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민수-
dc.contributor.author나지수-
dc.creator나지수-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0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3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7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viewpoints embodied by history textbooks, which is a writer 's record. The analysis of existing history textbooks focused mainly on the extent to which historical research results are reflected in textbook texts. In this paper, however, attention was paid to learning activities as a textbook component that can be met by an author who is a textbook writer and a learner who is a reader. The researcher tried to solve two question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history textbooks. In other words, how textbooks have interpreted the author's divers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led various student understandings of history was examined. The subject textbooks to be researched are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range of learning activities to the confrontation of the faction in the 16th and 18th century, which is a relatively clear subject of change in historical education. How did the author of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that made up the contents of the political history want the student to understand the confrontation of the faction? In other words, three study activity analysis criteria were prepared to grasp the author's point of view.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relation between the epilogue body text, epilogue word, and the epilogue type, the epilogue of the faction conflict learning activity was class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were drawing and improve learning activities for diversity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that deal with the faction conflict were derived. Gradually, efforts to express multiple focuses and approaches to the conflict have emerged in the middle school learning activity epilogue. The epilogue, which grasps the cause of the undesirable conflict, changed into epilogue, which refers to the effects of the alteration of the factional politics on Chosu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data. However, the necessity that repeat the description of the body text, or to improve the epilogue which is far from the student's position expressi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an attempt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inferring the author's point of view based on accumulated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In the learn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whether there was a residual image of the past confrontation between the 16th and 18th century faction was associated with Japanese colonial history. Thus, rather than the textual description, it can be said to be a textbook analysis that closely approximates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aim at learning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extbook authors and establish their interpretation of history. This researcher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stepping stone for this. ;본 연구는 집필자의 기록인 역사 교과서가 구현하는 관점의 다양성을 알아보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기존의 역사 교과서 분석은 주로 역사학계 연구 성과가 교과서 본문에 반영된 정도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교과서 저자인 집필자와 독자인 학습자가 만날 수 있는 교과서 구성요소로 학습활동에 주목하였다. 역사 교과서 학습활동의 변화상을 분석함으로써 두 가지 의문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집필자의 다양한 역사 해석을 교과서가 어떻게 담아왔으며, 학생의 여러 가지 역사 이해를 어떤 방식으로 유도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인 교과서는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역사 교과서이다. 역사교육에서 관점의 변화가 비교적 뚜렷한 주제인 16~18세기 붕당의 대립으로 교과서 학습활동의 범위를 제한하여 분석하였다. 정치사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집필자는 붕당의 대립을 학생이 어떻게 이해하기를 바랐을까. 교과서 안에 존재하는 역사가, 즉 집필자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해 3가지 학습활동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발문과 본문의 관계, 발문 단어, 발문 방식이라는 기준에 맞춰 붕당 대립 학습활동의 발문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다양성 제고를 위한 학습활동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교과서 학습활동 분석 및 고등학교 학습활동과의 비교를 통해, 붕당 대립을 다룬 중학교 역사 교과서 학습활동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차츰 붕당 대립에 대해 여러 초점과 접근 방식을 표현하려는 노력이 중학교 학습활동 발문에서 드러났다. 바람직하지 못한 당쟁이 일어난 원인을 파악하는 발문은, 자료를 참고하여 붕당정치의 변질이 조선 사회에 끼친 영향을 이야기해보는 발문으로 변화하였다. 그렇지만 본문 서술을 반복하거나 학생의 입장 표현과 거리가 먼 발문을 개선할 필요성도 분석 결과에 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축적된 교과서 학습활동에 근거하여 집필자의 관점 변화를 추론하는 분석 틀을 마련한 시도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16~18세기 붕당의 대립과 일제 식민사학이 결부되었던 과거의 잔상이 남아 있는지를 학습활동에서 확인하였기에, 본문 서술보다 학생의 역사 이해에 근접한 교과서 분석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앞으로 역사교육 현장에서 학생이 교과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역사 해석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습활동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역사 교과서 속 다양성의 판단 : 대립을 다룬 학습활동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Ⅱ. 교과서 밖 학계의 다양한 시각 7 A. 붕당에 대한 연구 동향 7 B. 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동향 16 Ⅲ. 중학교 교과서 안 집필자의 다양한 시각 21 A. 붕당의 대립 학습활동 선정과 분석 기준 21 B. 학습활동의 관점 변화 34 C. 다양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 58 Ⅳ. 결론 : 다양성 구현 매체로서의 교과서 64 참고문헌 68 부록1. 교수요목기~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붕당의 대립 학습활동 74 부록2. 2차~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붕당의 대립 학습활동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학교 역사 교과서 학습활동 변화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6~18세기 붕당의 대립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the changes of learning activities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 Focusing on the Faction Conflict betwee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dc.creator.othernameNa, Jisu-
dc.format.pagev,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