선해야 할 사항을 학습자의 측면과 교수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 기법에 익숙해지도록 교사의 시범이 필요하다. 초반에는 교사가 먼저 비주얼 씽킹의 예시를 보여주거나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에 익숙해지도록 하여 그림 그리는 활동을 숙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교육적 요소와 오개념에 대한 교수자의 사전 지도가 필요하다. 재미를 위해 학습 주제에서 벗어나는 비교 육적 그림을 그리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자는 사전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추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셋째, 원활한 수업 진행 을 위해 블록타임제와 다양한 학습 도구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블록타임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활동 시간을 마련해주고, 여러 가지 색상의 색연필, 유성매직, 사인펜, 학습카드, 태블릿 pc, 멀티미디어 등을 활동 수업에 함께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수업 활동에 임하도록 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어서 교수자를 위한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첫째,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정책적 홍보가 필요하다. 사범대학 예비 교사의 교육적 차원에서 다양한 교수법과 관련된 강연 또는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 및 교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현장에 비주얼 씽킹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건이나 주제별로 계열화한 수업 자료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수자를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 어야 한다. 셋째, 예비 교사를 위한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에 변화가 필요하다. 현 교육현장은 창의력, 비판적 사고, 소통, 협업 능력 신장 위주로 변해가고 있으나, 사범대학 학생들이 배우는 교직 과목의 커리큘럼은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하기 힘든 기초 학문과 이론 수업에 여전히 치중되어 있다. 사범대학 학생들의 교직 과목에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설계 방법론을 포함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 방식의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는 활동 중심 수업의 방법 중 하나인 비주얼 씽킹 수업을 예비 교사를 통해 소개하고 비주얼 씽킹 수업의 효용성과 개선해야 할 방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역사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를 위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As the era changes, new ways of teaching are approaching. One of the new changes is 'Visual Thinking',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useful model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Beginning with looking at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history education about 'visual thinking',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visual thinking' in history education and finally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us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visual thinking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During teaching practice, this researcher has conducted both lecture class and activity-based class using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experienced that, in the lecture class, students respond passively, but in active class teaching using visual image, they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Through this experience, the necessity of the student-centered knowledge construction class that can lead the students' activities was felt, and this researcher decided that the class model that can help this is 'visual thinking' and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by analyzing the concept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cent visual thinking clas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in the history class, the educational use phase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positive aspect in educational aspect have summarized. Seco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history education major, we conducted research using pre-service teachers of history education major including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escribed. Third, visual thinking class is a new teaching method which is not familiar yet, but as a result of survey, pre-service teachers accepted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creative and meaningful effective class and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visual thinking class as a whole. Fourth,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visual thinking classes are less than other subjects. Thu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xamples of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in history subjects and layout of student activities were presented. when the pre-service teacher of history education goes to the actual field in the future, it will be a great help to prepare student-centered class to develop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limitations of visual thinking lesson and improvement items which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learner side and the instructor side. At first, as a matter to be improved on the learner's side, first, a teacher's demonstration is needed so that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visual thinking technique. Early on, teachers need to demonstrate examples of visual thinking, or show the demonstration, and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visual thinking and to master the activities of drawing. Second, the non-educational factors that can appear in the students' activities and the pre-instruc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misconceptions are needed. There is a need to instruct students not to draw non-educational pictures for fun out of the learning topic, and the instructor should lead students to hav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through pre-instruction. Third, in order to smooth teaching, block time system and various learning tools should be prepared. Through block time, students have enough time for structuring and expressing their learning contents, and if using colored pencils, magic, sign pen, learning cards, tablet pc, multimedia etc., it would be effective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class activities with interest. As a matter of improvement for teachers, First, policy promotion of new teaching methods is needed. In the educational aspect of teacher college pre-service teachers, lectures or program development relat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xtbooks for visual thinking classes i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visual thinking to the educational field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a sequential class material by historical events or themes. In the future, experimental research that suggests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 guideline for new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should be activ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iculum of teaching subject for pre-service teachers.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is changing to focus 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 curriculum of the teaching subject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still focused on basic academic and theoretical lessons, which ar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the educational scene.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ie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ing subjects of the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introduces visual thinking class which is one of the activity-based classroom teaching methods which is becoming a trend of new educational method through preliminary teacher. And it can be found in that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class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education using 'visual think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내용과 목적 1 B.비주얼 씽킹'의 선행연구 6 C.비주얼 씽킹'의 활용 사례 10 Ⅱ.비주얼 씽킹에 대한 설문 구성 18 A. 연구대상 18 B. 설문지 구성 19 C. 측정도구 및 방법 21 Ⅲ.비주얼 씽킹에 대한 설문 결과 분석 23 A.비주얼 씽킹'에 대한 인식 결과 23 B.비주얼 씽킹'에 대한 경험 및 서술형 문항 결과 27 가.비주얼 씽킹수업활용 및 학생구성 29 나. 주관식 서술 문항 분석 30 C.비주얼 씽킹수업의 한계와 개선방향 39 Ⅳ.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6 부록1. 연구동의서 49 부록2. 설문지 50 부록3. 빈도분석표 55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3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역사교육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에 대한 인식과 전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cognition and Prospect of Visual Thinking by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Histor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Miso-
dc.format.pagev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